KR200176549Y1 -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 Google Patents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549Y1
KR200176549Y1 KR2019990023756U KR19990023756U KR200176549Y1 KR 200176549 Y1 KR200176549 Y1 KR 200176549Y1 KR 2019990023756 U KR2019990023756 U KR 2019990023756U KR 19990023756 U KR19990023756 U KR 19990023756U KR 200176549 Y1 KR200176549 Y1 KR 200176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spine
plate
rounded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7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석
Original Assignee
오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영석 filed Critical 오영석
Priority to KR20199900237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5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33Muscles of the back, e.g. by an extension of the body against a resistance, reverse crunch
    • A63B23/0238Spinal colum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유연성 운동을 위한 곡면 판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닥에 놓고 등을 대고 누워,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의자나 벽에 부착 또는 기대어 놓고, 등 젖히기 운동을 하거나 등 받침대로 쓰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기존의 허리 받침대는 의자에 놓고 기대어 앉는, 허리를 보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스펀지와 같은 푹신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허리만을 커버하도록 크기가 작은 반면, 이것은 등을 대고 누웠을 때 등이 뒤로 둥글게 젖혀지도록, 둥근 면을 가지며, 성인의 등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도록 넓으며, 스펀지보다는 월등히 단단한 재질로 구조된다.
이것은, 인간의 체중을 이용하는 운동 도구이기 때문에 척추를 뒤로 젖히는 효과가 크다. 즉, 이것은 척추, 허리, 등을 유연하게 해 주고, 단련시키는 운동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A deck plank to be circular of free gymnastics the vertebrate}
본 고안은 척추 유연성 운동을 위한 곡면 판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의자 등받이에 부착하여 허리를 받쳐주는 스펀지로 된 허리 받침대가 있다. 그러나 이것은 척추를 적극적으로 운동 시켜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이것은 등 제대로 커버할 수 없을 만큼 크기가 작으며, 스펀지로 되어 있음으로, 허리를 보호하는 정도일 뿐 운동도구는 아니다. 따라서, 종래에는 본 고안과 같은, 몸의 체중을 이용하여 척추를 뒤로 젖히는 운동을 위한 곡면 판대는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야외 운동시설이나 체육관에서는 종종 차바퀴 타이어를 땅에 박아두고, 여기에 등을 대고 누워, 척추 및 등허리를 뒤로 젖히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개인적으로 소유하기에는 불편한 것임으로 본 고안과는 차별성이 크다.
인간의 삶은 동물의 삶과는 달리, 허리를 뒤로 젖히는 일이 적어서, 어린아이적에는 허리가 버들가지처럼 유연하고, 똑바로 서 있을 때는 허리가 들어가고, 궁둥이가 나오는 자연적인 아름다운 곡선을 갖지만, 어른이 되어 가면서 허리의 굴곡이 펴지며, 심지어는 앞으로 굽어지게 된다. 또한, 척추가 뒤로 젖혀지는 각도가 작아지고, 유연성이 약해진다. 이에, 인간들은 인의적으로 등을 뒤로 젖혀주는 운동을 생활화 해야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자동차 타이어를 바닥에 세워두고 여기에 등을 대고 누워 운동을 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언제 어디서나 척추, 허리, 등의 유연성 운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인간의 등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의, 손으로 다루기에 용이한 받침대에 곡면을 성형한 것이 본 고안의 첫째 기술적 과제이며 특징이다. 또한 둘째 세부적 특징으로써는, 도3,4에 있어서, 활과 현줄 같이, 평판의 탄력을 곡면으로 굴절하고 굴절된 양 끝을 판재, 시트, 줄끈 등으로 팽팽하게 연결하여 곡면을 유지시킨 것이다. 또한, 도3에 있어서, 시트와 같은 넓은 형상의 것을 벨트형으로 하여 곡면 굴절 판대를 곡면 방향으로 커버함으로써, 곡면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구조를 얻음과 동시에 곡면을 커버하여 시트의 미관을 얻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등, 허리 및 척추를 강하고 효과적으로 뒤로 젖힐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인간 본래의 아름다운 체형을 유지하여, 생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운동 도구의 목적을 갖는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보강 구조를 갖는 실시예 사시도.
제2a도는 제2도의 구조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1도는 본 고안의 기본형 실시예 사시도.
제3도는 시트, 또는 평판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곡면 판을 성형하는 실시예 사시도.
제4도는 끈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곡면 판을 성형하는 실시예 사시도.
제5도는 단순 곡면이 아닌 복합 곡면으로 된 실시예 사시도.
*주요부호의 설명{부호 없음}
상기 목적을 위하여, 둥그런 형상물을 등에 받히고 누워서 윗몸 일으키기와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등을 충분히 커버할 수 있을 만큼 넓고, 스펀지보다는 월등히 단단한 재료로 되어진, 윗면을 둥글게 성형한 장방형의 판대 자체가 이 고안의 구성이다.
도면에서 보여주는 여러 가지 형상은, 재료 및 제조 방법에 따른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즉, 도1은 본 고안의 기본형이다. 도2는 사출이나 압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때 재료를 적게 쓰면서 튼튼한 구조를 갖기 위한 디자인이며, 도3은 탄력적인 평판을 둥글게 굴절하고, 시트를 벨트형으로 만들어 씌운 구조이다. 도4는 역시, 탄력적인 평판을 둥글게 굴절하고, 활의 현처럼, 끈으로 엮어서, 둥근 면의 형상을 지탱하는 방법의 것이다. 이때, 도3, 4의 방법은 시트나 끈이 아닌 철판이나 기타의 재료일 수 도 있다. 특히, 도3에 있어서, 곡면 굴절된 판대에 벨트형의 시트를 곡면 방향으로 씌워서, 곡면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구조를 얻음과 동시에 시트의 미관을 얻는 효과까지 얻었다. 도5는, 도1,2,3,4 의 실시예가 단순 곡면인데 비하여, 복합곡면이다. 이것은 역시 디자인적인 문제일 뿐 목적상의 큰 효과는 아니다.
상기 고안은, 등을 대고 윗몸 일으키기 운동을 할 때, 인간의 체중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등 및 척추를 뒤로 젖히는 힘이 크다. 따라서, 이것은 척추를 유연하게 해 주며, 체형을 바로잡아 주는 효과가 큰 것이다. 또한, 두 사람이 서로 등을 맞대고 서로를 교대로 들어올리는 운동, 즉, 찡콩빵콩을 할 때의 그 시원한 효과를 맞볼 수 있다. 또한, 척추 질환은 만병의 근원이다, 라고 보면, 본 고안은 만병의 근원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척추, 등허리 운동 도구로서 뿐 만이 아니라, 본 고안을 의자나 벽에 기대어 놓고, 등허리를 기대어 앉으며, 허리를 보호하는 반침대 효과도 탁월하다.

Claims (4)

  1. 사람이 등을 대고 누웠을 때, 등 및 척추를 뒤로 둥글게 휠어지게 하는 곡면 판대로써, 판대의 면은 폭과 길이가 현저히 구분되는 형태이며, 길이 방향으로 면이 둥글려지며, 이 길이 방향이 이 척추 방향과 일치하는 상태에서 둥근 면이 사람의 등을 온전히 받을 수 있는 넓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허리,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곡면 판대는 스티로폴, 발포우레탄 등으로 성형하고 수지, 가죽, 직물, 등의 시트로 감싼 구조를 한 등허리,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둥근 곡면은, 도3, 4에 있어서와 같이, 굴절시킬 수 있는 탄력성의 판대를 둥글게 굴절시키고, 굴절된 양 끝을 시트, 평판, 줄끈, 등으로 팽팽하게 잡아주어, 굴절된 둥근 곡면을 유지하는 구조를 한, 등허리,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4. 청구항 3에 있어서, 굴절된 양 끝을 팽팽하게 잡아주는 것은, 도3 과 같이, 굴절시킨 판대에 직물, 가죽, 등의 시트를 굴곡 방향으로 벨트처럼 전체를 감싸므로써, 둥근 곡면을 유지하는 구조를 한, 등허리,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KR2019990023756U 1999-11-01 1999-11-01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KR200176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756U KR200176549Y1 (ko) 1999-11-01 1999-11-01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756U KR200176549Y1 (ko) 1999-11-01 1999-11-01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549Y1 true KR200176549Y1 (ko) 2000-04-15

Family

ID=1959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756U KR200176549Y1 (ko) 1999-11-01 1999-11-01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5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5276A (en) Stretching and exercise device
US5474513A (en) Therapeutic exercise apparatus
US5147267A (en) Exercise aid
US20100075819A1 (en) Training tool
US10729932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facilitating exercise and training
JP2014533597A (ja) トレーニングマット、トレーニングマットの配置、1つまたは複数のトレーニングマットの使用
US7645219B1 (en) Recumbent therapeutic system
WO1990014863A1 (en) Exercise float
US5702333A (en) Method of safely stretching and strengthening the lumbar spine and lumbar muscles
US4735412A (en) Portable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US5102123A (en) Method for attaching a weight to a leg for exercising leg and buttock muscles
KR200176549Y1 (ko) 척추 유연성 운동 곡면 판대
US11612782B2 (en) Exercise apparatus
JP5119371B1 (ja) 筋肉ストレッチ用バンド
JP6748994B2 (ja) ボールを利用した運動具
KR20090063501A (ko) 건강 증진 및 키 성장 촉진 운동기구
KR19990018498U (ko) 앉은자세 교정벨트
TWI684475B (zh) 壁掛式伸展運動用具
KR200496116Y1 (ko) 다용도 쿠션
JP5240745B1 (ja) 筋肉ストレッチ用バンド
RU189469U1 (ru) Манжета для фиксации конечностей
JP3172700U (ja) 座椅子
EP0677261A1 (en) Corrective inflatable lumbar cushion
JP2005218818A (ja) 腰の伸展支持運動具
JP3185428U (ja) 運動用サポ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