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480Y1 -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 Google Patents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480Y1
KR200176480Y1 KR2019990022437U KR19990022437U KR200176480Y1 KR 200176480 Y1 KR200176480 Y1 KR 200176480Y1 KR 2019990022437 U KR2019990022437 U KR 2019990022437U KR 19990022437 U KR19990022437 U KR 19990022437U KR 200176480 Y1 KR200176480 Y1 KR 200176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er
data
audio
player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이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만 filed Critical 이영만
Priority to KR2019990022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4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07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 G11B2020/00014Time or data compression or expansion the compressed signal being an audio signal
    • G11B2020/00057MPEG-1 or MPEG-2 audio layer III [MP3]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33Copying or moving data from one record carrier to anoth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전자기술과 컴퓨터의 발달로 매일 새로운 전자 제품이 출시 되어 지는 제품 중에서 새롭게 선 보이는 제품 중의 하나가 데이터 압축을 이용한 오디오 재생기로서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MP3 플레이어 이다. 이 MP3 플레이어는 MP3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 하면서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바꾸고 이를 아날로그로 재생하여 사용자가 헤드폰등의 기기로서 음악을 듣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MP3 플레이어는 고체 반도체메모리가 상기 MP3의 기억장소가 되므로 가격적으로 상당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메모리 자체로만으로 보더라도 오디오 데이터만을 기록 하기에는 약간의 사치로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 에서는 상기의 MP3용 데이터를 즐기기 위하여 MP3전용의 고가의 재생기가 아닌 일반의 카세트 테입으로도 MP3 오디오를 즐길수 있게 하기 위해 고안 되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MP3데이타가 보관 되어 있는 PC에 일반적인 오디오 녹음기를 연결 하고 PC에는 녹음기로 데이터를 다운로딩 할 수 있는 전용의 녹음기 메니저 프로그램을 실행 하고 이 실행판에서 다운로드할 MP3파일을 선택 한 다음 클릭 하면 PC에서 녹음기로 MP3데이타가 녹음기로 다운로딩 된다. 이 때 녹음기가 아날로그 녹음기일 경우는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환 되어 녹음기로 신호가 전송 되고 녹음기가 디지탈이라면 MP3의 디지탈 원래의 데이터 그대로 녹음기에 전송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MP3데이터가 기록된 테이프를 일반의 아날로그 재생기에서 들을 수 있으므로 상기의 MP3전용의 재생기가 없어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녹음기는 PC상의 MP3데이터 이외의 어떤 오디오 파일이나 또 PC에 장착 되어 있는 CD-ROM에서 출력 되는 일반의 CD-DA 음악 파일도 녹음기로 전송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녹음기에 있는 음악소스를 PC로 올려 PC의 하드디스크에도 녹음기에 기록 되어 있는 음악소스를 영구 보관 할 수도 있는 장치임.

Description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전자기술과 컴퓨터의 발달로 매일 새로운 전자 제품이 출시 되어 지는 제품 중에서 새롭게 선 보이는 제품 중의 하나가 데이터 압축을 이용한 오디오 재생기로서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MP3 플레이어 이다. 이 MP3 플레이어는 MP3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받아 이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 하면서 원래의 오디오 데이터로 바꾸고 이를 아날로그로 재생하여 사용자가 헤드폰등의 기기로서 음악을 듣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MP3 플레이어는 고체 반도체메모리가 상기 MP3의 기억장소가 되므로 가격적으로 상당한 부담이 될 뿐만아니라 메모리 자체로만으로 보더라도 오디오 데이터만을 기록하기에는 약간의 사치로움이 느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 에서는 상기의 MP3용 데이터를 즐기기 위하여 MP3전용의 고가의 재생기가 아닌 일반의 카세트 테입으로도 MP3오디오를 즐길수 있게 하기 위해 고안 되었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MP3데이타가 보관 되어 있는 PC에 일반적인 오디오 녹음기를 연결 하고 PC에는 녹음기로 데이터를 다운로딩 할 수 있는 전용의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을 실행 하고 이 실행판에서 다운로드할 MP3파일을 선택 한 다음 클릭 하면 PC에서 녹음기로 MP3데이타가 녹음기로 다운로딩 된다. 이때 녹음기가 아날로그 녹음기일 경우는 아날로그 파형으로 변환 되어 녹음기로 신호가 전송되고 녹음기가 디지탈이라면 MP3의 디지탈 원래의 데이터 그대로 녹음기에 전송된다.
따라서 이와같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MP3데이터가 기록된 테이프를 일반의 아날로그 재생기에서 들을 수 있으므로 상기의 MP3전용의 재생기가 없어도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녹음기는 PC상의 MP3데이터 이외의 어떤 오디오 파일이나 또 PC에 장착 되어 있는 CD-ROM에서 출력 되는 일반의 CD-DA 음악 파일도 녹음기로 전송 할 수 있으며 반대로 녹음기에 있는 음악소스를 PC로 올려 PC의 하드디스크에도 녹음기에 기록 되어 있는 음악소스를 영구 보관 할 수도 있는 장치임.
PC에서 볼때 외부에 연결한 녹음기를 하나의 디바이스로 인식 하여 PC의 프로그램으로 녹음기가 동작을 해야 한다. 즉 녹음기와 PC와의 프로토콜을 제정하여 그 포맷에 의거한 하드웨어와 소프트 프로그램을 만들어 PC와 녹음기와의 완벽한 데이터 통신이 행해 져야 한다.
도1 : 본 고안의 PC 외장형 개념도
도2 : 본 고안의 PC 내장형 개념도
도3 : PC 외장형 녹음기의 외관도
도4 : PC 외장형 녹음기의 내부 블록도
도5 : PC와 녹음기와의 타이밍도1 (녹음기의 재생모드)
도6 : PC와 녹음기와의 타이밍도2 (녹음기의 녹음모드)
도7 : PC와 녹음기와의 타이밍도3 (녹음기의 정지모드)
도8 :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 실행 화면 1
도9 :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 실행 화면 2
도10 :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 실행 화면 3
도11 :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 실행 화면 4
도12 :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 실행 화면 5
101 : PC
102,105 : 녹음기
103 : 카셋트
104 : 연결케이블
201 : 전원키
202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버 투입구
203 : CD-ROM 투입구
204 : PC전면판넬
205 : 카세트 투입기
206 : 카세트 커냄키
301 : 재생키
302 : 녹음키
303 : 정지키
304 : 커냄키
305 : PC연결 콘넥터 입구
306 : Headphone 입구
307 : 카세트 입출구
401 : 데이터 입출력 포트
402 : 녹음 인터페이스 회로
403 : 마이콤
407 : 테이프 테크
MP3신호를 녹음 하기 위한 녹음기를 볼 때에 우선 MP3신호가 PC에서 출력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PC에 접속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접속이 되는 PC에 녹음기를 제어하는 전용의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실제로 구현 하기 위해서는 실제의 녹음기와 전용의 실행 프로그램이 필요 하다. 먼저 상기의 두 가지 구현 대상 중 에서 먼저 녹음기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 설명 해 보겠다. 이 녹음기를 정상적으로 동작 시키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PC와 연결이 이루워 져야 한다. 따라서 녹음기를 이러한 PC와의 연결을 생각해 볼 때 2가지 방법이 생각 되는 데 그중 하나는 PC의 밖에 놓고 준비된 연결 케이블로 접속 하는 것인고 다른 하나는 녹음기를 PC의 CD-ROM 같이 PC안에 집어 넣어 조립하는 것이다. 이는 구성 방법만 다른 것이지 PC와 녹음기와의 신호 흐름은 같이 사용 한다, 그림으로 설명 해 보면 [도1]은 상기의 첫번째 방법으로 PC의 외부에 녹음기를 비치하여 동작 시키는 경우의 연결이다. 그림을 보면 [101]은 MP3 데이타가 기록 되어 있는 PC, [102]는 이 [101]에서 출력 하는 MP3신호를 녹음 하기 위한 외장 녹음기,[103]은 [102]의 녹음기가 아날로그 일때 기록 매체인 오디오 테입이고, 만약 녹음기가 DAT(digital audio tape)등의 digital 기록이라면 digital용 테입이 될 것이다. [104]는 [101]의 PC 와 [102]의 녹음기를 연결 하는 케이블이다. 다음 [도2]는 녹음기를 PC안에 직접 장착 한 경우로서 일반의 PC에서 CD-ROM을 장착한 경우와 같이 보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201]은 PC의 전원키, [202]는 플로피 디스크 투입구,[203]은 CD-ROM 투입구, [204]는 PC전면 판넬, [205]는 카세트 투입구,[207]은 [205]의 카세트 투입구안에 장착된 카셋트를 꺼낼때 사용 되는 카셋트 커냄키이다. 이 [도1]이나 [도2]에서의 기본 동작은 뒤에서 자세히 설명할 것 이나 기본 적인 동작은 PC에서 볼때 하나의 드라이버로 인식 하는 것이다. 즉 위치야 PC안에 있든지 외부에 있든지 상관 없이 하나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로 인식 하게 하는 것이다. [도3]은 [도1]의 녹음기의 외관을 보였다. 이 녹음기를 보면 [301]은 이 녹음안에 장착된 카셋트를 재생 할때 사용 하는 재생키, [302]는 녹음키, [303]은 정지키, [304]는 커냄키, [305]는 PC와의 연결시 필요한 콘넥터가 연결되는 자리이고, [306]은 Headphone 입구, [307] 카셋트 입출구로 구성 된다. 이 [도3]의 녹음기는 [305]에 연결된 PC에 의해 직접 재생이나 정지, 녹음이 동작 됨으로 [301],[302],[303]는 생략 될 수 도 있다. 단, 이 키의 용도는 PC와 연결이 안 되어 있을 때 사용 될 수 있다. 다음 [도4]는 상기 [도3]의 녹음기의 내부 블록도를 보였다. [401]은 PC와 연결되는 연결단자로 [CMD], [ACK], 데이터 신호로 [D0 - D7]로 구성 되는 DIGITAL 단자 9개와 ㉠의 MP3신호가 직접 연결 되고 이중 DIGITAL 9단자는 [403]의 마이콤에 연결되고 ㉠의 MP3신호는 녹음기 인터페이스 회로로 입력 된다. 이 [402]는 녹음기 인터페이스 회로로 [404]의 녹음기 데크에 장착된 테이프에 신호를 쓰거나 읽거나 하는 테이프의 기본적인 동작을 관장 하는 녹음기 인터페이스 회로로 최근에는 1 CHIP IC로서 동작을 해결 한다. 녹음기 인터페이스 회로의 Control은 [403]의 제어에 의해 동작 되는데, 여기서는 예로서 ⓐ,ⓑ,ⓒ를 들었다. ⓐ는 재생시 동작 하는 키, ⓑ는 녹음 동작 하는 키, ⓒ는 정지시 동작 하는 키로 설명 될 수 있다.[도5]는 PC와 녹음기와의 타이밍도 1 로서 녹음기의 재생모드를 보였고, [도6]는 PC와 녹음기와의 타이밍도 2 으로 녹음기의 녹음모드를 보였고, [도7]는 PC와 녹음기와의 타이밍도 3 으로 녹음기의 정지모드를 보였다. 다음은 이와같이 구성된 녹음기와 PC와의 동작을 실제의 예를 들어 설명 해보겠다. 먼저 PC의 MP3 데이터를 녹음기에 녹음을 하는 경우를 보면 첫번째로 PC에서 녹음기에 녹음을 알리는 명령을 보낸다. 이 명령코드는 [20]이고 이 [20]의 코드와 같이 [CMD] 신호를 LOW로 하면 녹음기에서는 이 [CMD]가 LOW일때 코드를 읽어 본다. 이 코드가 [20]이면 녹음기에서는 녹음명령상태인 것을 확인 하고 PC에게 녹음상태로 인식 했다는 확인코드를 보낸다. 이 확인코드는 예로서 [80]이라 하였고, 이때 [ACK]신호를 LOW로 한다. 그러면 PC에서는 녹음기가 녹음상태로 준비중이라는 것으로 확인 하였으므로 CMD를 LOW로 하면서 개시 데이터[50]을 보낸다. 이렇게 녹음 개시명령이 들어오면 바로 녹음기는 [402]의 MP3 인터페이스 회로에 녹음개시 신호 ⓑ를 LOW로 하면 [402]는 입력되는 ㉠의 MP3데이터를 [404]의 카셋트데크에 기록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녹음은 시작 되는 것이다. 다음은 [404]의 테이프에 기록 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 하는 경우를 설명 해 보면, [도5]는 PC와녹음기와의 타이밍도 1 로서 녹음기의 재생모드를 보였고, 첫번째로 PC에서 녹음기에 재생 을 알리는 명령을 보낸다. 이 명령코드는 [10]이고 이 [10]의 코드와 같이 [CMD] 신호를 LOW로 하면 녹음기에서는 이 [CMD]가 LOW일때 코드를 읽어 본다. 이 코드가 [10]이면 녹음기에서는 재생명령상태인 것을 확인 하고 PC에게 재생상태로 인식 했다는 확인코드를 보낸다. 이 확인코드는 예로서 [80]이라 하였고, 이때 [ACK]신호를 LOW로 한다. 그러면 PC에서는 녹음기가 재생상태로 준비중이라는 것으로 확인 하였으므로 CMD를 LOW로 하면서 개시 데이터[50]을 보낸다. 이렇게 재생 개시 명령이 들어오면 바로 녹음기는 [402]의 MP3 인터페이스 회로에 재생동작개시 신호 ⓑ를 LOW로 하면 [402]는 [404]의 데크를 읽어내어 ㉡의 MP3데이터를 [401]로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재생이 시작 되는 것이다. 다음은 녹음이던 재생이던 동작중인 [404]의 테이프테크를 중지 하는 경우이다. [도7]는 PC와녹음기와의 타이밍도 3 로서 녹음기의 중지모드를 보였고, 첫번째로 PC에서 녹음기에 중지 을 알리는 명령을 보낸다. 이 명령코드는 [30]이고, 이 [30]의 코드와 같이 [CMD] 신호를 LOW로 하면 녹음기에서는 이 [CMD]가 LOW일때 코드를 읽어 본다. 이 코드가 [30]이면 녹음기에서는 중지상태인 것을 확인 하고 PC에게 중지상태로 인식 했다는 확인코드를 보낸다. 이 확인코드는 예로서 [80]이라 하였고, 이때 [ACK]신호를 LOW로 한다. 그러면 PC에서는 녹음기가 중지 상태로 준비중이라는 것으로 확인 하였으므로 CMD를 LOW로 하면서 개시 데이터[50]을 보낸다. 이렇게 중지 준비가 끝나면 바로 녹음기는 [402]의 MP3 인터페이스 회로에 중지개시 신호 ⓒ를 LOW로 하면 [402]는 [404]의 데크를 중지 시킨다. 이와 같이 PC와 녹음기와의 기본동작은 코드로서 약속을 하는데 정리 해보면 재생의 코드는 [10], 녹음의 코드는 [20], 중지의 코드는 [30] 으로 정하여 사용 하였으나 실제로는 이외의 코드를 사용해도 무방 할 것 이다.
이상과 같이 녹음기의 기본 동작을 살펴 보았다.
다음은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에 대하여 설명 해본다. [도8]은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의 실행화면1을 보였고, 그 예는 PC의 MP3 데이터가 녹음기로 녹음 되는 경우로서 기본 구성은 왼편에 'MP3 file list'를 보였고 가운데 부분은 옮기려는 'SOURCE'가 있는 디렉토리를 선택 하는 선택란, 그 밑에는 이 선택된 SOURCE를 옮길 곳, 즉 'Target' 장소를 선택 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D Driver로 지정 되어 있다. 즉 D Driver는 외부녹음기나 내장의 녹음기를 지칭한다. 그 밑의 'D Drive only play'는 PC와의 녹음, 재생이 아닌 재생기만을 재생 할때 사용된다. 그리고 화살표 '↙'는 디렉토리 검색에 사용 된다. 이렇게 Source와 Target을 정한 다음 '선택'을 누르면 [도9]로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의 실행화면2가 나타나는데 이는 PC의 MP3 데이터가 녹음기로 녹음되는 과정,시간 등을 보여 준다. 다음은 녹음기의 신호가 PC의 MP3 데이터로 재생 되면서 PC의 하드디스크로 기록 되는 것을 설명 해 본다. [도10]은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의 실행화면3을 보였고 'Source'는 D driver , 'Taget'은 사용자가 데이터를 옮길 장소로 지정 하는 곳이다. 이렇게 [도10]과 같이 정한다음 '선택'키를 누르면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은 [도11]로 바뀌고 외부 녹음기에서 PC 내부로 기록되는 과정과 시간등을 표시 한다. 다음은 녹음기와 PC와의 연결이 아닌 PC의 제어에 의해 단순히 녹음기가 재생되는 과정을 보였다. 이 예는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5 로서 [도11]에 보였다. [도11]에서 'D drive only play' 옆의 '↙' 를 선택 하면 'D drive only play'의 해당 란이 검정으로 바뀌고 다시 선택을 택하면 녹음기 메니져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6의 [도12]로 바뀌고 화면에는 녹음기 표시만이 표시 되면서 녹음기 의 재생 상태를 보여 준다. 이로서 PC와 녹음기와의 녹음, 재생에 관한 모든 과정을 보였다. 여기서 녹음기는 아날로그 녹음기를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는데 digital 테입의 테이프라도 상기의 예와 별 차이 없이 동작 될 수 있다. 즉 기본 동작은 모두 같고 [도4]의 [401]에서 입출력되는 ㉠의 MP3 신호가 아날로그인지, 디지탈인지 의 차이이고 [402]의 MP3 인터페이스 회로가 아날로그인지, 디지탈인지의 차이로서 정해지는 것이고 그 외의 기본 동작이나 타이밍도에서는 같이 사용 할 수 있으므로 동일 하게 사용 될 수 있다.
MP3 오디오를 즐기는 방법에 있어서 MP3전용의 재생기만으로 MP3를 즐기는 것이 아니라 일반의 오디오 재생기로도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제공 할 뿐만 아니라 일반의 오디오 테입의 내용을 반대로 PC로도 기록 시킬 수 있으므로 MP3만의 이용이 아닌 신문기자와 음성 방송의 자료 보관등의 업무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디오 테입에 오디오신호를 녹음하거나 재생하는 녹음기에 있어서
    PC와 통신할 수 있는 외부입출력단자, 이 외부입출력단자로 입력 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별도의 입력 단자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녹음기에 녹음하는 녹음수단, 상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녹음기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 하는 재생수단, 상기의 PC와 녹음기가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PC에 전용의 PC 제어 프로그램으로 실행 시키고 이 PC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의 PC의 데이터를 녹음기에 녹음하거나 녹음기의 신호를 재생 하여 PC의 하드디스크에 기록 하거나 또 PC와는 관계 없이 녹음기 만의 재생 을 실행 시킬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제어에 의한 오디오녹음재생장치.
  2. 상기 1항에 있어서 녹음기는 PC의 내장형으로 장착 시키거나 PC의 외부에 놓고 별도의 연결 케이블로서 연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제어에 의한 오디오녹음재생장치.
  3. 상기 1항에 있어서 녹음기는 아날로그 테입을 기록매체로 이용하는 녹음기뿐 만 아니라 디지탈 테입을 기록매체로 이용하는 녹음기로도 사용 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PC제어에 의한 오디오녹음재생장치.
KR2019990022437U 1999-10-18 1999-10-18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KR200176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437U KR200176480Y1 (ko) 1999-10-18 1999-10-18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437U KR200176480Y1 (ko) 1999-10-18 1999-10-18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480Y1 true KR200176480Y1 (ko) 2000-04-15

Family

ID=1959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437U KR200176480Y1 (ko) 1999-10-18 1999-10-18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4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102B1 (ko) * 2000-12-26 2003-06-12 샤프타운 주식회사 보이스 레코더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7102B1 (ko) * 2000-12-26 2003-06-12 샤프타운 주식회사 보이스 레코더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4630C2 (ru) Оптическ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6388961B1 (en)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EP1273171B1 (en) Audio/visual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visual data
USRE41977E1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terminal apparatus
JP3106495B2 (ja) ホームバス制御装置
US6990208B1 (en) Vehicle sound system
WO1999044202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lecture et procede d'enregistrement/lecture
JP2000285660A (ja) デジタルファイル再生用システム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30014333A1 (en) Portable audio device and network including an audio device
KR200176480Y1 (ko) 엠피쓰리 음악을 기록 하기 위한 컴퓨터 제어의 녹음기
JP2007011802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リムーバブルメモリ用電子機器
KR100190529B1 (ko) Vtr을 내장한 컴퓨터시스템
JP2002519810A (ja) ミニステレオ装置
KR100356742B1 (ko) 카 오디오 시스템
JP2919484B2 (ja) 静止画像および音声の同期再生制御方法
CN1862692B (zh) 再现装置、数据处理方法以及再现系统
KR200403842Y1 (ko) 전자음반
KR200237063Y1 (ko) 퍼스널 컴퓨터용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KR101164248B1 (ko) 범용직렬버스 연동 카 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11025A (ko) 카세트 데크용 메모리 플레이어
JP2718574B2 (ja) 音響装置
JPH048528Y2 (ko)
JP2007011088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リムーバブルメモリ用電子機器
JP2000156071A (ja) オ―ディオダビング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US20070239607A1 (en) Media Playbac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