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303Y1 -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 Google Patents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303Y1
KR200176303Y1 KR2019990022604U KR19990022604U KR200176303Y1 KR 200176303 Y1 KR200176303 Y1 KR 200176303Y1 KR 2019990022604 U KR2019990022604 U KR 2019990022604U KR 19990022604 U KR19990022604 U KR 19990022604U KR 200176303 Y1 KR200176303 Y1 KR 200176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molding
height
construction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름
Original Assignee
김아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아름 filed Critical 김아름
Priority to KR2019990022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에 관한 것으로, 설치장소의 벽면, 바닥멱과 같은 설치면에 몰탈층에 의해 고정되는 타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타일과 함께 고정되는 타일몰딩 본체에 높이 조절재를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재는 바탕부 위에 필요에 따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타일을 시공하면서 타일몰딩을 사용하여 타일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아니라, 타일몰딩의 마감부에 의해 타일의 모서리를 손상됨이 없이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시공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자재, 인원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외관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TILE MOLDING TO ADJUSTING THE HIGHT FOR TILE CONSTRUCTION}
본 고안은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일 시공하면서 타일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타일의 모서리를 손상됨이 없이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택을 포함한 각종 건축물에 구조용 또는 장식용으로 설치되는 각종 타일을 시공하면서 타일의 높이를 맞추고자 하는 경우에 몰탈층의 두께로 조절하였으므로 숙련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작업 능률이 떨어지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몰탈의 소모량이 증가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그리고, 타일의 거칠은 모서리를 면치기로 마무리하였으나, 타일의 모서리가 가벼운 충격에도 깨져 외적 미감이 손상될 뿐아니라, 사용자가 예리한 모서리에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시공자재, 시간 및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타일을 시공하면서 타일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타일의 모서리를 손상됨이 없이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게 되는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타일몰딩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타일몰딩의 사시도.
도 3은 타일몰딩에서 높이 조절재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타일 시공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4는 타일몰딩에 높이 조절재가 부착된 형태로 시공한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타일몰딩에서 높이 조절재를 분리한 형태로 시공한 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설치면 2 : 몰탈층
3 : 타일 10 : 타일몰딩 본체
11 : 바탕부 12 : 마감부
12a : 만곡형 마감부 13 : 통공
14 : 만곡면 15 : 접촉단부
16 : 돌조부 20, 20a : 높이 조절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은 설치장소의 벽면, 바닥면과 같은 설치면에 몰탈층에 의해 고정되는 타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타일과 함께 고정되는 타일몰딩 본체에 높이 조절재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재는 타일의 높이를 높이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착된 상태로 사용하고,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쉽게 제거하고 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바탕부 위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구성된다.
상기 높이 조절재는 예를들어, 장방형, 타원형, 원형 등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선형(wire type)으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타일몰딩 본체는 예를들어, 합성수지, 알루미늄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압출성형재로 형성되고, 바탕부의 일측변부에 상기 타일의 가장자리 부분을 마무리하기 위한 마감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에는 타일몰딩의 사용예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타일몰딩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타일몰딩에서 높이 조절재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타일 시공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도 4에는 타일몰딩에 높이 조절재가 부착된 형태로 시공한 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타일몰딩에서 높이 조절재를 분리한 형태로 시공한 예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타일몰딩은 설치면(1)에 몰탈층(2)에 의해 고정되는 타일(3)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타일(3)과 함께 고정되는 타일몰딩 본체(10)에 높이 조절재(20)를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타일몰딩 본체(10)는 예를들어 합성수지, 알루미늄 등의 압출성형재로 형성되고, 바탕부(11)의 일측변부에 타일(3)의 가장자리 부분을 마무리하기 위한 마감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높이 조절재(20)에는 선형으로 형성된 높이 조절재(20a)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높이 조절재(20)는 타일몰딩 본체(10)의 바탕부(11)에 접착제에 의한 접합, 열용착에 의한 접합 등으로 접합시킬 수 있으며, 바탕부(11)에 높이 조절재(2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 조절재(20)는 여러가지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예컨데 타원형, 장방형,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 여러가지 재료로 성형할 수 있으나, 고무, 합성고무, 연질 합성수지와 같은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높이 조절재(20)를 제거하고 시공하기 위하여, 도 3과 같이 타일몰딩 본체(10)의 바탕부(11)에서 높이 조절재(20)를 분리할 때에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을 정도의 연성과 인성을 갖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높이 조절재(20)의 바탕부(11)에는 몰탈층(2)의 상,하부가 연통되어 연결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통공(13)은 예컨데 제조회사의 로고 등의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 조절재(20)의 마감부(12)는 예를들어 도 4 및 도 5와 같이, 타일(3)의 단부를 부드럽게 마감하기 위하여 만곡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만곡형 마감부(12a)는 만곡면(14)과 접촉단부(15)를 가지며, 상기 바탕부(11)의 외측단부에는 뾰쪽한 형태로 돌출되는 돌조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타일몰딩은 도 2와 같이, 타일몰딩 본체(10)의 바탕부(11)에 높이 조절재(20)가 부착된 형태로 시공하거나, 도 3과 같이, 바탕부(11)에서 높이 조절재(20)를 분리시킨 후 시공함으로써 설치면(1)에 부착되는 타일(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시공예를 들어 설명하면, 설치면(1)에 몰탈층(2)을 형성하고, 타일(3)을 부착하면서 타일(3)의 단부에 삽입하여 타일(3)과 함께 부착하며, 도 4와 같이 타일몰딩 본체(10)의 바탕부(11)에 높이 조절재(20)가 부착된 형태로 시공하거나, 도 5와 같이 높이 조절재(20)를 제거한 형태로 시공함으로써 시공되는 타일(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본 고안의 타일몰딩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시공되는 타일(3)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타일몰딩 본체(10)의 마감부(12)가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일(3)의 모서리 부분을 부드럽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타일을 시공하면서 타일몰딩을 사용하여 타일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뿐아니라, 타일몰딩의 마감부에 의해 타일의 모서리를 손상됨이 없이 부드럽게 마무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타일 시공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자재, 인원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외관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설치면에 몰탈층에 의해 고정되는 타일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타일과 함께 고정되는 타일몰딩 본체에 높이 조절재를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부 위에 상기 높이 조절재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구성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재가 선형으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몰딩 본체는 압출성형재로 형성되고, 바탕부의 일측변부에 상기 타일의 가장자리 부분을 마무리하기 위한 마감부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KR2019990022604U 1999-10-20 1999-10-20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KR200176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04U KR200176303Y1 (ko) 1999-10-20 1999-10-20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604U KR200176303Y1 (ko) 1999-10-20 1999-10-20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6303Y1 true KR200176303Y1 (ko) 2000-03-15

Family

ID=1959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604U KR200176303Y1 (ko) 1999-10-20 1999-10-20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3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527A (ko) 2021-02-02 2022-08-09 황유찬 타일의 수평 세팅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1527A (ko) 2021-02-02 2022-08-09 황유찬 타일의 수평 세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835A (en) Molding assembly
US6212704B1 (en) Bathtub walk through insert
CN211286481U (zh) 一种卡扣式暗装踢脚线
KR200176303Y1 (ko) 타일시공을 위한 높이조절용 타일몰딩
KR200211399Y1 (ko) 문틀
KR101717737B1 (ko) 갱폼용 줄눈틀
KR200405510Y1 (ko) 장식몰딩이 장착된 화장실 칸막이구조
USD513808S1 (en) Facade for a building element
USD521657S1 (en) Trim systems component for building structures
JP2002013269A (ja) 建物用手摺
KR102629127B1 (ko) 도배용 공간형성 코너 마감재
KR200212933Y1 (ko) 천정 시공용 타일판 마감몰딩
CN209941918U (zh) 具有梯形定位机构的免打胶挡水条
JP3101739U (ja) 建物用手すり
JPS6344506Y2 (ko)
KR200334174Y1 (ko) 싱크대 상판의 측면 마감 구조
JPH0450758Y2 (ko)
KR100491759B1 (ko) 양변기 설치좌대
KR200378467Y1 (ko) 조립식 천장모서리 마감대
KR200395313Y1 (ko) 타일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타일 마감재.
CN210685284U (zh) 一种适用于装饰板安装的缓冲组件
CN210105659U (zh) 一种组合玻璃门
JP2541647Y2 (ja) 車輌用のモールデイング
KR200219927Y1 (ko) 천장 모서리 마감재
KR200284180Y1 (ko) 싱크대 상판의 뒷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