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708Y1 -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708Y1
KR200175708Y1 KR2019990019524U KR19990019524U KR200175708Y1 KR 200175708 Y1 KR200175708 Y1 KR 200175708Y1 KR 2019990019524 U KR2019990019524 U KR 2019990019524U KR 19990019524 U KR19990019524 U KR 19990019524U KR 200175708 Y1 KR200175708 Y1 KR 2001757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shaft
hinge device
cover
be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권병
Original Assignee
채권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권병 filed Critical 채권병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7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7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6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2005/102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힌지 장치는 원통부의 끝단에 구멍이 형성되고 원통부의 외주에 적어도 두개이상의 면을 갖는 구속부가 형성되는 커플링과, 구멍에 한쪽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구속부의 어느 한 면에 다른쪽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려 회전을 제한받는 축으로 구성된다. 또한, 커플링의 구속부는 연속하는 평면과 곡면 또는 세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축은 한쪽 끝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이 제1 절곡부와 수직하고 한쪽 끝단과 나란하게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가지며, 다른쪽 끝단은 제1 절곡부와 나란하고 제2 절곡부와 수직하게 절곡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커플링과 축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생산비가 저렴하고, 조립이 쉬워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커버의 회전 각도를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커버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이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힌지 장치{HINGE DEVICE}
본 고안은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산업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이 휴대하여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전자수첩 등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무게가 가볍고 크기가 작은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휴대폰은 본체와 커버, 액정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커버는 본체에 힌지 장치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고 닫히도록 결합된다. 휴대폰을 사용할 때에는 힌지 장치를 중심으로 커버를 열고 일정한 각도로 유지시키며, 일정한 각도로 열려진 커버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멈춤 수단이 채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 장치는 멈춤 수단의 구조가 복잡하여 많은 부품이 필요하고, 조립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생산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힌지 장치를 중심으로 열리는 커버가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동작되는 것이 필요하였으나, 이를 만족할 만한 힌지 장치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나 자동판매기, 지폐교환기 등과 같은 제품의 도어에 있어서도 편의성을 위하여 힌지 장치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열려진 도어 를 적절한 멈춤 수단에 의해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성이 단순하여 생산비가 저렴하고, 생산성이 높은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 각도를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동작되는 힌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Ⅰ-Ⅰ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으로 본 고안의 힌지 장치에서 구속부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상당하는 도면으로 본 고안의 힌지 장치에서 구속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플링 12: 평면부
14: 원통부 16: 구멍
18: 구속부 26: 홈
28: 절단평면 30: 축
32: 한쪽 끝단 34: 다른쪽 끝단
36: 제1 절곡부 38: 제2 절곡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원통부의 끝단에 구멍이 형성되고, 원통부의 외주에 적어도 두개이상의 면을 갖는 구속부가 형성되는 커플링과; 구멍에 한쪽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구속부의 어느 한 면에 다른쪽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려 회전을 제한받는 축으로 이루어지는 힌지 장치에 있다.
또한, 커플링의 구속부는 연속하는 평면과 곡면 또는 세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다. 그리고, 축은 한쪽 끝단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이 제1 절곡부와 대략 수직하고 한쪽 끝단과 나란하게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가지며, 다른쪽 끝단은 제1 절곡부와 나란하고 제2 절곡부와 대략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힌지 장치는 커플링(10)을 갖추고 있으며, 커플링(10)은 제품의 본체에 결합되는 평면부(12)의 한쪽에 원통부(14)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원통부(14)의 끝단에 구멍(16)이 형성되고 외주에는 구속부(18)가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구속부(18)는 평면(20a)과 곡면(20b)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대략 반달형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구속부(18)는 세개의 평면(22a, 22b, 22c)을 가지며, 구속부(18)의 각 평면(22a, 22b, 22c)은 120°로 등분되어 정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각 평면(22a, 22b, 22c)이 이루는 꼭지점은 구면(22d)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구속부(18)는 평면(22a, 22b)의 꼭지점이 수직중심선(24)과 만나는 상태에서 평면(22c)이 수직중심선(24)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θ)가 대략 110°내지 140°정도를 이루게 한다. 여기에서, 각도(θ)는 대략 130°정도를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평면(22b, 22c)의 꼭지점은 구면(22d)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속부(18)는 필요에 따라 사각 내지 팔각으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구속부(18)의 각 면이 이루는 각도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속부(18)는 원통부(14)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는 홈(26)내에 형성된다. 원통부(14)의 외주에 구속부(18)의 평면(20a) 이나 평면(22a, 22b, 22c)중 어느 한 면, 예를 들어 평면(22a)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절단평면(28)이 형성된다.
또한, 커플링(10)의 구멍(16)에는 와이어 스프링(wire spring)으로 이루어지는 축(30)의 한쪽 끝단(32)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구속부(18)의 평면(20a)이나 평면(22a, 22b, 22c)중 어느 한 면에 선택적으로 걸려 회전을 제한받는다. 축(30)은 한쪽 끝단(32)으로부터 제1 절곡부(36)가 대략 수직하게 절곡되며, 이 제1 절곡부(36)와 대략 수직하고 한쪽 끝단(32)과 제2 절곡부(38)가 나란하게 절곡된다. 그리고,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제1 절곡부(36)와 나란하고 제2 절곡부(38)와 대략 수직하게 절곡된다. 따라서, 축(30)은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축(30)의 제1 절곡부(36)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가 적용되는 제품의 커버 또는 도어에 결합된다.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커플링(10)의 홈(26)에 끼워져 그 위치를 제한받는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플링(10)의 평면부(12)를 제품의 본체에 결합시킨다. 원통부(14)의 구멍(16)에 축(30)의 한쪽 끝단(32)을 끼우면서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원통부(14)의 홈(26)에 끼운다. 이때,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이 원통부(14)의 절단평면(22)을 지나서 구속부(18)의 평면(20a)나 평면(22a)에 이르게 한 후, 다른쪽 끝단(34)을 원통부(14)의 홈(26)에 끼우면 축(30)의 조립이 쉬워진다. 그리고, 축(30)의 제1 절곡부(36)를 제품의 커버에 결합시키게 되면, 축(30)의 회전에 의해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게 본체와 커버가 결합된 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이 구속부(18)의 곡면(20b)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 절곡부(36)에 결합되는 커버는 닫혀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커버를 열게 되면, 원통부(14)의 구멍(16)에 끼워진 축(30)의 한쪽 끝단(3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구속부(18)의 곡면(20b)에 접촉하고 있던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곡면(20b)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홈(26)의 안내를 받아 평면(20a)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구속부(18)의 곡면(20b)에 의해 마찰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원활하게 미끄러지고, 축(30)의 다른쪽 끝단(34)과 제2 절곡부(38)는 커버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면서 커버의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커버를 적은 힘으로 열 수 있다.
그리고, 구속부(18)의 평면(20a)에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이 접촉되면, 축(30)의 회전이 규제되어 커버의 열림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커버를 일정한 각도로 열고 그 열림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이 구속부(18)의 평면(22c)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1 절곡부(36)에 결합되는 커버는 닫혀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를 열게 되면, 원통부(14)의 구멍(16)에 끼워진 축(30)의 한쪽 끝단(3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된다. 이와 동시에 구속부(18)의 평면(22c)에 접촉하고 있던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평면(22c)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홈(26)의 안내를 받아 평면(22b)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은 구속부(18)의 구면(22d)에 의해 마찰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원활하게 미끄러져 이동되며, 축(30)의 다른쪽 끝단(34)과 제2 절곡부(38)는 커버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면서 커버의 회전 동작을 원활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커버를 적은 힘으로 열 수 있다.
또한, 구속부(18)의 평면(22b)에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이 접촉되면, 축(30)의 회전이 규제되어 커버의 열림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커버를 일정한 각도로 열고 그 열림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면에는, 커버가 대략 130°정도로 열리는 것을 나타냈다.
한편, 커버를 닫게 되면, 커버의 열림 동작과 반대로 축(30)의 다른쪽 끝단(34)이 구속부(18)의 평면(22b)으로부터 미끄러지면서 평면(22c)쪽으로 이동되어 접촉하게 된다. 구속부(18)의 평면(22c)에 축(30)의 다른쪽 끝단이 접촉되면, 축(30)의 회전이 규제되어 커버의 닫힘 동작이 정지되며, 커버는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닫혀진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 장치에 의하면, 커플링과 축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한 구성에 의해 생산비가 저렴하고, 조립이 쉬워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커버의 회전 각도를 정확한 위치에서 고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커버의 열림 및 닫힘 동작이 적은 힘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5)

  1. 원통부의 끝단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외주에 적어도 두개이상의 면을 갖는 구속부가 형성되는 커플링과;
    상기 구멍에 한쪽 끝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구속부의 어느 한 면에 다른쪽 끝단이 선택적으로 걸려 회전을 제한받는 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구속부는 세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구속부는 연속하는 평면과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한쪽 끝단으로부터 대략 수직하게 절곡되는 제1 절곡부와, 이 제1 절곡부와 대략 수직하고 상기 한쪽 끝단과 나란하게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다른쪽 끝단은 상기 제1 절곡부와 나란하고 상기 제2 절곡부와 대략 수직하게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은 와이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KR2019990019524U 1999-09-13 1999-09-13 힌지 장치 KR20017570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9034A KR100352623B1 (ko) 1999-09-13 1999-09-13 힌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034A Division KR100352623B1 (ko) 1999-09-13 1999-09-13 힌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708Y1 true KR200175708Y1 (ko) 2000-03-15

Family

ID=1961124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524U KR200175708Y1 (ko) 1999-09-13 1999-09-13 힌지 장치
KR1019990039034A KR100352623B1 (ko) 1999-09-13 1999-09-13 힌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034A KR100352623B1 (ko) 1999-09-13 1999-09-13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57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2623B1 (ko) 2002-09-18
KR20010027333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5886A (en) Hinge apparatus
US6618903B2 (en) Hinge device
EP1488533B1 (en)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US7667959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ouble-axis hinge and locking spring
US20050278896A1 (en) Hinge device
JPH04203517A (ja) 軸の枢着装置
US8091180B2 (en) Hinge assembly
US20050155182A1 (en) Hinge device
EP2112311B1 (en) Two-axis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CN101534331A (zh) 双轴铰链装置以及电子设备
JP5112925B2 (ja) 2軸ヒンジ並びにこの2軸ヒンジ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4192398A (ja) 電子機器
KR20130020791A (ko) 개폐장치
WO2007077882A1 (ja) 回転規制機能付2軸ヒンジ装置
US20120099249A1 (en) Hinge assembly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173825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063408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기기
US8453299B2 (en) Connecting module and slid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US7356881B2 (en) Swivel hing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50102798A1 (en) Hinge for portable terminal
KR200175708Y1 (ko) 힌지 장치
US8084689B2 (en) Hinge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352046Y1 (ko) 힌지장치
JP3955685B2 (ja) 2軸ヒンジ装置
JPH0715186Y2 (ja) 機器ケースの開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