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607Y1 -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607Y1
KR200175607Y1 KR2019980005739U KR19980005739U KR200175607Y1 KR 200175607 Y1 KR200175607 Y1 KR 200175607Y1 KR 2019980005739 U KR2019980005739 U KR 2019980005739U KR 19980005739 U KR19980005739 U KR 19980005739U KR 200175607 Y1 KR200175607 Y1 KR 200175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ead
fire extinguishing
pressure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235U (ko
Inventor
남윤상
Original Assignee
남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윤상 filed Critical 남윤상
Priority to KR2019980005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607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6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감온부재가 외부의 이상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몸통부재의 내부에 가동부재가 하강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가격이 저렴하고 한 번 사용 후 재사용 가능하며, 평상시 헤드의 밑면에 설치된 간단한 구조의 압력계가 외부에 소화제통 내부압력을 표시하므로 소화압력 부족을 미리 체크하여 압력공기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한 소화장치용 헤드와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장치용 헤드는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걸림턱에 착탈되는 고정걸쇠가 구비된 감온부재가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걸쇠의 착탈에 의해 소화제의 흐름을 제어토록 한 가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소화제 분출구를 통해 소화제를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출부재로 구성된 소화장치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중앙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압력을 받아 나사산을 타고 하강토록 한 압력감지부재를 그 유도구와 함께 상기 방출부재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관통구멍에 결합하여서 된 것으로, 한쪽이 오목하고 중앙부에 헤드가 조립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전면판재와 편평한 후면판재가 접합되어 생긴 내부 공간에 소화제가 충전되고 전면 및 후면판재의 접합부에 구멍을 뚫어 천장면에 부착시키는 소화제통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본 고안은 소화장치용 헤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소화제(물, 소화분말 등)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주는 헤드와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 등에는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물 등의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로는 스프링클러와 천장부착형 자동확산 소화장치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천장부착형 자동확산 소화장치를 살펴보면, 소화장치(20)가 천장판(10)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장치(20)는 내부에 소화제가 충전되는 소화제통(21)과, 상기 소화제통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를 천장판(10)에 고정나사(23)로 고정 부착하는 천장부착판(22)과, 상기 소화제통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의 화재 여부를 판단하여 소화제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헤드(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는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보급되어 있으나, 소화제통을 포함한 몸통부 전체가 천장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화제의 상태를 외부에 알리는 압력계 등이 크게 설치되는 등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서 실내 공간의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자의 선출원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제94-7432호 등에 개시된 스프링클러는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걸림턱에 착탈되는 고정걸쇠가 구비된 감온부재가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걸쇠의 착탈에 의해 소화제의 흐름을 제어토록 한 가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소화제 분출구를 통해 소화제를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출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스프링클러를 소화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도1에서와 같이 별도의 압력계를 구비해야 하므로 이의 적용시 실내 외관을 해칠 우려가 매우 크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동시에 소화제의 압력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소화압력의 부족시 압력공기의 재충전이 가능토록 한 소화장치용 헤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소화장치용 헤드를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미관을 보다 적게 해치며, 또한 별도의 부품 교체 없이 소화제 및 압력공기를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천장부착형 소화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장부착형 소화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용 헤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소화장치용 헤드의 작동 이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소화장치용 헤드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천장판 20, 20a : 소화장치
21, 21a : 소화제통 22 : 천장부착판
23 : 고정나사 30, 30a : 헤드
31 : 몸통부재 311, 342 : 관통구멍
312 : 홈 313 : 걸림턱
32 : 고정구 33, 37 : 스프링
34 : 가동부재 341 : 로드
343 : 환형요홈 344 : 결합홈
345 : 감온편 346 : 결합편
347 : 고정걸쇠 348 : 고정링
35 : 방출부재 351 : 방출구
352 : 밑판 36 : 압력감지부재
36a : 눈금자 361 : 봉재
362 : 밀폐구 363, 343a : 밀폐링(O링)
364 : 슬라이딩편 38 : 유도구
39 : 뚜껑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소화장치용 헤드는,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걸림턱에 착탈되는 고정걸쇠가 구비된 감온부재가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걸쇠의 착탈에 의해 소화제의 흐름을 제어토록 한 가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소화제 분출구를 통해 소화제를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출부재로 구성된 소화장치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중앙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압력을 받아 나사산을 타고 하강토록 한 압력감지부재를 그 유도구와 함께 상기 방출부재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관통구멍에 결합하여서 된 데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는 한쪽이 오목하고 중앙부에 헤드가 조립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전면판재와 편평한 후면판재가 접합되어 생긴 내부 공간에 소화제가 충전되고 전면 및 후면판재의 접합부에 구멍을 뚫어 천장면에 나사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소화제통 및 상기에서 설명한 헤드로 이루어진 데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여기에 도시된 소화장치(20a)는 소화제통(21a)과 헤드(30a)로 구성되며 이는 천장면(10)에 고정나사(23)로 부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소화제통(21a)은 소화제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도록 한쪽으로 오목한 전면판재와 이 전면판재를 뒷부분을 막는 후면판재로 구성된다. 두 판재가 접합되는 부분에는 결합구멍(도면에는 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를 통하여 몇 개의 고정나사(23)로 건물의 천장면 등에 나사조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소화제통(21a)의 전면판재의 중앙부분에는 헤드가 조립될 수 있는 구멍과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소화제를 외부로 방출하는 헤드(30a)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장치용 헤드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소화장치용 헤드의 작동 전,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화장치용 헤드(30a)는 크게 몸통부재(31)와, 외부온도에 감응하여 상기 몸통부재의 내부에서 소화제의 흐름을 제어하는 가동부재(34)와, 상기 가동부재의 동작에 따라 소화제통 내부의 소화제를 외부로 유도 방출시키는 방출부재(35)와, 그리고 소화제통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외부에 나타내는 압력감지부재(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재(31)는 외부 한쪽에 소화제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다른 부분의 외주연 둘레에는 헤드를 소화제통에 조립할 때 사용하는 홈(31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재(31)의 중앙부에는 관통구멍(311)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의 중간쯤에는 외부온도에 감응하여 작동하는 감온부재의 고정걸쇠(347)가 착탈되는 걸림턱(3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34)는 몸통부재(31)의 관통구멍(11) 내부에 설치되는데, 크게 로드(341)와 감온부재로 나눌 수 있다. 로드(341)는 중앙부에 관통구멍(342)가 뚫려 있는 원통형으로서, 일측에는 밀폐링(343a)이 끼워지는 환형요홈(343)과 몸통부재(31)의 걸림턱(313)에 걸려 그 밑으로 가동부재가 내려가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한쪽에는 관통구멍(313)의 밀폐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쪽에는 감온부재의 결합편(346)이 끼워지는 결합홈(344)이 수개(도면에서는 2개) 형성되며, 관통구멍(342)의 하부에는 나사부(도면에는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감온부재는 감온편(345)과 그의 양단에 각기 형성된 결합편(346) 및 고정걸쇠(347)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감온부재는 결합편(346)을 로드(341)의 결합홈(344)에 끼운 후 그 둘레에 별도의 고정링(348)을 끼워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가동부재(34)는 소정의 스프링(33) 및 고정구(32)를 이용하여 몸통부재(31)의 관통구멍(311) 내에 설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로드(341)의 환상요홈(343)에 밀폐링(343a)를 끼우고 감온부재을 조립한 후 이를 나사부가 형성된 쪽에서 몸통부재(31)의 관통구멍(311) 안에 집어넣게 되면, 감온부재의 고정걸쇠(347)가 걸림턱(313)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게 된다. 다음 그 위에 스프링(33)을 넣고 고정구(32)를 별도 형성한 관통구멍(311)내 홈에 끼워 넣으면 스프링(33)이 조금 압착된 상태로 조립된다.
그 후 몸통부재(31)의 다른쪽에서 방출부재(35) 및 압력감지부재(36) 등을 조립하게 된다.
방출부재(35)는 원통형으로 벽에 복수개의 소화제 방출구(351)가 형성되고, 원통의 한쪽에는 중앙에 구멍이 뚫린 밑판(352)이 일체화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방출부재(35)는 이에 의해 직접 가동부재(34) 하단에 조립되지 않고 후에 설명하는 압력감지부재(36)와 함께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압력감지부재(36)는 일단의 막대와 같은 봉재(361)의 윗부분에 원통형 밀폐구(362)가 형성되고 이 밀폐구의 외주연에는 밀폐링(363)이 끼워져 있으며, 봉재(361)의 중간부분에는 약간 비스듬하게 편상의 슬라이딩편(364)이 형성되고, 단부에는 눈금자(36a)를 조립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출부재(35)와 압력감지부재(36)는, 별도로 압력감지부재(36)의 슬라이딩편(364)이 압력이 의해 미끄러지면서 하강 또는 상승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외부에도 로드(341)의 관통구멍에 조립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밑판에는 압력을 나타내는 눈금과 그 중앙에 작은 구멍이 형성된 유도구(38)와, 스프링(37)과, 눈금자(36a)와, 그리고 뚜껑(39) 등을 사용하여 조립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구(38) 내부에 스프링(37)을 집어넣고 압력감지부재(36)의 나사산이 형성된 단부가 밑판의 구멍 바깥쪽에 위치토록 끼우고 상기 나사산에 눈금자(36a)를 조립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슬라이딩편(364)이 유도구(38) 내부의 나사산에 헐겹게 끼워지게 되고 안에 넣은 스프링(37)에 의해 밑으로 슬라이딩되지 못하고 고정된다. 다음 방출부재(35)를 중앙부 구멍을 통해 유도구(38) 끼운 후 유도구(36)를 로드(341)의 관통구멍(342)에 나사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헤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되며 이 헤드를 소화제통에 조립하면 도 2에 도시된 소화장치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헤드의 작용, 효과를 도 5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헤드는 천장부착형 자동확산 소화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소화제통에 직접 조립되고, 스프링클러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몸통부재(31)에 형성된 나사부를 이용하여 천장 내부에 설치된 소화제 배출파이프에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소화장치가 설치된 평상의 상태에서는 감온부재(18)의 고정걸쇠(347)가 몸통부재(31)의 걸림턱(313)에 걸려 지지되므로 가동부재(34)의 로드(341) 상부가 관통구멍(311)의 상부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로드의 외주연에 끼워진 밀폐링(343a)이 관통구멍(311)과 긴밀히 접속되므로 소화제통(21a) 내부의 소화제가 로드(341)의 하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한편 로드(341)의 관통구멍(342)을 통해 소화제통((21a) 내부의 압력이 압력감지부재의 밀폐구(362)에 전해지게 되므로 슬라이딩편(364)의 회전에 의해 눈금자(36a)가 일정압력을 지시하게 되고 압력이 떨어지면 상기 슬라이딩편(364)가 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해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되어 압력눈금이 변하게 되므로 관리자는 이를 인지하여 소화제를 밀어내는 압력공기를 미리 보충해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재 등이 발생하면 소화장치가 설치된 천장 부근의 온도가 상승하여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감온부재의 감온편(345)이 외부온도에 반응하여 안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이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걸쇠(347)가 몸통부재(31)의 걸림턱(313)으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부재(34)와 가동부재(34)에 조립된 방출부재(35) 및 그 외의 부품들이 함께 로드(341)의 상부가 걸림턱(313)에 걸려 더 이상 밑으로 하강하지 못할 때까지 신속하게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동부재(34)가 하강하면 관통구멍(311)을 따라 소화제가 헤드의 출수구쪽으로 내려오고 출수구를 통해 흐르는 소화제가 방출부재(35)의 방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소화제가 분산되어 화재를 진압하고 난 후에는 외부온도의 하강으로 감온편(345)이 초기 상태로 복원되므로 가동부재(34)의 로드(341)를 몸통부재(31)의 내부로 밀어 넣어 고정걸쇠(347)가 몸통부재(31)의 걸림턱(10)에 걸리도록 하므로써 재사용이 가능해지게 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감온부재가 외부의 이상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몸통부재의 내부에서 가동부재가 하강하는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소화장치 및 그 헤드를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한번 사용후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평상시 헤드의 밑면에 설치된 간단한 구조의 압력계가 외부에 소화제통 내부압력을 표시하게 되므로 소화제 부족을 미리 체크하여 보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몸통부재와, 상기 몸통부재의 걸림턱에 착탈되는 고정걸쇠가 구비된 감온부재가 하부에 장착되어 고정걸쇠의 착탈에 의해 소화제의 흐름을 제어토록 한 가동부재와,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의 하부에 장착되어 복수개의 소화제 분출구를 통해 소화제를 외부로 분산시키는 방출부재로 구성된 소화장치의 헤드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중앙부에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압력을 받아 나사산을 타고 하강토록 한 압력감지부재를 그 유도구와 함께 상기 방출부재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가동부재의 관통구멍에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용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지부재는 일단의 봉재 윗부분에 형성된 원통형 밀폐구의 외주연에는 밀폐링이 끼워지고 봉재의 중간부분에는 비스듬하게 편상의 슬라이딩편이 형성되어, 밀폐구에 가해지는 압력변화에 의해 슬라이딩편이 나사산을 타고 승강토록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장치용 헤드.
  3. 한쪽이 오목하고 중앙부에 헤드가 조립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전면판재와 편평한 후면판재가 접합되어 생긴 내부 공간에 소화제가 충전되고 전면 및 후면판재의 접합부에 구멍을 뚫어 천장면에 나사로 부착하는 소화제통 및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헤드로 이루어진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KR2019980005739U 1998-04-13 1998-04-13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KR200175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739U KR200175607Y1 (ko) 1998-04-13 1998-04-13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739U KR200175607Y1 (ko) 1998-04-13 1998-04-13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35U KR19980019235U (ko) 1998-07-06
KR200175607Y1 true KR200175607Y1 (ko) 2000-05-01

Family

ID=1953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739U KR200175607Y1 (ko) 1998-04-13 1998-04-13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6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930A (ko) * 2020-09-21 2022-03-29 신동기 순간 압력 저감 부재가 구성된 휴대용 부탄가스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8930A (ko) * 2020-09-21 2022-03-29 신동기 순간 압력 저감 부재가 구성된 휴대용 부탄가스용기
KR102406073B1 (ko) * 2020-09-21 2022-06-07 신동기 순간 압력 저감 부재가 구성된 휴대용 부탄가스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235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3294B1 (en) Protective cap of sprinkler head and sprinkler head
CA1047577A (en) Concealed sprinkler assembly
US4066129A (en) Sprinkler head assembly
US7275603B2 (en) Concealed pendent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drop-down deflector
EP0797466B1 (en) Sprinkler
US8474545B2 (en) Sprinkler head
KR100258011B1 (ko) 소화장치
US20090056958A1 (en) Concealed pendent fire protection sprinkler with drop-down deflector
JP2013240468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保護キャップおよび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US5562233A (en) Indicator for a device for the inflation of a container or a floating body of an item of lifesaving equipment
KR200175607Y1 (ko) 소화장치용 헤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부착형 소화장치
US4214631A (en) Sprinkler head with heat sensitive cover release and valve release mechanism
CN112843562A (zh) 一种齐平式喷头
EP3880894A1 (en) A fixture pod for a lavatory fixture
CN214596948U (zh) 一种齐平式喷头
CN215876023U (zh) 一体式消防自救呼吸器半面罩
KR20000006829U (ko) 소화장치용 헤드
JP6087633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JP3028373B2 (ja) 乾式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アダプター
JP2717341B2 (ja) 流体の充満確認機能を有す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とこれを使用した流体の充満確認方法
JP2004024555A (ja) 埋込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CN220738016U (zh) 一种顶喷结构
KR102580010B1 (ko) 측벽용 스프링클러 헤드
WO2023068339A1 (ja) 側壁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用の付属品
KR20000007155U (ko) 수동 및 자동 겸용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