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591Y1 -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 Google Patents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591Y1
KR200175591Y1 KR2019950000300U KR19950000300U KR200175591Y1 KR 200175591 Y1 KR200175591 Y1 KR 200175591Y1 KR 2019950000300 U KR2019950000300 U KR 2019950000300U KR 19950000300 U KR19950000300 U KR 19950000300U KR 200175591 Y1 KR200175591 Y1 KR 200175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battery
sealed
electrode pl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804U (ko
Inventor
서광원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에스디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50000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5591Y1/ko
Publication of KR9600278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8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286Cells or batterie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30Nickel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에 관한 것으로서, 축전지의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제조공정의 자동화를 쉽게 하는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제1도는 종래의 축전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축전지 극판을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양극판 32 : 음극판
33 : 세퍼레이터
이 고안은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포함한 밀폐형축전지 극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축전지내 극판의 단락을 방지하여 축전지의 불량을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화학적, 물리적 반응을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의 총칭으로써, 라디오, 자동차등에 널리 사용되며 1차, 2차, 및 3차 전지로 분류된다.
1차 전지는 수은 전지, 알카라인 전지등을 말하며, 1회 사용후에 폐기하는 것을 총칭한다.
2차 전지는 니켈 카드뮴 전지, 알카리 축전지, 납 축전지등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충전지를 말하고, 사용후에 재충전하여 반복 사용하므로 효율적인 전지로 알려져 있다.
3차 전지는 연료 전지, 태양 전지를 말하며, 1차와 2차 전지로 분류되지 않는 전지를 총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축전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일반적인 축전지는 내부에 음극판(11)과, 양극판(12)이 있고, 그 사이에는 세퍼레이터(13)를 삽입하여 양극판(12)과 음극판(11)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며, 음극판(11), 양극판(12), 그리고 세퍼레이터(13)를 일체형으로 한 극판 에셈블리(14)를 원형으로 말아 캔(15)의 안에 삽입한다. 그리고, 캔(15)의 내부에 수산화 칼륨(KOH)등의 전해액(16)을 주입하고 캔(15)을 밀봉하며, 양극 성질을 갖는 돌출부(17)가 상부에 구성된다.
제2도는 종래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축전지 극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축전지 극판의 구성은 니켈 전극으로 된 양극판(21)과, 수소 흡장 합금 전극으로 된 음극판(22)과, 두 극판(21, 22)이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세퍼레이터(23)와, 두 극판(21, 22) 끝부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두 극판 (21, 22)의 시작부와 세퍼레이터(23)의 사이에 삽입되는 세퍼레이터 조각(24)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축전지 극판은 세퍼레이터 조각을 개재시키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기때문에 제조단가 상승 및 자동화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축전지의 제조단가를 감소시키고, 제조공정의 자동화를 쉽게하는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니켈 전극으로 된 양극판과, 수소 흡장 합금 전극으로 된 음극판과, 상기한 두 극판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한 두 극판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한 두 극판의 시작부에 두께 편차를 둔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축전지 극판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니켈 전극으로 된 양극판(31)과, 수소 흡장 합금 전극으로 된 음극판(32)과, 두 극판(31, 32)이 접촉하지 않도록, 두 극판(31, 32)의 사이에 삽입되며, 극판 어셈블리를 원형으로 마는 공정에서, 두 극판(31, 32)의 끝이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극판(31, 32)의 시작부에 두께 편차를 둔 세퍼레이터(3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축전지를 만드는 공저에서, 니켈 전극으로 된 양극판(31)과 수소 흡장 합금 전극으로 된 음극판(32)의 사이에 두 극판이 접촉하지 않도록 세퍼레이터(33)를 삽입한다. 이때 두 극판(31, 32)의 시작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세퍼레이터(33) 두께를, 두 극판(31, 32)쪽으로 두껍게 만들어서, 극판 어셈블리를 원형으로 마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두 극판(31, 32) 끝의 단락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축전지의 제조공정에서, 종래와 같이 세퍼레이터 조각을 함께 개재시키는 별도의 공정을 없애는, 즉, 복잡한 공정과 이에 따르는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를 없애는, 그리고 축전지 조립 공정이나 충,방전 싸이클(Cycle) 반복시에 일어날 수 있는 극판간의 단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퍼레이터 조각을 삽입하는 모든 축전지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

  1. 니켈 전극으로 된 양극판(31)과, 수소 흡장 합금 전극으로 된 음극판(32)과, 상기한 두 극판(31, 32)이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한 두 극판(31, 32)의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한 두 극판(31, 32)의 시작부에 두께 편차를 둔 세퍼레이터(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2. 상기한 세퍼레이터(33)는, 상기한 두 극판(31, 32)의 시작부에 해당하는 위치의 세퍼레이터(33) 두께를, 두 극판(31, 32)쪽으로 두껍게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KR2019950000300U 1995-01-10 1995-01-10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KR200175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300U KR200175591Y1 (ko) 1995-01-10 1995-01-10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300U KR200175591Y1 (ko) 1995-01-10 1995-01-10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04U KR960027804U (ko) 1996-08-17
KR200175591Y1 true KR200175591Y1 (ko) 2000-04-01

Family

ID=1940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300U KR200175591Y1 (ko) 1995-01-10 1995-01-10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5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04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171980A (ja) アルカリ蓄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666974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nickel metal-hydride storage battery
JP2000082484A (ja) 二次電池の電極ロ―ル
US5843594A (en) Group of winding electrodes
KR200175591Y1 (ko) 두께 편차를 갖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 밀폐형 축전지 극판
JP2001176455A (ja) 円筒形二次電池
CN112382775B (zh) 一种自密封阴极易固定的金属空气燃料电池
JPH09167637A (ja) 円筒形電池の短絡検出法
JP2001160384A (ja) 円筒形二次電池
CN219717065U (zh) 电池壳体组件及锂离子电池
KR100572223B1 (ko) 밀폐형 축전지
JP3826607B2 (ja) 円筒型蓄電池
CN220122037U (zh) 一种圆柱型锂离子电池
JP2002175785A (ja) 円筒形二次電池
CN203055996U (zh) 防止极群反装的蓄电池盒及蓄电池
JPH11195410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CN221040847U (zh) 一种电容及化学电池的密封结构
JP2002203592A (ja) 円筒形二次電池
KR100322097B1 (ko) 이차 전지
JP2002203589A (ja) 円筒形二次電池
JPS61133571A (ja) 扁平形電池
JP3163509B2 (ja) ハイブリッド両極極板の製造方法
JP2002203591A (ja) 円筒形二次電池
KR100287123B1 (ko) 알카리-아연2차전지
KR20010039432A (ko) 밀폐 전지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