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160Y1 -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 - Google Patents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160Y1
KR200175160Y1 KR2019990017272U KR19990017272U KR200175160Y1 KR 200175160 Y1 KR200175160 Y1 KR 200175160Y1 KR 2019990017272 U KR2019990017272 U KR 2019990017272U KR 19990017272 U KR19990017272 U KR 19990017272U KR 200175160 Y1 KR200175160 Y1 KR 200175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ter
melt
introduction
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건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건백 filed Critical 주식회사건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1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29C47/68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에 관한것으로서, 압출기(1)의 용융부(101)에 결착되는 플랜지(2)의 연결관(201) 전방양쪽에 공지의 여과통(3)(4)을 연결관(201)과 평형이 되게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양쪽 여과통(3)(4)사이에는 플랜지(2)의 연결관(201)이 중앙측부로 직교되게 연결되는 도입관(6)과, 저면 중앙에 압출판(10)의 낙하관(11)이 하측 직교방향으로 체결된 배출관(7)을 전후로 마련한 다음 각각의 양끝단을 양쪽 여과통(3)(4)일측면에 결착시켜 연결관(201)에서 부터 압출판(10)까지 연통되도록 하고 도입관(6)양측에 통상의 도입제어밸브
(601)(602)를 장치하되, 양측 도입제어밸브(601)(602)사이에 연결관(201)이 위치되도록하여 용융부(101)의 용융물을 양쪽 여과통(3)(4)으로 분할 공급되게 하거나 도입제어밸브(601)(602)를 이용하여 일측 여과통(3)으로만 공급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압출기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양쪽 여과통(3)(4)내의 여과망(5)을 선택적으로 번갈아 교체할수 있도록하여 용융압출의 생산능률을 극대화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Press Part Structure of Solution Press Machine}
본 고안은 주로 폐 합성수지제를 용융압출하여 재 활용 할수있게하는 용융압출기의 압출부 구조에 관한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용융부 양쪽으로 여과통을 배치하고 이를, 양측에 밸브가 각각 구성된 도입관과 배출관으로 연결하면서 배출관 하측에 압출판을 연결하며 도입관 중앙부에는 용융부와 연결되는 플랜지의 연결관을 연결하여 용융부의 용융물을 양쪽 여과통으로 분할 공급되게 하거나 밸브를 이용하여 일측 여과통으로만 공급할수 있도록 하므로서 압출기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양쪽 여과통내의 여과망을 선택적으로 번갈아 교체할수 있도록하여 용융압출의 생산능률을 극대화 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용융압출기의 압출부(40) 구조는 첨부도면 도 9에서와 같이 용융부(50)와 연결되는 플랜지(51)의 연결관(511)전방으로 여과통(60)을 단수 또는 복수로 마련하여 여과통(60)자체에 연결관(511)과 압출판(70)이 연결되도록 하였으므로 여과통(50)과 연결관(511) 그리고 압출판(70)이 일렬로 되었다.
이러한 구조로 되는 압출부(40)에는 용융부(50)에서 용융된 용융물이 용융부(50)내에 설치된 스크류우에 의해 연결관(511)쪽으로 밀려나와 곧바로 여과통(60)으로 도입되고 도입된 용융물은 여과통(60)내에서 여과되어 압출판(70)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같이 용융물이 연결관(511)에서 부터 압출판(70)까지 일자형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여과통(60)내의 여과망 교체 및 여과통(60)내를 소재할때 여과통(60)이 설치된 갯수에 무관하게 압출기(30)의 이송작동(스크류우 작동)을 정지시킨 다음 여과망교체와 여과통(60)내의 소재를 실시하여야 할때 압출기(30)의 이송작동은 정지되지만 가열장치(히터)는 계속 작동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압출기(30)의 이송작동을 정지시킨 후 여과망교체 및 여과통(60)내의 소재를 실시하게되면 여과통(60)내와 연결관(511) 그리고 압출판(70)사이에 존재하는 용융물이, 계속 작동중인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면서 타게되어 점도가 떨어진 폐 용융물을 다량 발생시키는 결점이 있었고 이로인해 재료의 낭비가 컸던 폐단과 아울러 압출기(30)의 전원낭비도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폐단들을 한꺼번에 해결하기위해 용융부에서 용융된 용융물을 선택적으로 전방양측의 여과통으로 분할공급 또는 일방향 공급되게 한 압출부 구조를 고안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용융압출기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압출부 평면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밸브부 단면예시도
도 5는 도 4의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의 밸브부 또 다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작동도
도 8은 용융압출기의 압출여과통 단면예시도
도 9는 종래의 압출부 평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출기 101 : 용융부
101a : 연결환판 102 : 압출부
2 : 플랜지 201 : 연결관
3,4 : 여과통 5 : 여과망
6 : 도입관 601,602 : 도입제어밸브
7 : 배출관 701,702 : 배출제어밸브
8,8' : 돌출관 9 : 밸브
10 : 압출판 11 : 낙하관
12 : 가열구 13 : 삼방밸브
용융부(101)의 연결환판(101a)에 연결관(201)이 형성된 플랜지(2)를 체결하는 용융압출기에 있어서, 연결관(201) 전방양쪽에 공지의 여과통(3)(4)을 연결관(201)과 평형이 되게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양쪽 여과통(3)(4)사이에는 플랜지(2)의 연결관(201)이 중앙측부로 직교되게 연결되는 도입관(6)과, 저면 중앙에 압출판(10)의 낙하관(11)이 하측 직교방향으로 체결된 배출관(7)을 전후로 마련한 다음 각각의 양끝단을 양쪽 여과통(3)(4)일측면에 결착시켜 연결관(201)에서 부터 압출판(10)까지 연통되도록 하고 도입관(6)양측에 보울트형 통상의 도입제어밸브(601)(602)를 장치하되, 양측 도입제어밸브(601)(602) 사이에 연결관(201)이 위치되도록 하여서된 구조이며,
또한 배출관(7)의 저면 압출판(10) 양측으로, 밸브(9)를 가진 돌출관(8)(8')을 형성하고 양측 돌출관(8)(8')과 중앙의 압출판(10)사이에는 배출제어밸브(701)(702)를 각각 설치하고,
또한 도입관(6)과 연결관(201)이 교차하는 교차부와 배출관(7)과 양측의 돌출관(8)(8')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통상의 삼방밸브(13)를 각기 설치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플랜지(2)의 연결관(201)이 도입관(6)중앙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융부(101)에서 용융된 용융물이 연결관(201)로 외출됨과 동시에 도입관(6)양측으로 흘러 양쪽의 여과통(3)(4)로 각각 공급되며 이렇게 여과통(3)(4)으로 공급된 용융물은 여과통(3)(4)에서 여과되어 배출관(7)로 빠져나와 배출관(7)중앙의 압출판(10)에 의해 모여서 외출되게 된다.
이때 도입관(6)의 양측에 장치된 도입제어밸브(601)(602)중 일측 도입제어밸브(601)만 닫으면 도입관(6)양측으로 흐르는 용융물의 일측흐름이 멈춰짐과 동시에 타측의 흐름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일측 여과통(3)을 분해하여 여과망(5) 교체 및 여과통(3)내부 소재를 압출기(1)의 작동을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실시할수 있음과 동시에 계속적인 압출작업이 가능케된다.
또한 배출관(7)의 압출판(10)양측에 배출제어밸브(701)(702)와 밸브(9)가 장치된 돌출관(8)(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여과통(3)내부소재 또는 여과망(5)을 교체 하기위해 일측 도입제어밸브(601)를 닫을 때 일측 배출제어밸브(701)와 일측 돌출관(8)의 밸브(9)를 동시에 잠그게 되면 분해되는 일측 여과통(3)과 압출판(10)사이에는 압출판(10)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잔여 용융물이 존재하면서 계속 작동하는 용융부(101)의 용융열에 의해 타게되어 사용할수 없는 폐 용융물이 되게된다.
이렇게 여과통(3)의 내부 소재 또는 여과망(5)교체작업이 끝 난 후에 닫혀진 일측 도입제어밸브(601)를 개방하면 새로운 용융물이 폐 용융물을 압출판(10)으로 밀어내게 되는데 이때 일측 돌출관(8)의 밸브(9)를 열면 폐 용융물이 일측 돌출관(8)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같이 폐 용융물이 완전히 배출될때까지 일측 배출제어밸브(701)를 닫은상태로 유지시킨다음 페 용융물이 완전히 배출된 후 일측 배출제어밸브(701)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일측 돌출관(8)의 밸브(9)를 닫으면 압출작업을 연속시킬수 있으므로 폐 용융물의 제거를 압출판(10)을 배출관(7)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가능케 된다
또한 도입관(6)과 연결관(201)그리고 배출관(7)과 돌출관(8)(8')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삼방밸브(13)가 각기 장치되어 첨부도면 도 7에서와같이 작동시킴으로서 용융물의 흐름을 제어할수 있으므로 흐름제어를 간편하게 실시할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이 용융부에서 도입되는 용융물을 도입관(6)양측의 여과통(3)(4)로 분할 공급되게 하고 필요시(일측 여과통(3)내부소재 또는 여 과망(5)교체)에 양측방으로 흐르는 용융물의흐름을 일측방으로만 흐를수 있도록 하므로서 일측 여과통(3)내부 소재 및 여과망(5)교체시에도 압출기(1)의 작동을 정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측 여과통(4)에 의거시켜 계속적인 용융압출작업을 실시할수 있고 이와함께 폐 용융물의 제거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 할수있어 적은 인력으로도 용융압출작업의 능률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 이점과 과 아울러 압출기(1)의 동력 낭비도 줄일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용융부(101)의 연결환판(101a)에 연결관(201)이 형성된 플랜지(2)를 체결하는 용융압출기에 있어서, 연결관(201) 전방양쪽에 공지의 여과통(3)(4)을 연결관(201)과 평형이 되게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양쪽 여과통(3)(4)사이에는 플랜지(2)의 연결관(201)이 중앙측부로 직교되게 연결되는 도입관(6)과, 저면 중앙에 압출판(10)의 낙하관(11)이 하측 직교방향으로 체결된 배출관(7)을 전후로 마련한 다음 각각의 양끝단을 양쪽 여과통(3)(4)일측면에 결착시켜 연결관(201)에서 부터 압출판(10)까지 연통되도록 하고 도입관(6)양측에 통상의 도입제어밸브(601)(602)를 장치하되, 양측 도입제어밸브(601)(602)사이에 연결관(201)이 위치되도록 하여서된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배출관(7)의 저면 압출판(10) 양측으로, 밸브(9)를 가진 돌출관(8)(8')을 형성하고 양측 돌출관(8)(8')과 중앙의 압출판(10)사이에는 배출제어밸브(701)(702)를 각각 설치하여서된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
  3. (정정) 제 1항에 있어서, 도입관(6)과 연결관(201)의 직교 연결부에 통상의 삼방밸브(13)를 설치하여서된 용융압출기의 압출부 구조
KR2019990017272U 1999-02-24 1999-08-20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 KR2001751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182 1999-02-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182 Division 1999-02-24 1999-0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160Y1 true KR200175160Y1 (ko) 2000-03-15

Family

ID=1957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272U KR200175160Y1 (ko) 1999-02-24 1999-08-20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1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0077A (en) Backflushable rotary melt polymer filter apparatus
KR10143089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US20130087498A1 (en) Filtering device for highly viscous media
CN205323547U (zh) 一种开放式外压中空纤维膜组件
KR200175160Y1 (ko) 용융압출기의 압출부구조
KR101135743B1 (ko) 용융방사설비의 여과장치
CN206716868U (zh) 一种弯曲模具辅助加热成型结构
CN210911102U (zh) 一种水循环式双螺杆挤出机
KR102260792B1 (ko) 합성수지 용융 압출기
TWI732053B (zh) 用於塑膠熔體之過濾的裝置、具有此裝置的系統及更換此裝置之過濾管柱的方法
CN218188309U (zh) 一种模温机的过滤装置
CN202878636U (zh) 一种塑料挤出机的不停机双工位换网器
KR102070413B1 (ko) 수지 여과 시스템
JP2009160935A (ja) 特にプラスチック処理設備用のフルイド濾過装置
CN107791489A (zh) 无丝网过滤器的排杂装置
KR100999457B1 (ko) 폐플라스틱 원료 스크린 장치
CN207657149U (zh) 一种塑料母粒生产用过滤装置
KR101800354B1 (ko) 합성섬유 용융방사용 필터 장치
CN217454867U (zh) 全自动熔体过滤装置
KR20120025642A (ko) 연속식 화이버 압출장치
CN213629907U (zh) 一种多药剂罐底部输送管道
KR200273538Y1 (ko) 폴리프로필렌 섬유제 건설용 폐안전망의 재생용 압출기
CN214188354U (zh) 双柱无丝网过滤器
CN219686500U (zh) 挤出机
CN211224803U (zh) 沥青存储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