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5040Y1 - 척추경 나사못 - Google Patents

척추경 나사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5040Y1
KR200175040Y1 KR2019990021672U KR19990021672U KR200175040Y1 KR 200175040 Y1 KR200175040 Y1 KR 200175040Y1 KR 2019990021672 U KR2019990021672 U KR 2019990021672U KR 19990021672 U KR19990021672 U KR 19990021672U KR 200175040 Y1 KR200175040 Y1 KR 200175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rod
high information
pedicle
informatio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곤
Original Assignee
김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곤 filed Critical 김성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5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5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5Elements to be fitted on the end of screws or wires, e.g. protective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3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comprising bone transfixation elements, e.g. bolt with a distal cooperating element such as a 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2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 A61B17/7233Intramedullary pins, nails or other devices with special means of locking the nail to the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 척추경(1)에 직접 삽입고정되는 나사봉(2)과, 이 나사봉(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로드(3)가 안착하는 U자형 홈(4)이 형성되고, 이 U자형 홈(4) 내측면에 나사(5)가 구비된 헤드부(6)와, 상기 헤드부(6)의 U자형 홈(4) 내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로드(3)를 눌러서 고정해주는 한편, 상면에는 스크루우드라이버용 또는 렌치용 홈(7)이 형성된 고정보울트(8)와, 하단은 상기 고정보울트(8) 하단에 형성된 그루브(9)에 삽입되는 돌기(10)가 형성되고, 몸체(11)는 상기 고정보울트(8)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과 상기 고정보울트(8)의 외주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안으로 상기 헤드부(6)의 측벽이 슬라이드 삽입되게 되어 상기 고정보울트(8)에 대하여는 자유롭게 회전하지만 상하방향으로는 고정보울트(8)와 함께 이동하면서 고정보울트(8)가 로드(3)를 눌러서 고정할 때 헤드부(6)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된 고정링(12)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고정된 나사봉에 단지 고정보울트만 나사결합시켜 주면 로드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척추경과 인접한 척추경을 연결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경 나사못{Pedicle Screw}
본 고안은 정형외과부문에서 척추수술에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상된 척추 일부가 인접된 다른 부분에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된 2개의 척추경을 서로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이다.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가 그 상태에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활동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 다른 인접한 부분에 눌려지거나 닿게 됨으로써 통증을 유발하게 되고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이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환자의 경우 그 손상된 척추부분이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인접한 척추부분을 인공보조물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수술을 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척추지지용 인공보조물은 통상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술방법은 손상된 부분의 상하측에 배치된 척추경(101)에 각각 나사못(102)을 삽입한 후, 로드(103)가 이들 나사못(102)들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 척추수술방법에서 로드(103)를 지지하는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 못(102)의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부품수가 많아서 수술도중에 설치작업이 까다롭고, 특히 나사못헤드측에 체졀되는 너트 및 로드체결용 보울트가 별개로 분리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조립작업을 별도로 해야하는 등 조립공수가 늘어나므로 수술시간이 길어진다. 뿐만아니라 너트와 보울트는 통상 크기가 작고 분리되어 있으므로 조립작업중 너트나 보울트를 놓치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경(101)에 직접 삽입되어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나사봉(104)을 포함하며, 이 나사봉(104)은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U자형 홈(105)이 형성된 헤드부(106)를 구비하여 이 헤드부(106)의 U자형 홈(105)에 로드(103)를 안착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상기 U자형 홈(105)의 상단 내벽에는 나사(107)가 형성되어 이 나사(107)에 로드고정용 보울트(108)가 나사결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그 보울트(108)의 하단이 상기 U자 형 홈(105)안에 안착한 로드(103)를 가압하여 고정해주게 되어 있는 한편, 상기 헤드부(106)의 외측에도 나사(107)가 형성되고, 이 헤드부(106)의 외측 나사(107)부에는 고정링(109)이 나사결합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로드고정용 보울트(108)가 상기 헤드부(106)에 나사결합될 때 그 헤드부(106)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102)을 척추경(101)에 삽입설치하고나서 이 나사못(102)에 로드(103)를 고정체결하기 위하여는 보울트(108) 체결작업 뿐만아니라 고정링(109) 체결작업도 하여야 하므로 로드(103)설치작업하는 데 많은 수의 공수가 필요하게 되어 수술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고, 또한 고정링(109)과 보울트(108)가 별개의 부품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수술작업도중에 떨어뜨리기 쉬운 단점이 있다.
특히 나사못(102)은 헤드부(106)와 나사봉(104)이 구분되어 있고, 헤드부(106)의 직경이 나사봉(104)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나사못(102)의 강도상 나사봉(104)의 직경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나사못(102)의 직경방향 크기를 일정한 크기 이하로는 줄일 수 없다. 이는 신체 내부에 반 영구적으로 삽입한 상태로 지내야하는 척추수술의 특성에 비추어 치명적인 단점이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정형외과 부문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이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척추 수술시 척추경에 간편하게 고정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하여 수술진행시의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부피나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일 수 있도록 된 척추경 나사못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척추경에 직접 삽입고정되는 나사봉과, 이 나사봉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로드가 안착하는 U자형 홈이 형성되고, 이 U자형 홈 내측면에 나사가 구비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U자형 홈 내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로드를 눌러서 고정해주는 한편, 상면에는 스크루우드라이버용 홈 또는 렌치용 홈이 형성된 고정보울트와, 하단은 상기 고정보울트 하단에 형성된 그루브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몸체는 상기 고정보울트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과 상기 고정보울트의 외주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안으로 상기 헤드부의 측벽이 슬라이드 삽입되게 되어 상기 고정보울트에 대하여는 자유롭게 회전하지만 상하방향으로는 고정보울트와 함께 이동하면서 고정보울트가 로드를 눌러서 고정할 때 헤드부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된 고정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나사봉이 헤드부와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봉이 헤드부에 대하여 관절운동을 할 수 있게 볼 조인트결합된 구조로 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로드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나사봉의 결합방향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져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나사못을 이용하여 로드로 척추경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못을 이용하여 로드로 척추경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척추경 2 : 나사봉
3 : 로드 4 : U자형 홈
5 : 나사 6 : 헤드부
7 : 스크루우드라이버용 또는 렌치용 홈 8 : 고정보울트
9 : 그루브 10 : 돌기
11 : 몸체 12 : 고정링
13 : 나사못 14 : 체결홀
15 : 체결홈 16 : 결합용 헤드
이하 본 고안에 따라 척추경 나사못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 연결용 나사못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 연결용 나사못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나사못을 이용하여 로드로 척추경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13)은 척추의 손상된 부분에 상하로 인접된 척추경(1)마다 고정설치되는 나사봉(2)을 포함한다. 이 나사봉(2)의 상단에는 헤드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헤드부(6)에는 상단에서 중심축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U자형 홈(4)이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6)의 U자형 홈(4)에는 인접한 다른 척추경 나사못(13)의 헤드부(6)에 한쪽 선단이 얹혀져 지지되는 로드(3)의 다른 쪽 선단이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부(6)의 U자형 홈(4) 내주면에는 나사(5)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헤드부(6)의 나사(5)에 고정보울트(8)가 나사결합됨으로써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상기 로드(3)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보울트(8)는 그 상면에 스크루우드라이버용 홈(7) 또는 렌치용 홈(7)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공구를 홈(7)에 삽입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보울트(8)를 나사못(13)의 헤드부(6) 내측에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보울트(8)에는 일체로 고정링(12)이 설치되어 고정보울트(8)의 체결 및 해제에 따라 동시에 고정링(12)도 체결 및 해제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보울트(8)의 하단에 그루브(9)가 형성되어 이 그루브(9)에 삽입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12)의 하단에 각각 내측으로 대응되게 돌출된 돌기(10)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정보울트(8)에 결합된 고정링(12)은 그 몸체(11)가 고정보울트(8)의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보울트(8)가 나사못(13)의 헤드부(6) 내측에 체결되어 하강하게 되면, 상기 고정링(12)의 몸체(11)와 상기 고정보울트(8)의 외주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안으로 상기 나사못(13)의 헤드부(6) 측벽이 슬라이드 삽입됨으로써 상기 헤드부(6)의 내외측으로 각각 고정보울트(8)와 고정링(12)이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고정링(12)은 고정보울트(8)에 대하여서는 자유롭게 회전하지만 상하방향으로는 고정보울트(8)와 함께 이동하면서 고정보울트(8)가 상기 로드(3)를 눌러서 고정할 때 헤드부(6)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나사못(13)은 티타늄(Ti) 재질로 성형되어 척추경(1)과 그에 인접한 척추경(1)을 로드(3)로 이어주기 위해 설치되는 의료 보조물로서, 척추경(1)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봉(2)과 그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6)를 매개로 고정링(12)과 결합된 고정보울트(8)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헤드부(6)의 U자형 홈(4)에 삽입된 로드(3)를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나사못(13)을 이용하여 척추경(1)과 척추경(1) 사이를 로드(3)로 연결시키는 구조는, 우선 상기 나사못(13)의 나사봉(2)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각각의 척추경(1)에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시키고, 각각의 나사못(13)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6)에 로드(3)를 삽입시키되 상기 로드(3)가 헤드부(6)의 U자형 홈(4)에 안착되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12)이 결합된 상기 고정보울트(8)를 나사못(13)의 헤드부(6)에 삽입시키고, 상기 고정보울트(8)의 상부에 형성된 홈(7)에 공구를 삽입시켜 고정보울트(8)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헤드부(6)의 내외측으로 고정보울트(8)와 고정링(12)을 체결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링(12)은 헤드부(6)의 외측을 감싸면서 헤드부(6)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게 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보울트(8)의 바닥부가 상기 로드(3)를 눌러 고정하면서 체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나사못(13)의 헤드부(6) 내외측으로 고정보울트(8)와 고정링(12)이 동시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로드(3)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빠른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사못(13)은 그 크기가 작게 성형되어야 인체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나사못(13)을 이루는 고정보울트(8)나 고정링(12)의 직경을 보다 작게 성형함으로써 나사못(13)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나사못(13)의 나사봉(2)과 그 상부의 헤드부(6)가 서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즉 상기 나사봉(2)이 헤드부(6)와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봉(2)이 헤드부(6)에 대하여 관절운동을 할 수 있게 볼 조인트결합된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상기 헤드부(6)의 바닥부에 체결홀(14)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내측에 반원형의 체결홈(15)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봉(2)의 상부에 반구형의 결합용 헤드(16)가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6)의 체결홈(7)에 상기 나사봉(2)의 결합용 헤드(16)가 볼 조인트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말하자면 상기 나사못(13)의 나사봉(2)을 척추경(1)에 삽입고정시키고, 상기 고정보울트(8)로 로드(3)를 고정시켜 척추경(1)과 그 인접된 척추경(1) 사이를 로드(3)로 연결시키게 되면,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로드(3)의 설치방향에 대하여 나사봉(2)의 결합방향이 임의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되어 환자의 움직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나사못(13)에 의해 연결하고자 하는 척추경(1) 사이를 보다 간편하게 로드(3)로 연결시킬 수 있게 되어, 수술시 수술작업을 원활하게 함과 더 불어 수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나사못(13)의 부피를 줄이거나 나사못(13)에 고정되는 로드(3)가 관절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술 후 환자의 활동에 보다 적합하게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경 연결용 나사못에 의하면, 고정된 나사봉에 단지 고정보울트만 나사결합시켜 주면 로드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척추경과 인접한 척추경을 연결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수술시 척추에 보조물을 삽입하거나 해제하는 작업을 짧은 시간에 적은 노력을 들여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와 같이 척추경과 척추경을 연결하는 로드가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보조물을 척추에 삽입하고 있는 환자의 움직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척추경(1)에 삽입고정되는 나사봉(2);과
    상기 나사봉(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로드(3)가 안착하는 U자형 홈(4)이 형성되고, 이 U자형 홈(4) 내측면에 나사(5)가 구비된 헤드부(6);와
    상기 헤드부(6)의 U자형 홈(4) 내측면에 나사결합되며,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로드(3)를 눌러서 고정해주는 한편, 상면에는 스크루우드라이버용 홈(7) 또는 렌치용 홈(7)이 형성된 고정보울트(8); 및
    하단은 상기 고정보울트(8) 하단에 형성된 그루브(9)에 삽입되는 돌기(10)가 형성되고, 몸체(11)는 상기 고정보울트(8) 외주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내주면과 상기 고정보울트(8)의 외주면이 이루는 사이 공간안으로 상기 헤드부(6)의 측벽이 슬라이드 삽입되게 되어 상기 고정보울트(8)에 대하여는 자유롭게 회전하지만 상하방향으로는 고정보울트(8)와 함께 이동하면서 고정보울트(8)가 로드(3)를 눌러서 고정할 때 헤드부(6)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된 고정링(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척추경 나사못.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2)이 헤드부(6)와 서로 별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사봉(2)이 헤드부(6)에 대하여 관절운동을 할 수 있게 볼 조인트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KR2019990021672U 1999-04-27 1999-10-09 척추경 나사못 KR2001750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6957 1999-04-2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6957 Division 1999-04-27 1999-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5040Y1 true KR200175040Y1 (ko) 2000-03-15

Family

ID=1957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672U KR200175040Y1 (ko) 1999-04-27 1999-10-09 척추경 나사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50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9211B2 (en) Polyaxial screwdriver for a pedicle screw system
KR100531146B1 (ko) 모듈형 다축 체결 척추경 스크류
US6540748B2 (en) Surgical screw system and method of use
JP5624760B2 (ja) ロッドを受けてその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連結するための受け部、およびそのような受け部を有する骨固定装置
JP3842874B2 (ja) 脊椎骨を互いに機械的に連結し補助するための装置
JP4468184B2 (ja) 脊柱支持用の前部板を含む装置
EP0904026B1 (en) A unitary locking cap for use with a pedicle screw
EP2085040B1 (en) Tool for holding or guiding a receiving part for connecting a shank of a bone anchoring element to a rod
KR100895243B1 (ko) 완충형 척추경 나사못
USRE37665E1 (en) Polyaxial pedicle screw having a threaded and tapered compression locking mechanism
US9532807B2 (en) Anchoring member with safety ring
US5735851A (en) Modular polyaxial locking pedicle screw
US5725528A (en) Modular polyaxial locking pedicle screw
CA2847519C (en) Bone fixing apparatus
KR100324698B1 (ko) 척추고정장치
US7186255B2 (en) Polyaxial screw
EP1909669B1 (en) Multi-axial bone plate system
JP2007268295A (ja) モジュール式脊椎プレート
JP2010508983A (ja) 多軸ねじに対するキー付きクラウンの向き付け
JP2008523890A (ja) 固定メカニズム
JP3148465U (ja) 脊椎茎ねじ
KR200175040Y1 (ko) 척추경 나사못
KR100346308B1 (ko) 척추경 나사못
KR100491050B1 (ko) 척추경 나사못
KR20030015826A (ko) 척추용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116

Effective date: 2002112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