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050B1 - 척추경 나사못 - Google Patents

척추경 나사못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050B1
KR100491050B1 KR10-2000-0061680A KR20000061680A KR100491050B1 KR 100491050 B1 KR100491050 B1 KR 100491050B1 KR 20000061680 A KR20000061680 A KR 20000061680A KR 100491050 B1 KR100491050 B1 KR 10049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portion
screw
fixing cap
high informati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0135A (ko
Inventor
최길운
Original Assignee
최길운
이춘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길운, 이춘택 filed Critical 최길운
Priority to KR10-2000-006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050B1/ko
Publication of KR20010040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0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0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44Joints for the spine, e.g. vertebrae, spinal dis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형외과부문에서 척추수술에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서, 나사봉의 헤드부와 고정캡 사이에서 이들 간에 축선방향으로의 상호 걸림력을 부여할 수 있는 스톱링을 채용하여 고정보울트의 체결시 헤드부에 가해지는 반경방향의 힘에 의해 고정캡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보울트 및 고정캡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고정캡의 탈거로 인한 수술시간 지연 등의 비효율적인 측면을 개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척추수술을 시간적인 측면이나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경 나사못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경 나사못{Spine screw}
본 발명은 정형외과부문에서 척추수술에 사용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척추경 나사못의 고정보울트를 체결할 때 나사봉의 헤드부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캡이 탈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스톱링을 제공함으로써, 고정보울트 및 고정캡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고정캡의 탈거로 인한 수술시간 지연 등의 비효율적인 측면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척추경 나사못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의 일부가 손상된 환자가 그 상태에서 활동을 할 수 없고, 손상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활동을 할 수 있다 하더라도 척추의 손상된 부분이 다른 인접한 부분에 눌려지거나 닿게 되므로서 통증을 유발하게 되고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이 늦어지게 된다.
따라서, 척추의 일부가 파손되거나 손상된 환자의 경우 그 손상된 척추부분이 눌려지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인접한 척추부분을 인공보조물을 사용하여 지지하는 수술을 한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척추 지지용 인공보조물은 손상된 척추의 상하측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대 역할을 하는 척추경 나사못과 각각의 척추경 나사못을 통해 연결되어 지지대 역할을 하는 로드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한 도 5는 종래 척추경 나사못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척추경 나사못은 척추경(100)에 삽입 고정되는 나사봉(10)과, 상기 나사봉(10)의 상부에 일체 형성되며 내측에 로드(11)가 안착되는 U자형 홈(12) 및 고정보울트(13)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14)를 갖는 헤드부(15)와, 상기 헤드부(15)에 체결되며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로드(11)를 눌러주는 고정보울트(13)와, 상기 헤드부(15)의 둘레에 밀착 삽입되며 고정보울트(13)의 체결력을 받는 헤드부(15)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정캡(16)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7은 스크류 드라이버나 렌치를 사용하기 위한 공구용 홈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척추경 나사못을 이용하여 척추경(100)과 척추경(100) 사이를 로드(11)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척추경 나사못의 나사봉(10)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각각의 척추경(100)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시키고, 각각의 척추경 나사못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15)에 로드(11)를 삽입하여 로드(11)가 헤드부(15)의 U자형 홈(12)에 안착되도록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캡(16)을 헤드부(15)의 둘레에 밀착 삽입시키고, 고정보울트(13)의 상부에 형성된 공구용 홈(17)에 렌치를 삽입한 다음, 헤드부(15)에 있는 나사부(14)의 축선에 고정보울트(13)를 일치시킨 후, 고정보울트(13)를 회전시켜서 헤드부(15)의 내측으로 체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캡(16)은 헤드부(15)의 외측을 감싸면서 헤드부(15)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게 되고, 상기 고정보울트(13)는 그 바닥부가 상기 로드(11)를 눌러주게 되므로, 척추경(100)과 척추경(10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로드(11)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척추경 나사못은 고정보울트(13)를 헤드부(15)의 나사부(14)에 체결할 때, 이때의 체결력에 의해 헤드부(15)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잡아주기 위해 고정캡(16)을 채용하고 있는데, 고정보울트(13)가 로드(11)를 견고히 눌러주기 위한 상당한 체결력을 가지고 체결되기 때문에 헤드부(15)에는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상당히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캡(16)이 축선방향으로 쉽게 탈거되는 등 수술시간의 지연을 초래하거나 수술작업을 까다롭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은 신속하고 정확한 수술작업을 요구하는 척추수술에 있어서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나사봉의 헤드부와 고정캡 사이에서 이들 간에 축선방향으로의 상호 걸림력을 부여할 수 있는 스톱링을 채용하여 고정보울트의 체결시 헤드부에 가해지는 반경방향의 힘에 의해 고정캡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정보울트 및 고정캡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고정캡의 탈거로 인한 수술시간 지연 등의 비효율적인 측면을 개선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척추수술을 시간적인 측면이나 정확도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척추경 나사못을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척추경(100)에 삽입 고정되는 나사봉(10)과, 상기 나사봉(10)의 상부에 일체 형성되며 내측에 로드(11)가 안착되는 U자형 홈(12) 및 고정보울트(13)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14)를 갖는 헤드부(15)와, 상기 헤드부(15)에 체결되며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로드(11)를 눌러주는 고정보울트(13)와, 상기 헤드부(15)의 둘레에 밀착 삽입되며 고정보울트(13)의 체결력을 받는 헤드부(15)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정캡(16)으로 구성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5)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홈(18a)과 상기 고정캡(16)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홈(18b)에 동시에 삽입 안착되면서 상기 헤드부(15)와 고정캡(16) 간에 축선방향으로의 상호 걸림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톱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척추경 나사못은 티타늄(Ti) 재질로 되어 있으며, 척추경(100)과 척추경(100) 사이를 로드(11)로 이어주기 위해 설치되는 의료 보조물이다.
상기 척추경 나사못은 척추의 손상된 부분에 상하로 인접한 각각의 척추경(100)에 고정 설치되는 나사봉(10)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봉(10)의 상단에는 헤드부(15)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이 헤드부(15)에는 상단에서부터 중심축 방향을 따라 아래쪽으로 길게 절개된 U자형 홈(12)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바닥면에 로드(11)가 얹혀져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헤드부(15)에 있는 U자형 홈(12)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부(14)에 고정보울트(13)가 체결되면서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그 아래쪽에 안착되는 로드(11)를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척추경 나사못은 나사봉(10)에 체결되면서 로드(11)를 눌러줄 수 있는 고정보울트(13)와, 나사봉(10)의 헤드부(13)를 바깥쪽에서 감싸줄 수 있는 고정캡(16)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보울트(13)와 고정캡(16)은 나사봉(10)의 헤드부(15)에 체결될 때, 서로 간에 간섭을 주지 않는 조합형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캡(16)의 체결 후, 고정보울트(13)의 체결이 진행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캡(16)은 고정보울트(13)에 대해서는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고정보울트(13)가 체결을 완료하여 로드(11)를 눌러서 고정될 때, 이와 동시에 헤드부(15)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캡(16)이 나사봉(10)의 헤드부(15) 외주를 둘러싸도록 밀착 삽입되고, 고정보울트(13)가 나사봉(10)의 헤드부(15) 내측 나사부(14)에 체결되어 하강하게 되면, 나사봉(10)의 헤드부(15) 내외측으로 고정보울트(13)와 고정캡(16)이 동시에 체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정캡(16)의 축선방향 탈거를 잡아줄 수 있는 스톱링(19)을 채용한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스톱링(19)은 길이 일부가 절단된 링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렇게 절단된 부위를 이용한 자체 탄력으로 나사봉(10)의 헤드부(15)측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나사봉(10)에 있는 헤드부(15)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반원형 단면을 갖는 링홈(18a)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15)의 둘레에 감싸는 고정캡(16)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역시 반원형 단면을 갖는 링홈(18b)이 형성된다.
상기 링홈(18b)은 나사봉(10) 헤드부(15)에 고정캡(16)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헤드부(15) 내측으로 여유홈을 더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톱링(19)은 나사봉(10)의 헤드부(15)에 고정캡(16)이 결합됨에 따라 각각의 링홈(18a),(18b)이 온전한 하나의 원형 단면으로 조합되면, 그 사이에 위치되어 나사봉(10)의 헤드부(15)와 고정캡(16)의 서로 간에 걸림력을 제공해줄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상기 스톱링(19)의 단면직경은 헤드부(15)에 있는 링홈(18a)이나 고정캡(16)에 있는 링홈(18b)의 단면 직경과 같게 하거나 또는 그 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나사봉(10)의 헤드부(15)와 그 외측으로 밀착 결합되는 고정캡(16) 간의 밀착성을 해치지 않게 하면서 양자 간에 충분한 걸림력을 부여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스톱링(19)을 이용한 나사봉(10)의 헤드부(15)와 고정캡(16) 간의 결합상태는 첨부한 도 3에서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즉, 스톱링(19)은 길이 중간의 절단된 부위를 이용한 확장된 상태에서 나사봉(10)의 헤드부(15)에 있는 링홈(18a)에 안착되고, 이렇게 스톱링(19)이 안착된 상태에서 그 외측으로 고정캡(16)이 강제 삽입되면 스톱링(19)의 탄성에 의해 고정캡(16)이 고정되므로써 스톱링(19)을 이용한 나사봉(10)의 헤드부(15)와 고정캡(16) 간의 결합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링(19)에 의해 고정캡(16)이 축선방향으로 걸림력을 부여 받게 됨에 따라 고정보울트(13)의 체결시 헤드부(15)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고정캡(16)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스톱링(19)이 발휘하는 걸림력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고정캡(16)이 탈거되는 등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고정캡(16)이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나사봉(10)의 헤드부(15) 내측으로 고정보울트(13)를 체결하는 작업도 아무런 간섭없이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척추경 나사못과 로드를 이용한 척추수술시 척추경 나사못의 설치와 로드의 연결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추경 나사못의 나사봉(10)을 연결시키고자 하는 각각의 척추경(100)에 수직방향으로 나사 결합시키고, 각각의 척추경 나사못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15)에 로드(11)를 삽입하여 로드(11)가 헤드부(15)의 U자형 홈(12)에 안착되도록 임시로 고정시킨다.
이때의 상기 나사봉(10)의 헤드부(15)에는 스톱링(19)을 사이에 두고 고정캡(16)이 밀착 체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보울트(13)의 상부에 형성된 공구용 홈(17)에 렌치 등의 공구를 삽입한 다음,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고정보울트(13)를 헤드부(15)의 나사부에 삽입시켜서 헤드부(15)의 내측으로 고정보울트(13)를 체결한다.
계속해서, 고정보울트(13)를 체결하여 가면서 로드(11)를 한쪽에서부터 차례대로 고정시키면,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척추경 나사못 및 로드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캡(16)은 헤드부(15)의 외측을 감싸면서 헤드부(15)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게 되고, 상기 고정보울트(13)는 그 바닥부가 상기 로드(11)를 눌러주게 되므로, 척추경(100)과 척추경(10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로드(11)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보울트(13)의 체결과 함께 헤드부(15)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고정캡(16)은 그 내측으로 일체 삽입되어 있는 스톱링(19)에 의해 축선방향으로의 걸림력을 갖게 되므로, 고정캡(16)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정보울트(13)의 체결상태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캡(16)은 고정보울트(13)의 체결방향과도 같은 축선방향으로의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고정보울트(13)를 헤드부(15)의 나사부(14)에 초기 삽입할 때나 그 중심을 맞출 때, 또 체결하는 도중에도 아무런 간섭없이 고정보울트(13)의 체결작업을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고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보울트의 체결시 나사봉의 헤드부와 고정캡 간에 상호 걸림력을 부여할 수 있는 스톱링을 구비하여 고정캡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고 고정보울트 체결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척추경 나사못을 제공함으로써, 척추수술시 척추에 보조물을 삽입하거나 해체하는 작업을 짧은 시간에 적은 노력을 들여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척추수술과 관련한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여 환자의 수술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에서 고정보울트 및 고정캡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척추경 나사못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종래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종래 척추경 나사못을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
도 7은 종래 척추경 나사못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나사봉 11 : 로드
12 : U자형 홈 13 : 고정보울트
14 : 나사부 15 : 헤드부
16 : 고정캡 17 : 공구용 홈
18a,18b : 링홈 19 : 스톱링

Claims (1)

  1. 척추경(100)에 삽입 고정되는 나사봉(10)과, 상기 나사봉(10)의 상부에 일체 형성되며 내측에 로드(11)가 안착되는 U자형 홈(12) 및 고정보울트(13)의 체결을 위한 나사부(14)를 갖는 헤드부(15)와, 상기 헤드부(15)에 체결되며 아래쪽으로 하강함에 따라 그 하단에 위치한 로드(11)를 눌러주는 고정보울트(13)와, 상기 헤드부(15)의 둘레에 밀착 삽입되며 고정보울트(13)의 체결력을 받는 헤드부(15)의 측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고정캡(16)으로 구성되는 척추경 나사못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5)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홈(18a)과 상기 고정캡(16)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링홈(18b)에 동시에 삽입 안착되면서 상기 헤드부(15)와 고정캡(16) 간에 축선방향으로의 상호 걸림력을 제공할 수 있는 스톱링(1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경 나사못.
KR10-2000-0061680A 2000-10-19 2000-10-19 척추경 나사못 KR10049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680A KR100491050B1 (ko) 2000-10-19 2000-10-19 척추경 나사못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680A KR100491050B1 (ko) 2000-10-19 2000-10-19 척추경 나사못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558U Division KR200176864Y1 (ko) 1999-10-19 1999-10-19 접골용 보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135A KR20010040135A (ko) 2001-05-15
KR100491050B1 true KR100491050B1 (ko) 2005-05-24

Family

ID=1969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680A KR100491050B1 (ko) 2000-10-19 2000-10-19 척추경 나사못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055B1 (ko) * 2000-10-19 2005-05-24 최길운 척추경 나사못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0135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834B2 (en) Anchoring member with safety ring
JP5622387B2 (ja) ロッドを受けてその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連結するための受け部、およびそのような受け部を有する骨固定装置
US8025679B2 (en) Method for spinal stabilization using a rod connector
JP5624760B2 (ja) ロッドを受けてその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連結するための受け部、およびそのような受け部を有する骨固定装置
US8936624B2 (en) Methods for connecting a longitudinal member to a bone portion
US8465528B2 (en) Surgical retaining screw
EP1190678B1 (en) Lock cap anchor assembly for orthopaedic fixation
CN100386059C (zh) 螺钉头沿轴向分两部分的骨螺钉
JP5613401B2 (ja) ロッドを受けてそのロッドを骨固定要素に連結するための受け部、およびそのような受け部を有する骨固定装置
US20080108992A1 (en) Multi-axial bone fixation apparatus
AU1825201A (en) Intramedullary nail
KR100491050B1 (ko) 척추경 나사못
KR200208709Y1 (ko) 척추경 나사못
KR100491055B1 (ko) 척추경 나사못
KR200332475Y1 (ko) 척추경 나사못
KR20050003239A (ko) 척추경 나사못
KR20030015826A (ko) 척추용 고정 장치
KR200399039Y1 (ko) 척추경 나사못
CN110680573A (zh) 前后联合寰枢椎融合装置
RU2022533C1 (ru) Винт сергеева с.с. для остеосинтез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введения
SU168012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стеосинтеза шейки бедренной кости
JP2005245520A (ja) 骨固定装置と組立方法及び施術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