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162Y1 -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 Google Patents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162Y1
KR200174162Y1 KR2019970045784U KR19970045784U KR200174162Y1 KR 200174162 Y1 KR200174162 Y1 KR 200174162Y1 KR 2019970045784 U KR2019970045784 U KR 2019970045784U KR 19970045784 U KR19970045784 U KR 19970045784U KR 200174162 Y1 KR200174162 Y1 KR 2001741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pulse
magnetoresistive element
permanent magnet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4518U (ko
Inventor
김홍덕
Original Assignee
정갑종
한국오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갑종, 한국오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갑종
Priority to KR2019970045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162Y1/ko
Publication of KR9800045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45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1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1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량계용 적산계에 관한 것으로 자기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유량을 적산하거나 순시유량을 디지탈 방식으로 표시시키는 자기저항 소자를 이용한 유량적산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체의 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증폭하고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펄스변환수단과, 펄스변환수단의 출력펄스를 카운트하여 적산유량 또는 순시유량을 계산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계산된 유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수단과, 밧데리와 외부전원을 선택 사용하는 전원수단과, 펄스변환수단의 출력펄스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펄스출력수단을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본 고안은 유량계용 적산계에 관한 것으로 자기저항 소자를 이용하여 유량을 적산하거나 순시유량을 디지탈 방식으로 표시시키는 자기저항 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에 관한 것이다.
유량계용 적산계는 유류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를 지지하는 회전축의 회전량을 기어방식으로 검출하여 유량을 표시시키게 된다.
기어방식을 이용한 유량적산계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기어결합에 의하여 검출하게 되므로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기어방식을 이용하게 되어 원격지에서의 유량제어가 불가능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유량계용 적산계에서 유류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에 영구자석을 고정시킨 후 상기 회전체에 고정된 영구자석의 회전을 자기저항소자로 검출하여 유량을 적산표시하거나 순시유량을 디지탈 방식으로 표시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유체의 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증폭하고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펄스변환수단과. 펄스변환수단의 출력펄스를 카운트하여 적산유량 또는 순시유량을 계산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계산된 유량을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수단과, 밧데리와 외부전원을 선택 사용하는 전원수단과, 펄스변환수단의 출력펄스를 외부로 출력시키는 펄스출력수단율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영구자석
3 : 자기저항소자 4 : 증폭부
5 : 슈미트트리거 6 : 마이크로프로세서
7 : 표시장치 8,9 : 누름버튼
10 : 로타리스위치 11 : 미보정펄스출력회로
12 : 펄스정형부 13 : 보정펄스출력회로
14 : 외부전원 15 : 밧데리팩
16 : 밧데리모니터
본 고안은 유체통로에 설치된 회전체(1)에 영구자석(2)을 고정시켜 유체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1)와 함께 영구자석(2)도 회전되게 하고 상기 영구자석(2)의 자력은 근접센서인 자기저항소자(3)로 검출하게 구성한다.
영구자석(2)의 회전에 따라 자기저항소자(3)에서 검출된 신호는 증폭부(4)에서 증폭되고 슈미트트리거(5)에 인가되어 파형정형된 후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 인가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6)는 슈미트트리거(5)에서 인가되는 펄스를 카운트하여 유량을 적선하거나 순시유량을 계산하게되고 계산된 결과는 표시장치(7)를 통하여 표시시키게 구성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 연결된 두 개의 누름버튼(8)(9)은 모드전환과 적산값을 클리어시킬 때 사용되는 한편 로터리 스위치(10)와 함께 각 파라미터를 셋팅할 때 사용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는 밧데리 팩(15)에 의해 구동되어지며 외부전원(14)을 사용할 수 있게 설계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는 밧데리 팩(15)교환시 내부 데이터를 일정시간 보존시켜 주는 백업회로가 구비되고 밧데리 잔량을 표시하는 밧데리 모니터(16)가 구비된다.
한편 슈미트트리거(5)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 인가되는 펄스는 미보정펄스출력회로(11)를 거쳐 원격관리실로 출력시키는 한편 입력된 펄스를 단위화시킨 후 펄스 정형부(12)에서 보정펄스 출력회로(13)를 거쳐 원격관리실로 출력시킴으로써 윈격관리실에서 유량제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유체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1)의 설치구성은 기존 유량계용 적산계에서 공용되는 기술로써 상세설명이 필요없으며 본 고안은 상기된 회전체(1)에 영구자석(2)을 고정시켜 회전체(1)와 함께 영구자석(2)이 회전되게 한 것이다.
영구자석(2)은 회전체(1)에 삽입홈을 형성시킨 후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영구자석(2)은 회전체(1)의 회전발란스를 맞추어주기 위해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함이 적합하다.
유체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영구자석(2)의 회전량은 근접센서인 자기저항소자(3)에서 검출하게 된다.
영구자석(2)이 자기저항소자(3)에 근접하여 회전할때 영구자석(2)의 자력을 검출하계되므로 기존의 기계식 접촉방법인 기어방식에 비하여 오차한계를 줄일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비접촉방식인 자기저항소자(3)를 이용하여 회전체(1)의 회전량을 검출하게 되므로 기계식에 비하여 오차 발생요인을 줄일 수 있다.
자기저항소자(3)에서 검출된 신호는 미약하여 그대로 처리가 어려우므로 이를 증폭부(4)에 인가시켜 일정크기로 증폭시킨 후 슈미트트리거(5)에 인가시켜 펄스신호로 정 형화시킨다.
슈미트트리거(5)의 펄스신호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 인가되어 카운트되게 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6)는 카운트 값을 적산하거나 순시유량(시간당 통과유량, 분당통과유량)을 계산하여 준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서 계산된 유량적산값 또는 순시유량값은 액정표시소자인 표시장치(7)에 표시되게 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 연결된 누름버튼(8)(9)은 표시장치(7)에 표시된 적산값을 클리어시키거나 모드를 전환시킬 때 사용되어지는 한편 로터리 스위치(10)와 함께 각 파라미터를 셋팅할때 사용된다.
본 고안은 밧데리 팩(15)을 이용하여 구동전원을 공급하거나 외부전원(14)을 이용하여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밧데리 팩(15)사용으로 정전에 관계없이 정확한 유량의 측정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프로세서(6)내부에는 밧데리 팩(15)의 교환시 내부데이타의 클리어를 막기 위하여 일정시간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는 백업회로가 구비되어 밧데리 팩(15)교환에 의하여 내부데이타가 소멸되지 않는다.
밧데리 팩(15)의 밧데리 사용용량이 저하되어 밧데리 교체시기가 도래할 경우 이는 별도의 밧데리 모니터(16)를 이용하여 표시시켜 주거나 표시장치(7)에 BATT를 표시시켜 밧데리 팩(15) 교환시기를 알려준다.
한편 본 고안은 원격지에서 유량제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슈미트트리거(5)의 출력펄스를 그대로 원격관리실로 출력시키는 미보정 펄스출력회로(11)를 구비시키고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서 단위화시킨 펄스를 펄스정형부(12)에서 펄스정형화시킨 후 원격관리실로 출력시키는 보정펄스 출력회로(13)를 구비시킨다.
원격관리실에서는 상기 미보정펄스 출력회로(11)와 보정펄스 출력회로(13)를 통하여 인가되는 펄스를 이용하여 유량제어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하여 유량을 검출표시시키는 것으로 저소비전력의 사용으로 밧데리 구동이 가능하고 디지탈방식으로 표시되어 읽기가 용이하며 원격지에서의 유량제어가 가능한 한편 측정오차발생이 거의 없는 고신뢰성의 측정량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유체량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검출수단의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4)와, 증폭부(4)에서 증폭된 신호를 펄스신호로 변환시키는 슈미트트리거(5)와, 슈미트트리거(5)의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유량을 적산하고 순시유량을 계산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6)와, 마이크로 프로세서(6)의 유량적산값과 순시유량을 외부에 표시시키는 표시장치(7)와, 슈미트트리거(5)의 펄스신호를 원격관리실로 출력시키는 미보정 펄스출력회로(11)와, 마이크로 프로세서(6)에서 단위화된 펄스를 윈격관리실로 출력시키는 보정펄스 출력회로(1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적산계.
  2. 제1항에서, 검출수단은 유량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체(1)에 영구자석(2)을 부착 고정시켜 회전체(1)와 함께 영구자석(2)이 회전되게 하고 상기 영구자석(2)의 자력은 자기저항소자(3)에서 검출하여 영구자석(2)의 회전에 따른 검출신호를 자기저항소자(3)에서 출력시키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적산계.
  3. 제1항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6)는 밧데리 팩(15)과 외부전원(14)에 의하여 구동되고 밧데리 교체시 내부데이타 보호를 위한 백업회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KR2019970045784U 1997-12-31 1997-12-31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KR2001741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84U KR200174162Y1 (ko) 1997-12-31 1997-12-31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84U KR200174162Y1 (ko) 1997-12-31 1997-12-31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18U KR980004518U (ko) 1998-03-30
KR200174162Y1 true KR200174162Y1 (ko) 2000-04-01

Family

ID=1952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784U KR200174162Y1 (ko) 1997-12-31 1997-12-31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1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309B1 (ko) * 2001-03-30 2003-04-18 (주)모토닉 연료량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309B1 (ko) * 2001-03-30 2003-04-18 (주)모토닉 연료량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4518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4729C (en) Liquid flow meter
KR100844853B1 (ko) 전자식 수도미터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03012A (ja) 電子式水道メータ
JP2008164544A (ja) 水道メータ
KR200174162Y1 (ko) 자기저항소자를 이용한 유량 적산계
JPS601377Y2 (ja) 流体流量計
JP3085012B2 (ja) 流量計測装置
WO2009007690A2 (en) Device for remotely monitoring a meter
JP2501834B2 (ja) 遠隔計測装置
KR200401439Y1 (ko) 디지털 가스메타
US6082195A (en) Vehicle wheel speed sensor
KR100363396B1 (ko) 근거리 무선 검침 계량기의 역회전 감지장치 및 방법
JPH06160149A (ja) 容積流量計
JP2000221069A (ja) 流量検出装置
KR10021244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CA2214950C (en) Electronic gas meter
CN216559143U (zh) 具备双计量信号输出的计量装置
JP3638003B2 (ja) 異常検知機能付き流量計
KR100959629B1 (ko) 넓은 감지 범위를 갖는 유량 적산계
JPH06266991A (ja) 遠隔検針装置
KR930006093B1 (ko) 전력요금 표시장치
JPH10111162A (ja) 電子カウンタの定量パルス出力補正方法
CN214951545U (zh) 具有状态检测功能的单流水表
JPH07120289A (ja) 流量計測装置
JPH0645210Y2 (ja) 流量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