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2443B1 -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2443B1
KR100212443B1 KR1019960003643A KR19960003643A KR100212443B1 KR 100212443 B1 KR100212443 B1 KR 100212443B1 KR 1019960003643 A KR1019960003643 A KR 1019960003643A KR 19960003643 A KR19960003643 A KR 19960003643A KR 100212443 B1 KR100212443 B1 KR 10021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s
unit
amou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994A (ko
Inventor
공석태
Original Assignee
공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석태 filed Critical 공석태
Priority to KR101996000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443B1/ko
Publication of KR97006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0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 G01F1/07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tangential admission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coupling to the indicat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4/00Tariff metering apparatus
    • G01D4/002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 G01D4/004Remote reading of utility meters to a fixed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30Smart metering, e.g.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rea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Details Of Flow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및 개스검침 회로에 관한것으로 특히 무선을 이용한 검침및 소요되는 전원을 자체발전을 통하여 공급하므로서 전원공급의 불편을 없애는 한편 검침을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회로에 관한것이다.
본 발명의 수도(개스)자동 검침회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졌는바 도면을 참고로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발명은 회전날개부(A)와 발전및 센서감지부(B)와 충전용 밧데리부(C)와 전자회로부(D)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전날개부(A)에서는 수도의 물이나 개스의 흐름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곳이고 발전및 센서감지부(B) 에서는 회전운동을 전기에너지로 발전시키고 또 센서감지부(107) 에서는 회전량을 감지하여 신호를 카운터(112)에서 카운트 하므로서 사용량을 계수하도록 하는곳이다.
동작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물(개스)입력부(102)에서 물이나 개스가 입력되고있고 사용자가 물이나 개스를 사용하면 물(개스)출력부(103)을 통하여 나가게되며 물이나 개스의 흐름에 따라 회전날개(104)가 회전하게되면 자석(108-1)과 센서감지용 회전축(105)이 같이 회전하게되면서 코일(106)에서는 전기가 발생하고 이전기는 충전용밧데리(108)에 충전되게되면 근접센서(107)에서는 센서감지용 회전축(105)이 1회전시마다 감지를 하게되고 신호입력선(112-1)을 통하여 카운터(112)로 입력되어 카운터가 증가한다.
전자회로블록도(D)에서의 동작은 평상시 카운터가 증가한 양을 LCD 화면에 계속적으로 표시하며 무선수신부(113)에서의 수신코멘드가 입력되면 CPU(110)에서 신호를 판독한후계수량및 상태값을 무선송신부(114)를 통하여 송신하게하는 회로구성.

Description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 검침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나타낸 전체시스템으로써,
(a)는 개스나 수도관의 내부에 회전날개부가 장착된 단면도이고,
(b)는 상기 회전날개에 의해 발전되는 발전부와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센서감지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c)는 발전부에 발전되는 전류를 충전하는 충전용 밧데리이고,
(d)는 상기 관으로 흐르는 물과 개스의 사용량을 검출 및 점검하기 위한 전자회로의 블록도이고,
(e)는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회전날개 장착부 102 : 물(개스)입력부
103 : 물(개스)배출구 104 : 회전날개
105 : 센서부 106 : 발전코일
106-1 : 전자석 107 : 감지센서
108 : 충전용 밧데리 109 : 전자회로부
110 : CPU 111 : LCD
112 : 계량카운터 112-1 : 신호입력선
113 : 무선수신부 114 : 무선송신부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도관이나 개스관의 일부에 회전날개장착부를 형성하여 회전날개를 장착한 후 물이나 개스의 흐름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전되는 전류를 충전하고, 상기 자체적으로 발전된 전류를 이용해 전자회로부를 작동시켜서 사용되는 물이나 개스량을 무선으로 검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도 및 개스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검침원이 가가호호 방문하여 사용량을 검침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검침원이 가가호호 방문하여 수도 및 개스의 사용량을 검침하지 않고 무선으로 사용량을 검침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검침에 필요한 인력 및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는 목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이나 가스의 사용량을 감지한 감지신호에 의해 사용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터(112)와, 상기 카운트된 양을 CPU(110)에서 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LCD화면(111)과, 상기 LCD화면(111)에 표시된 사용량을 무선으로 지령받는 무선수신부(113)와, 상기 수신된 지령에 의해 사용량을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14)로 이루어진 전자회로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 검침회로에 있어서, 수도(개스)관의 일부에 회전날개(104)를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한 회전날개장착부(101), 상기 회전날개(104)를 장착한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된 센서부(105) 및 상기 센서부(105)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07)와, 상기 회전날개(104)의 회전력에 의해 자석(106-1)과 발전코일(106)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충전하는 충전용 밧데리(108)와, 상기 충전용 밧데리(108)에 의해 자체적으로 상기 전자회로부(109)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 검침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의 구성과 같이 수도관이나 개스관의 일단부에 밀폐되게 회전날개장착부(101)를 형성하여 내부에는 회전날개(104)를 회전축에 장착하였기 때문에 물이나 개스를 사용하게 되면 물(개스)입력부(102)로 물(개스)이 입력되면서 회전날개장착부(101)에 장착된 회전날개(104)를 회전시키면서 물(개스)배출구(103)로 배출이 되어 물(개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장착부(101)에서는 물이나 개스의 흐름을 회전운동으로 바꾸는 역할을 한다.
이때 물(개스)의 사용량에 따라 회전날개(104)의 회전속도는 변하게 된다. 즉, 많이 사용하면 회전날개(104)의 회전수는 빠르고, 적게 사용하면 회전날개(104)의 회전수는 느리게 회전한다. 상기 회전날개(104)가 회전할 때마다 회전축에 장착된 자석(106-1)이 회전운동하면서 발생되는 전기를 발전코일(106)에서는 전기에너지로 발전시키고 발전된 전기는 충전용 밧데리(108)에 저장이 된다.
또한 회전날개(104)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할 때마다 회전축의 선단에 장착된 센서부(105)가 회전한다. 상기 센서부(105)와 근접하게 장착된 감지센서(107)는 센서부(105)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된 회전수를 전자회로부(109)에 형성한 카운터(112)로 신호입력선(112-1)을 통해서 보낸다. 상기 카운터(112)는 감지센서(107)에서 감지된 회전수를 카운트한다.
상기 카운터(112)에서 카운트된 회전수를 가지고 CPU(110)에서는 사용량을 검출하여 LCD화면(111)에 표시한다. 이때 CPU(110)에는 이미 물이나 개스에 대한 유량 및 유속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104)의 회전속도에 의해 회전날개(104)가 1회전할 때 물이나 개스의 사용량이 얼마인지를 미리 계산하여 입력시켜 놓았기 때문에 사용량의 환산은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회전날개(104)의 회전수가 감지센서(107)에 의해 카운터(112)에서 카운트되면 카운트된 회전수에 1회전당 사용되는 량을 곱하게 되면 전체 사용량이 검출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카운터(112)에서 카운트된 수가 10이고 회전날개(107)의 1회전당 사용량이 20이라고 CPU(110)에 가정하여 저장하면 전체사용량은 CPU(110)에서 10×20=200이 연산되어 사용량을 LCD화면(111)에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회전날개는 물이나 개스의 유속과 유량에 관계없이 1회전할 때 사용량은 동일한 것입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물이나 개스의 유량 및 유속에 대한 상관관계는 CPU(110)에 이미 계산되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회전날개(104)의 회전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기를 충전용 밧데리(108)에 충전하고 동시에 회전날개(104)의 회전수에 의해 사용량이 LCD화면(111)에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LCD화면(111)에 표시된 사용량을 중앙관리자(수도사업국 등)에서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무선으로 수신하면 전자회로부(109)에 장착된 무선수신부(113)에서는 수신명령의 지령을 받고 LCD화면(111)에 표시된 사용량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된 사용량을 무선송신부(114)에서 중앙관리자로 다시 송신하여 그 사용량을 측정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자회로부(109)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으로 충전용 밧데리(108)에 충전된 전기에 의해 작동이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별도로 외부에서 선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본 발명은 그 설치위치가 한적한 곳이나 구석진 곳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기설비와 연결하는데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해결하고자 자체발전으로 작동하였다.
또한 전자회로부를 작동하기 위해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소모량 많아 건전지를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어 이 또한 바람직하지 못해 자체발전을 이용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관내부에 회전날개를 장착하여 회전날개의 회전에 의해 자체발전을 일으켜 전기를 충전하여 전자회로부를 작동하게 함은 물론 회전날개의 회전수에 의해 물이나 개스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원거리에서도 무선으로 사용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량을 측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인원을 들이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물이나 가스의 사용량을 감지한 감지신호에 의해 사용량을 카운트하는 카운터(112)와, 상기 카운트된 양을 CPU(110)에서 사용량을 측정하여 표시하는 LCD화면(111)과, 상기 LCD(111)에 표시된 사용량을 무선으로 지령받는 무선수신부(113)와, 상기 수신된 지령에 의해 사용량을 송신하는 무선송신부(114)로 이루어진 전자회로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된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 검침회로에 있어서, 수도(개스)관의 일부에 회전날개(104)를 장착하기 위하여 형성한 회전날개장착부(101), 상기 회전날개(104)를 장착한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된 센서부(105) 및 상기 센서부(105)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07)와, 상기 회전날개(104)의 회전력에 의해 자석(106-1)과 발전코일(106)에서 발생되는 전류를 충전하는 충전용 밧데리(108)와, 상기 충전용 밧데리(108)에 의해 자체적으로 상기 전자회로부(109)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 검침회로.
KR1019960003643A 1996-02-15 1996-02-15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KR10021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643A KR100212443B1 (ko) 1996-02-15 1996-02-15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643A KR100212443B1 (ko) 1996-02-15 1996-02-15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994A KR970062994A (ko) 1997-09-12
KR100212443B1 true KR100212443B1 (ko) 1999-08-02

Family

ID=1945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643A KR100212443B1 (ko) 1996-02-15 1996-02-15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07B1 (ko) 2010-02-25 2011-08-19 전자부품연구원 유량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022B1 (ko) * 1998-06-30 2006-02-03 서창전기통신 주식회사 자기저항소자를이용한계량기
KR20010087812A (ko) * 2001-06-11 2001-09-26 하경호 상수도 원격 검침 시스템의 자가 발전 장치
KR100489432B1 (ko) * 2002-11-04 2005-05-12 주식회사 만도 감쇠력 가변 댐퍼의 실 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807B1 (ko) 2010-02-25 2011-08-19 전자부품연구원 유량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994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26007A1 (en) Utility Meter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700383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power meters
EP2032231B1 (en) System for remote utility metering and meter monitoring
KR20100128921A (ko) 디지털 수도미터 및 이를 갖는 원격 수도검침 시스템
KR100212443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수도 및 개스검침회로
WO2019233388A1 (zh) 高精度双向计量流体计量表
EP1692469B1 (en) High resolution pulse count interface
GB2374760A (en) Transmitting utility meter measurements by mobile telephone
EP0990877B1 (en) Assembly for determining water consumption along a water mains intake pipe
JP5272298B2 (ja) ガス遮断装置
WO2018128538A1 (en) Fluid meter with supplementary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KR20010044031A (ko) 적산 열량계
KR200250381Y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량 무선 검침 시스템
KR100443824B1 (ko) 전자식 및 기계식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력량계
CN219829999U (zh) 一种多功能物联网智能水表
JP2005164319A (ja) 水道水検針装置用自己発電電源および水道水自動検針システム
JP2665518B2 (ja) 積算メータ検針システム
KR100457454B1 (ko) 디지털 유량 측정 장치
JPH06229811A (ja) 積算メータ検針システム
KR200356868Y1 (ko) 펄스 신호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원격 검침기
KR970002327A (ko) 요금 표시형 전기 계량기
WO2011072625A1 (en) System for wireless data transfer from measuring instruments
KR960014943A (ko) 무선 원격제어 검침장치
CN217845340U (zh) 一种水表拆机检测装置
CN216959913U (zh) 一种物联网水表智慧水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