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13Y1 -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13Y1
KR200173813Y1 KR2019980002638U KR19980002638U KR200173813Y1 KR 200173813 Y1 KR200173813 Y1 KR 200173813Y1 KR 2019980002638 U KR2019980002638 U KR 2019980002638U KR 19980002638 U KR19980002638 U KR 19980002638U KR 200173813 Y1 KR200173813 Y1 KR 200173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valve
operating
main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687U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세광알미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세광알미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2019980002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1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6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23K5/147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가스용 자동밥솥의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버너의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 및 보온밸브 구동용 레버를 수직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작동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미관이 뛰어나도록 한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가스버너의 본체 전면에 주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밸브용 레버 및 보온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를 모두 상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수직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버너의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 및 보온밸브 구동용 레버를 수직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고, 작동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미관이 뛰어나도록 한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반용 가스버너에는 점화밸브를 열어주고 압전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를 통하여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메인가스를 공급 및 차단시키기 위한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 및, 소량의 가스를 버너에 공급하여 보온기능을 유지하는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점화밸브와 메인밸브 및 보온밸브는 모두 외부로 돌출된 구동핀의 누름에 의해 작동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점화밸브와 메인밸브 및 보온밸브의 구동핀을 작동시키는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 및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가 모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배열되게 설치되어 있었다.
따라서, 가스버너의 크기에 비해 이들 각각의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 및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가 차지하는 면적이 커 효율적이지 못하고, 조작에 따른 불편함과 함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외관을 불량하게 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가스버너의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 및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를 모두 수직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면서 조작이 간단하고, 와관이 양호하게 유지될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재치대 10 : 점화용 레버
11 : 제 1조작구 20 :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
21 : 제 2조작구 30 :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
31 : 제 3조작구 40 : 주밸브
50 : 메인밸브 60 : 보온밸브
70 : 주공급관 80 : 메인공급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가스버너의 본체 전면에 주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밸브용 레버 및 보온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를 모두 상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수직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각의 레버가 조작의 순서에 맞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설치면적이 적어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수 있으며, 가스버너의 미관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재치대(100)에 주공급관(70)으로 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연결 및 차단시키기 점화밸브(40)와, 주밸브(40)로 부터 메인공급관(80)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결 및 차단시키기 위한 메인밸브(50) 및, 온도감지기(62)에 따라 작동하는 보온밸브(60)를 구비하는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점화밸브(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용 레버(10)와 메인밸브(50)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20) 및 보온밸브(6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30)와, 이들 각각의 레버(10,20,30)를 조작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조작구(11,21,31)를 모두 상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수직으로 배열되게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점화밸브(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용 레버(10)와 제 1조작구(11)는 도 3과 같이 각각의 레버중 최상측에 위치하며 점화용 레버(10)가 점화플러그(42)와 연결된 점화밸브의 구동핀(41)과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밸브(50)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20) 및 제 2조작구(21)는 도 4와 같이 각각의 레버중 중간에 위치하며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20)가 메인밸브의 구동핀(51)과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상기 보온밸브(6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30)와 제 3조작구(31)는 도 5와 같이 각각의 레버중 최하단에 설치되며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30)가 보온밸브의 구동핀(61)과 탄력적으로 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스버너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최상단의 제 1조작구(11)를 누르면, 제 2조작구(21)와 제 3조작구(31)가 동시에 눌려지며, 제 1조작구를 누룰 때 점화레버(10)의 하단이 뒤쪽으로 부터 전자밸브가 삽입된 점화밸브(40) 전면의 구동핀(41)을 밀고, 구동핀(41)은 전자밸브의 패킹을 밀어 주공급관(70)으로 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통하게 한다.
또한, 스파크 발생장치와 연결된 마이크로스위치를 온(On)시키므로서 발생한 스파크가 점화플러그(42)를 통해 메인버너로 튀게된다.
그리고, 제 1조작구(11)에 의해 눌려진 메인레버에 의해 구동핀(51)이 눌려져 메인밸브(50)가 열려지므로 가스가 메인공급관(80)을 통해 메인버너로 공급됨과 동시 발생된 스파크에 의해 점화된다.
제 2조작구(21)에 의해 눌려진 보온레버(30)에 의해 구동핀(61)이 눌려져 보온밸브(60)가 열려지므로 가스가 보온버너로 나오고, 이 가스는 메인버너의 불꽂에 의해 보온불이 점화된다.
보온불의 점화로 온도감지기(62)가 온도를 감지하여 전자밸브를 작동시키므로 점화밸브(40) 전면의 구동핀(41)누르고 있지 않아도 메인버너와 보온버너는 계속 그 기능이 유지된다.
점화레버(10)를 놓으면, 점화레버는 원위치되고 메인레버(20)와 보온레버(30)는 계속 눌려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스버너의 본체 전면에 점화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용 레버와 메인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밸브용 레버 및 보온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와, 이들 각각의 레버를 상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게 수직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레버가 조작의 순서에 맞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 및 조작이 매우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설치면적을 적게 차지하여 공간활용을 최대로 할수 있으며, 가스버너의 전체적인 미관이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본체의 재치대(100)에 점화플러그(4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밸브(40)와, 주공급관(70)으로 부터 메인공급관(80)으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결 및 차단시키기 위한 메인밸브(50) 및, 온도감지기(62)에 따라 작동하는 보온밸브(60)를 구비하는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점화밸브(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점화용 레버(10)와 메인밸브(50)를 작동시키기 위한 메인밸브 개폐용 레버(20) 및 보온밸브(6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온밸브 작동용 레버(30)와, 이들 각각의 레버(10,20,30)를 조작하기 위한 제 1 내지 제 3조작구(11,21,31)를 상하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수직으로 배열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KR2019980002638U 1998-02-26 1998-02-26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KR200173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38U KR200173813Y1 (ko) 1998-02-26 1998-02-26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638U KR200173813Y1 (ko) 1998-02-26 1998-02-26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87U KR19990036687U (ko) 1999-09-27
KR200173813Y1 true KR200173813Y1 (ko) 2000-04-01

Family

ID=1953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638U KR200173813Y1 (ko) 1998-02-26 1998-02-26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36A (ko) * 2018-03-30 2019-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취반기용 점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4436A (ko) * 2018-03-30 2019-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취반기용 점화장치
KR102032272B1 (ko) * 2018-03-30 2019-10-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취반기용 점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687U (ko) 199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924B2 (en) Dual function switch assembly
KR200173813Y1 (ko) 가스버너의 레버 어셈블리 구조
KR200465747Y1 (ko) 업소용 가스버너의 점화용 불꽃 형성 장치
CN1995849A (zh) 热水器燃烧室传感系统
WO2009072851A2 (en) Cooking appliance
KR20040043836A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US4005697A (en) Gas cook top
KR101847062B1 (ko) 가스레인지용 과열방지 장치
KR19990047493A (ko) 가스레인지
CN219035732U (zh) 一种燃气阀总成
KR0132873Y1 (ko) 보턴식 소화스위치를 갖는 용기내장형 가스난방기
KR200210998Y1 (ko) 전기 레인지
CN218884034U (zh) 方便清洁的燃气灶
CN213929538U (zh) 燃气阀及燃气灶
CN219413602U (zh) 一种温控水开关
CN107676825A (zh) 人工智能比例调节燃气灶
EP3772613A1 (en) A transmission mechanism for push-button switches
WO2009072853A2 (en) Cooking appliance
KR930007115Y1 (ko) 가스 난방 온수기
KR200417628Y1 (ko) 가스포트용 집열장치
JPH10185198A (ja) 加熱調理装置
KR200303984Y1 (ko) 빌트인 가스레인지의 안전가스밸브
KR200244388Y1 (ko) 가스버너용분리형소화안전장치
JP3972494B2 (ja) ガス調理器
KR950000760Y1 (ko) 가스레인지의 그릴버너 점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