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498Y1 - 화상카드 - Google Patents

화상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498Y1
KR200173498Y1 KR2019990019632U KR19990019632U KR200173498Y1 KR 200173498 Y1 KR200173498 Y1 KR 200173498Y1 KR 2019990019632 U KR2019990019632 U KR 2019990019632U KR 19990019632 U KR19990019632 U KR 19990019632U KR 200173498 Y1 KR200173498 Y1 KR 200173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lucent mirror
light emitting
card
batter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인수
Original Assignee
배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인수 filed Critical 배인수
Priority to KR2019990019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4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1Read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반투명거울의 후면에 위치되어 있는 사진의 인쇄면이 반투명거울을 투과하여 보일 수 있도록 한 화상카드에 관한 것으로, 빛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반투명거울(20), 상기 반투명거울(20)의 하측에 틈을 두고 위치되고 상기 반투명거울(2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인쇄면(32)을 갖는 반사판(30), 상기 반투명거울(20)과 반사판(30) 사이의 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주면에는 반사층(42)이 형성되어 있는 링모양의 스페이서(40), 상기 스페이서(40)의 안쪽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LED1), 상기 발광소자(LED1)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T1), 카드(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BT1)로부터 상기 발광소자 (LED1)로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SW1)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카드{picture card}
본 고안은 화상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반투명거울의 후면에 위치되어 있는 사진의 인쇄면이 반투명거울을 투과하여 보일 수 있도록 한 화상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드는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단순히 점멸시키거나 음성회로를 이용하여 멜로디를 반복하여 들려주는 것이 고안되었으나 단순히 점멸하는 시간간격을 조절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점이 있었기 때문에 구매자로 하여금 구매욕구를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으며, 타제품과 구별될 수 있는 특이한 점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제품의 주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주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매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카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빛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반투명거울, 상기 반투명거울의 하측에 틈을 두고 위치되고 상기 반투명거울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인쇄면을 갖는 반사판, 상기 반투명거울과 반사판 사이의 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주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링모양의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안쪽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카드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발광소자로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화상카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빛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반투명거울, 상기 반투명거울의 하측에 위치되어 표면에 형성되는 산란홈을 갖고, 외주면에는 반사층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판, 상기 투명판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투명거울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인쇄면을 갖는 반사판, 상기 투명판의 측면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소자, 상기 발광소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카드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발광소자로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로 구성하여 화상카드가 제공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의 일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70 : 반투명거울 32,92 : 인쇄면
30,90 : 반사판 42,84 : 반사층
40 : 스페이서 LED1,LED2,LED3 : 발광소자
BT1,BT2 : 배터리 50,100 : 카드
SW1,SW2 : 스위치 82 : 산란홈
80 : 투명판 30g,90g : 출입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하여 빛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반투명거울(20), 상기 반투명거울(20)의 하측에 틈을 두고 위치되고 상기 반투명거울(2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인쇄면(32)을 갖는 반사판(30), 상기 반투명거울(20)과 반사판(30) 사이의 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주면에는 반사층 (42)이 형성되어 있는 링모양의 스페이서(40), 상기 스페이서(40)의 안쪽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LED1), 상기 발광소자(LED1)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T1), 카드 (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BT1)로부터 상기 발광소자(LED1)로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SW1)로 구성하였다.
상기 카드(50)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상기 반투명거울(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52)이 접착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반투명거울(70), 상기 반투명거울(70)의 하측에 위치되어 표면에 형성되는 산란홈(82)을 갖고, 외주면에는 반사층(84)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판(80), 상기 투명판(80)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투명거울(7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인쇄면 (92)을 갖는 반사판(90), 상기 투명판(80)의 측면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소자 (LED2)(LED3), 상기 발광소자(LED2)(LED3)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T2), 카드 (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BT2)로부터 상기 발광소자(LED2)(LED3)로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SW2)로 구성하였다.
상기 카드(100)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위에는 상기 반투명거울(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판(102)이 접착되어 있다.
상기 발광소자(LED1)(LED2)(LED3)는 예컨대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발광소자의 종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명판(80)은 예컨대 아크릴수지로 만들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재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반사판(90)(30)은 사진과 같은 것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반사판(90)(30)은 상기 카드(100)(50)로부터 슬라이드방식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카드(50)(100)의 측면에 상기 반사판(30)(90)이 출입할 수 있는 슬릿형태의 출입구(30g)(90g)를 각각 형성하여 이 카드(50)(100)를 프론트로딩방식으로 카드(50)(100)의 내부로 넣거나 밖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드(50)(100)의 교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1)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BT1)로부터 발광소자(LED1)로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이 발광소자(LED1)가 점등된다.
이때 이 발광소자(LED1)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스페이서(40)의 반사층(42)에서 반사되어 반사판(30)의 인쇄면(32)에서 반사되어 반투명거울(2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사된다.
즉, 반투명거울(20)을 통해 카드(50)의 안쪽에 은폐되어 있던 사진과 같은 반사판(30)의 인쇄면(32)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누르고 있던 스위치(SW1)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발광소자(LED1)가 소등되면서 반사판(30)으로 빛이 방사되지 않기 때문에 반투명거울(2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외광에 비해 카드(50)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은 거의 없기 때문에 내부의 반사판(30)은 보이지 않게 된다.
즉, 반투명거울(20)을 일반 거울 처럼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배터리(BT2)로부터 발광소자(LED2)(LED3)로 전류가 흐르면서 이 발광소자(LED2)(LED3)가 점등된다.
이때 발광소자(LED2)(LED3)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투명판(80)의 측면을 통해 이 투명판(80)의 중심을 향해 방사되는데, 이 과정에서 투명판(8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층(84)에서 빛이 고르게 반사되고, 투명판(80)의 표면에 형성된 산란홈(82)에서는 빛이 난반사되어 일부는 반투명거울(70)을 직접 투과하여 보이고 일부는 사진과 같은 반사판(90)의 인쇄면(92)으로부터 반사된 다음 반투명거울(7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게 된다.
즉, 스위치(SW2)를 누르게 되면, 반투명거울(70)을 통해 반사판(90)의 인쇄면(92)을 볼 수 있는 동시에 투명판(80)에 문자나 도형의 형태로 음각된 산란홈 (82)이 보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누르고 있던 스위치(SW2)로부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발광소자 (LED2)(LED3)가 소등되면서 투명판(80)으로 빛이 방사되지 않기 때문에 반투명거울 (70)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외광에 비해 카드(100) 내부에서 반사되는 빛은 거의 없기 때문에 내부의 반사판(90) 및 음각된 산란홈(82)은 보이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물체를 반사하던 반투명거울의 후면을 투과하여 사진이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품의 주시성이 향상되어 구매자의 구매욕구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빛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반투명거울(20);
    상기 반투명거울(20)의 하측에 틈을 두고 위치되고 상기 반투명거울(2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인쇄면(32)을 갖는 반사판(30);
    상기 반투명거울(20)과 반사판(30) 사이의 틈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내주면에는 반사층(42)이 형성되어 있는 링모양의 스페이서(40);
    상기 스페이서(40)의 안쪽으로 노출되는 발광소자(LED1);
    상기 발광소자(LED1)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T1);
    카드(5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BT1)로부터 상기 발광소자(LED1)로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SW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카드.
  2. 빛을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킬 수 있는 반투명거울(70);
    상기 반투명거울(70)의 하측에 위치되어 표면에 형성되는 산란홈(82)을 갖고, 외주면에는 반사층(84)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판(80);
    상기 투명판(80)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투명거울(70)을 통해 투과되어 보이는 인쇄면(92)을 갖는 반사판(90);
    상기 투명판(80)의 측면으로 빛을 방사하는 발광소자(LED2)(LED3);
    상기 발광소자(LED2)(LED3)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BT2);
    카드(1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BT2)로부터 상기 발광소자(LED2) (LED3)로 흐르는 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SW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50)(100)의 측면에 상기 반사판 (30)(90)이 출입할 수 있는 슬릿형태의 출입구(30g)(90g)를 각각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카드.
KR2019990019632U 1999-09-14 1999-09-14 화상카드 KR200173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632U KR200173498Y1 (ko) 1999-09-14 1999-09-14 화상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632U KR200173498Y1 (ko) 1999-09-14 1999-09-14 화상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498Y1 true KR200173498Y1 (ko) 2000-03-15

Family

ID=1958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632U KR200173498Y1 (ko) 1999-09-14 1999-09-14 화상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49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618B1 (ko) 2007-08-16 2008-07-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KR100935841B1 (ko) 2003-09-04 2010-01-0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소자
KR20140056908A (ko) 2012-11-02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KR20140056906A (ko) 2012-11-02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841B1 (ko) 2003-09-04 2010-01-0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소자
KR100848618B1 (ko) 2007-08-16 2008-07-2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표시 장치
KR20140056908A (ko) 2012-11-02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KR20140056906A (ko) 2012-11-02 2014-05-12 코웨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2000495B1 (ko) * 2012-11-02 2019-07-17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2010972B1 (ko) * 2012-11-02 2019-08-14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가전기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476B1 (ko) 후면광을 갖는 폴더형 덮개
US7223008B2 (en) Backlighting device for an information display element of a portable object
US6241360B1 (en) Lighted writing support and clipboard
CN1860771B (zh) 便携式通讯终端装置
KR200173498Y1 (ko) 화상카드
TWI696307B (zh) 顯示裝置
JP3862635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185223Y1 (ko) 아크릴판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광고장치
CN202033566U (zh) 辅助照明装置和具有辅助照明功能的网络摄像头装置
US8074386B2 (en) Integrated mirror and graphics display system
KR20040038917A (ko) 투과형 로고 어셈블리 및 방법
CN217718964U (zh) 一种叠影发光装置
KR102139737B1 (ko) 자석 센서 및 발광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101947497B1 (ko) 회전형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케이스
CN214016945U (zh) 一种复合透光面板成像相框
JPH1128273A (ja) パチンコ遊技機のレール装飾体
USD473337S1 (en) Light fiber mounting device
JP4307134B2 (ja) ネームタグ
TW594374B (en) A film device with lenses
USD444896S1 (en) Light emitting element
JP3095669U (ja) 発光型装飾品
KR200338120Y1 (ko) 홀로그램 필름이 부착된 명함
KR200194807Y1 (ko) 휴대폰에 부착되는 착신 발광 장치
JPH10240174A (ja) 照光ボタン
JPWO2005022491A1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