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392Y1 - 음료용기 캡 - Google Patents

음료용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392Y1
KR200173392Y1 KR2019990022065U KR19990022065U KR200173392Y1 KR 200173392 Y1 KR200173392 Y1 KR 200173392Y1 KR 2019990022065 U KR2019990022065 U KR 2019990022065U KR 19990022065 U KR19990022065 U KR 19990022065U KR 200173392 Y1 KR200173392 Y1 KR 200173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fting
opening
elevating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창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음료용기 캡은 사용자가 음료용기 캡의 투명캡을 잡아 당기는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캡도 함께 잡아 당겨 승강캡의 주출구를 개방하여 음료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음료를 마신 후 투명캡을 눌러 닫으면 투명캡이 내부의 승강캡을 함께 눌러 닫아서 승강캡의 주출구를 밀폐시키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손이 음료용기 캡의 승강캡에 직접 닿을 필요 없이 안전하고 쉽게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있고 승강캡의 주출구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음료용기 캡(1)은 음료용기(B)의 상단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부에 돌출단부와, 이탈방지턱과,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내부캡(2)과; 상기한 내부캡의 상단 외주연에 삽입되어 승강되고, 내주연에 승강부재와, 걸림돌기 및 주출구와, 이 주출구의 하단에 경사면과, 상단에 승강캡열릴돌기를 구비하는 승강캡(3)및; 상기한 승강캡을 보호하도록 내부캡의 걸림턱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이 투명캡의 여닫음에 따라서 상기한 승강캡을 함께 여닫을 수 있도록 내주연 상부면에 열림부재와, 이의 하단 개구부 외주연에 열림턱과, 상기 열림부재와 인접하여 돌기를 구비하는 투명캡(4)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용기 캡 {A things to drink cap}
본 고안은 각종 음료용기의 병목에 나사 결합되는 음료용기 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내부캡을 나사결합하고, 이 내부캡의 상단 외주연에 승강캡과 투명캡을 결합하여서 사용자가 음료용기의 투명캡을 잡아 당기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캡까지 함께 잡아 당겨 승강캡의 주출구를 개방하여서 음료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안전하고 쉽게 따라 마실 수 있고, 음료를 마신 후 투명캡을 눌러 닫으면 투명캡이 내부의 승강캡을 함께 눌러 닫아서 투명캡의 한 번 하강만으로승강캡의 주출구를 밀폐시켜서 음료용기 캡의 사용의 편의성과 승강캡의 주출구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신규한 형태의 음료용기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형태의 합성수지로 된 스크류식 병뚜껑은 병목의 상단에 닿아 지지되는 것으로 부착되거나 삽입되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들 음료용기에 수납된 음료를 마실 때에는 일일이 나사캡을 나사식으로 해체하여서 음료를 마신 후 다시 나사캡을 나사결합 하여야 하므로 음료용기에서 나사캡을 일일이 여닫는데 많은 불편을 가져왔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78-6102호(공고번호 제79-1844호)의 '병마개'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85-8547호(공개번호 제87-2184호)의 '병마개'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5-8420호(공개번호 제96-34540호)의 '생수용기'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5-25527호(1995.8.16.)의 '개폐가 용이한 음료용기 캡'이 개발되어 있다.
위와 같은 형태의 음료용기 캡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용기(20)의 개구부 상단에 내부캡(21)을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키고, 이 내부캡(21)의 상단 외주연에 승강캡(22)을 삽입하여 승강되도록 하며, 이 승강캡(22)의 외주연에 투명캡(23)을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여 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는 음료용기(20)의 상단에 있는 투명캡(23)을 잡아 당겨서 개방시킨 다음, 사용자가 손으로 승강캡(22)의 주출구(24) 부분을 잡고 상부로 잡아당겨 승강캡(22)의 주출구(24)를 개방하여서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사용자가 음료를 마신 후 승강캡(22)의 입이 닿은 부분을 손으로 눌러 닫아서 상기한 승강캡(22)을 원래 상태로 밀어 넣어서 승강캡(22)의 주출구(24)를 폐쇄시킨 후 다시 외부의 투명캡(23)을 닿아야 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형태의 음료용기 캡은 음료용기(20)에 내장된 음료는 사용자가 일일이 손으로 승강캡(22)을 위로 잡아 당겨서 주출구(24)를 개방시킨 다음 입으로 음료를 마실 수가 있고, 음료를 마신 다음 사용자는 자신의 입이 닿은 부분을 다시 손으로 눌러서 승강캡(22)을 하강시켜 주출구(24)를 폐쇄시킨 후 다시 외부캡(23)을 눌러 닫아서 음료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음료용기 캡은 음료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모두 마실 때까지 사용자가 내부캡(21)의 상단부에서 승강되는 승강캡(22)을 손으로 잡고 일일이 위쪽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음료를 마신 후 입이 닿은 승강캡(22)의 주출구(24)를 손으로 다시 눌러서 밀어 내리는 동작을 빈번히 반복하여야만 하고, 이와 동시에 투명한 외부캡(23) 역시 수십 번 여닫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형태의 빈번한 작동은 사용자의 손으로 상기한 승강캡(22)의 음료 주출구(24)를 여러 번 만져야 되므로 승강캡(22)의 주출구(24)가 오염되어 세균감염의 우려가 있으며, 특히 어른들은 비교적 주의를 하면서 승강캡의 주출구를 개방시키지만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무의식적으로 장난 삼아 손으로 승강캡을 잡아당기거나 밀어 넣는 동작을 반복하므로 주출구의 세균감염의 우려가 더욱 높은 실정이다.
본 고안의 음료용기 캡은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된 음료용기 캡의 투명캡을 잡아 당기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캡까지 함께 잡아 당겨서 승강캡의 주출구를 개방하여 음료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안전하고 쉽게 따라 마실 수 있고, 음료를 마신 후 투명캡을 눌러서 닫으면 투명캡이 내부의 승강캡을 함께 눌러닫아서 투명캡의 한 번 하강만으로도 승강캡까지 하강시켜 승강캡의 주출구를 밀폐시키도록 하므로서, 사용자의 손이 음료용기 캡의 승강캡에 닿을 필요가 전혀 없이 안전하게 음료를 마실 수 있고 승강캡의 주출구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음료용기 캡은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부에 돌출단부와 이탈방지턱과 실링부재를 구비하는 내부캡과; 이 내부캡의 상단 외주연에 삽입되어서 투명캡의 승강에 따라서 함께 승강되고, 내주연에 승강부재와 걸림돌기 및 주출구와 이 주출구의 하단에 경사면과 상단에 승강캡열릴돌기를 구비하는 승강캡 및; 상기한 승강캡을 보호하도록 내부캡의 걸림턱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이 투명캡의 여닫음에 따라서 상기한 승강캡을 함께 여닫을 수 있도록 내주연 상부면에 열림부재와, 이의 하단 개구부 외주연에 열림턱과, 상기 열림부재와 인접하여 돌기를 구비하는 투명캡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음료용기 캡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내부캡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 은 도 1 의 승강캡과 투명캡을 분리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4 는 도 1 의 음료용기 캡을 닫은 상태의 일부단면도
도 5 는 도 4 의 음료용기 캡에 있어서, 사용자가 투명캡을 한 번 잡아 당겨서 승강캡까지 당겨 주출구를 개방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6 은 도 4 에서 투명캡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7 은 종래 기술의 일예를 보인 음료용기 캡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용기 캡 2 : 내부캡 3 : 승강캡
4 : 투명캡 5, 6 : 걸림턱 7 : 돌출단부
8 : 이탈방지턱 9 : 실링부재 10 : 승강부재
11 : 걸림돌기 12 : 주출구 13 : 경사면
14 : 승강캡열림돌기 15 : 열림부재 16 : 열림턱
17 : 돌기
도 1 내지 도 4 에서,
부호 1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음료용기 캡을 표시하며; 상기한 음료용기 캡(1)은 음료용기(B)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캡(2)과, 상기한 내부캡(2)의 상단 외주연에 삽입되어서 후술하는 투명캡(4)의 승강에 따라서 함께 승강자재되는 승강캡(3) 및, 상기한 승강캡(3)을 보호하도록 내부캡(2)의 걸림턱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이 투명캡의 여닫음에 따라 상기한 승강캡(3)을 함께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투명캡(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내부캡(2)은 도 2,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캡과 동일하게 음료용기(B)의 개구부 상단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한 내부캡(2)의 상부에는 돌출단부(7)를 형성하고, 상기한 돌출단부(7)의 상단에는 후술하는 승강캡(3)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8)을 형성하며, 상기한 돌출단부(7)의 내주연에는 승강캡(3)의 하강시 승강캡(3)의 주출구를 폐쇄하는 실링부재(9)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승강캡(3)은 상기 내부캡(2)의 상단 외주연에 삽입되어서 투명캡(4)의 승강에 따라서 함께 승강되는 것으로 도 3,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캡(3)의 내주연에는 내부캡(2)의 돌출단부(7)에 삽입되어서 승강자재되는 승강부재(10)를 형성하되, 상기한 승강캡(3)과 승강부재(10)상에는 걸림돌기(11)를 형성하여서 승강캡(3)이 상기한 내부캡(2)의 돌출단부(7)에 삽입되어 승강할 때 상기한 내부캡(2)의 돌출단부(7) 상단에 있는 이탈방지턱(8)과 맞물려서 승강캡(3)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한 승강부재(10)의 내주연에는 주출구(12)를 형성하되, 상기한 주출구(12)의 하단에는 경사면(13)을 형성하여서 상기한 승강캡(3)의 하강으로 승강캡(3)의 주출구(12)가 내부캡(2)의 실링부재(9)에 맞닿을 때 주출구(12)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주출구(12)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한 주출구(12)의 상단에는 승강캡열림돌기(14)를 형성하여서 후술하는 투명캡(4)이 상승할 때 투명캡(4)의 내주연 상부면에 형성된 열림부재에 의하여 투명캡(4)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상기한 승강캡(3)을 함께 열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한 투명캡(4)은 하단 개구부에 걸림턱(6)을 형성하여서 음료를 마시지 않을 때는 상기한 승강캡(3)을 보호하도록 내부캡(2)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5)과 서로 맞물려서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 고정되며, 상기한 투명캡(4)은 도 3,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캡(4)의 내주연 상부면에 열림부재(15)를 형성하되, 상기한 열림부재(15)의 하단 개구부 외주연에는 열림턱(16)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한 투명캡(4)을 내부캡(2)에 눌러서 닫으면 상기한 투명캡(4)의 열림턱(16)이 상기한 승강캡(3)의 승강캡열림돌기(14)에 삽입되어 주출구(12)를 폐쇄시킨 도 4 와 같은 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때는 음료용기 캡(1)의 투명캡(4)을 잡아당기면 도 5 와 같이 투명캡(4)의 열림턱(16)이 상기한 승강캡(4)의 승강캡열림돌기(14)에 서로 맞물려서 투명캡(4)을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승강캡(3)까지 함께 잡아 당겨서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개방시킬 수 있고, 투명캡(4)을 계속하여 잡아당기면 내부캡(2)의 상단 돌출단부(7)상에서 승강캡(3)이 상승하면서 승강캡(3)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돌기(10,11)가 내부캡(2)의 돌출단부(7) 상단에 형성된 이탈방지턱(8)에 맞닿으면서 승강캡(3)이 더 이상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한 투명캡(4)을 계속 잡아당기면 투명캡(4)의 열림턱(16)이 상기한 승강캡(3)의 승강캡열림돌기(14)에서 이탈되어서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개방시키는 도 5 와 같은 상태가 되어서 음료용기의 음료를 마실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투명캡(4)의 내주연 상부면에는 상기한 열림부재(15)와 인접하여 돌기(17)를 형성하여서 음료를 마신 후 상기한 투명캡(4)을 닿을 때 투명캡(4)으로 승강캡(3)을 누르면 투명캡(4)의 내주연 상부면에 있는 열림부재(15)의 열림턱(16)이 승강캡(3)의 주출구(12)에 맞닿으면서 승강캡(3)을 누르게 되고, 이어서 투명캡(4)의 열림턱(16)이 승강캡(3)의 주출구(12)에 있는 승강캡열림돌기(14)를 통과하여 하향할 때 사용자가 투명캡(4)을 누르는 힘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투명캡의 내주연이 승강캡(3)의 상단에 맞닿아서 투명캡(4)의 상부면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음료용기 캡(1)이 결합된 음료용기(B)를 사용할 때는 음료용기에서 사용자의 손으로 투명캡(4)을 잡아당기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캡(3)까지 함께 잡아 당겨서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개방하여 음료용기(B)에 내장된 음료를 안전하고 쉽게 마실 수 있고, 음료를 마신 후에는 종래와 같이 음료용기 캡의 승강캡(3)을 손으로 눌러서 닫을 필요가 전혀 없이 단순히 투명캡(4)을 눌러 닫으면 투명캡(4)이 내부의 승강캡(3)을 함께 눌러 닫아서 투명캡(4)의 한 번 하강만으로 승강캡(3)의 주출구(12)가 내부캡(2)의 상단 실링부재(9)에 맞닿아서 승강캡의 주출구를 밀폐시키므로, 음료용기 캡(1)의 사용의 편의성과 승강캡(3)의 주출구(12) 오염방지 및 사용자의 손이 음료용기 캡(1)의 승강캡(3)에 닿을 필요가 전혀 없이 안전하게 음료를 마실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료용기 캡(1)은 사용을 위하여 도 1 내지 도 6 에서와 같이 음료용기(B)의 병목 개구부에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 캡(1)을 단순히 나사 결합하는 것만으로 삽입이 완료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게 되며,
개구부에 나사결합되는 경질의 내부캡(2)과, 상기한 내부캡의 상단 외주연에 삽입되어서 투명캡의 승강에 따라서 함께 승강되는 승강캡(3) 및, 상기한 승강캡을 보호하도록 내부캡의 걸림턱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 고정되고, 이 투명캡의 여닫음에 따라 승강캡을 함께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투명캡(4)으로 구성하고,
상기한 내부캡(2)은 상부에 돌출단부(7)를 형성하고, 상기한 돌출단부의 상단에는 승강캡(3)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8)을 형성하며, 상기한 돌출단부의 내주연에는 승강캡(3)의 하강시 승강캡의 주출구를 폐쇄시키는 실링부재(9)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한 승강캡(3)은 내주연에 승강부재(10)를 형성하고, 상기한 승강캡과 승강부재(10)상에는 걸림돌기(11)를 형성하며, 상기한 승강부재의 내주연에는 주출구(12)를 형성하되, 상기한 주출구(12)의 하단에는 경사면(13)을 형성하고, 상기 주출구(12)의 상단에는 승강캡열림돌기(14)를 형성하며, 상기한 투명캡(4)은 내주연 상부면에 열림부재(15)를 형성하되, 상기한 열림부재의 하단 개구부 외주연에 열림턱(16)을 형성하고, 상기한 열림부재와 인접하여서 돌기(17)를 형성하므로서,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B)는 사용자가 투명캡(4)을 잡아당기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투명캡(4)의 상단 내주연 열림턱(16)이 승강캡(3)의 주출구(12) 상단승강캡열림돌기(14)를 함께 잡아 당겨서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개방하여서 음료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안전하고 쉽게 마실 수 있고, 음료를 마신 후 외부의 투명캡(4)을 눌러 닫으면 투명캡(4)이 내부의 승강캡(3)을 함께 눌러 닫아서 투명캡(4)의 한 번 하강만으로 승강캡(3)까지 하강시켜서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밀폐시키므로 음료용기 캡(1)의 사용의 편의성과 승강캡(3)의 주출구(12) 오염방지 및 사용자의 손이 음료용기 캡(1)의 승강캡(3)에 닿을 필요가 전혀 없이 안전하게 음료를 마실 수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음료용기(B)는 사용자가 상기한 투명캡(4)을 잡아당기는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B)에 내장된 음료를 모두 마실 때까지 어린 유아들도 비교적 음료를 옆으로 흘리지 않고 안전하고 쉽게 먹을 수 있게 되고, 음료를 먹고 난 다음 상기한 투명캡(4)을 밀어 넣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캡(3)까지 밀어 넣어서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폐쇄시킬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 캡의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켰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의 음료용기 캡(1)은 설치 시에도 음료용기(B)의 개구부에 캡실링장치로 나사 결합으로 돌리는 동작만으로도 안전하고 손상 없이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설치작업의 능률향상을 기할 수 있고, 종전의 음료용기 캡들에 비해서 음료용기에 내장된 음료를 모두 마실 때까지 내부캡(2)의 상단부에서 승강되는 승강캡(3)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당기거나 누르는 등의 빈번한 동작을 할 필요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형태의 빈번한 작동으로 인하여 승강캡(3)의 음료 주출구(12)가 오염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며,
음료를 마실 때는 음료용기(B)에서 사용자의 손으로 투명캡(4)을 잡아 당기는 한 번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캡(3)까지 함께 잡아 당겨서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개방하여 음료용기(B)에 내장된 음료를 안전하고 쉽게 따라 마실 수 있고, 사용자가 음료를 마신 후에는 단순히 투명캡(4)을 눌러서 닫으면 투명캡(4)이 내부의 승강캡(3)을 함께 눌러 닫아서 투명캡(4)의 한 번 하강만으로도 승강캡(3)까지 하강시켜서 자연스럽게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밀폐시켜서 음료용기 캡의 사용의 편의성과 승강캡(3)의 주출구(12)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이 음료용기 캡(1)의 승강캡(3)에 닿을 필요가 전혀 없고 안전하고 자연스럽게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개방시켜서 음료를 모두 마실 수 있으므로 승강캡(3)의 주출구(12) 오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투명캡(4)을 눌러 닫으면서 안전하게 승강캡(3)의 주출구(12)를 폐쇄시켜서 음료용기(B)에 내장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 캡(1)의 실링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등 탁월한 밀봉효과가 있어서 생수, 주스 등의 각종 음료용기 캡 분야에 그 실용성이 지대할 것으로 기대 된다.

Claims (1)

  1. 음료용기의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캡과, 상기 내부캡의 상단 외주연에 삽입되어 승강하면서 내부캡의 주출구를 개폐시키는 승강캡과, 상기 승강캡을 보호하도록 내부캡에 삽입 고정되는 투명캡으로 구성된 음료용기 캡에 있어서,
    음료용기(B)의 상단 개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부캡(2)과, 상기한 내부캡(2)의 상단 외주연에 삽입되어서 투명캡(4)의 승강에 따라 함께 승강되는 승강캡(3)과, 상기한 승강캡(3)을 보호하도록 내부캡(2)의 걸림턱에 삽입 고정되고, 이 투명캡의 여닫음에 따라서 상기한 승강캡(3)을 함께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투명캡(4)으로 구성하고;
    상기한 내부캡(2)은 상부에 돌출단부(7)를 형성하고, 상기한 돌출단부의 상단에는 승강캡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8)을 형성하며, 상기한 돌출단부의 내주연에는 승강캡의 하강시 승강캡의 주출구를 폐쇄시키는 실링부재(9)를 형성하고; 상기한 승강캡(3)은 내주연에 승강부재(10)를 형성하고, 상기한 승강캡과 승강부재상에는 걸림돌기(11)를 형성하며, 상기한 승강부재의 내주연에는 주출구(12)를 형성하되, 상기 주출구(12)의 하단에는 경사면(13)을 형성하고, 주출구(12)의 상단에는 승강캡열림돌기(14)를 형성하며; 상기한 투명캡(4)은 내주연 상부면에 열림부재(15)를 형성하고, 상기한 열림부재의 하단 개구부 외주연에 열림턱(16)을 형성하며, 상기한 열림부재와 인접하여서 돌기(17)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음료용기 캡.
KR2019990022065U 1999-06-07 1999-10-13 음료용기 캡 KR2001733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48 1999-06-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048 Division 1999-06-07 1999-06-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392Y1 true KR200173392Y1 (ko) 2000-03-15

Family

ID=1957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065U KR200173392Y1 (ko) 1999-06-07 1999-10-13 음료용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3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31255A1 (en) Drinking element
CN201612437U (zh) 一种热饮杯杯盖
KR200173392Y1 (ko) 음료용기 캡
US20130092699A1 (en) Beverage can sealer and holder
KR200307944Y1 (ko) 투명위생커버가 끼워진 음료수캔 용기
KR100840983B1 (ko) 마개홀더를 구비한 용기
KR200173350Y1 (ko) 액체용기용 배출대 및 그 구조
KR20120000314A (ko) 원터치 개봉수단이 구비된 병뚜껑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US20070068893A1 (en) Spill proof drinking cap for bottles
JP3128511U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キャップ
KR200166523Y1 (ko) 병 마개 (뚜껑)
CN210913590U (zh) 一种防儿童开启的化妆品喷瓶
KR200215329Y1 (ko) 병뚜껑덮개
CN2316278Y (zh) 杯茶包装杯
KR200287574Y1 (ko) 원터치형 위생병뚜껑
KR200174379Y1 (ko) 음료용 캔
KR19980062544U (ko) 음료용기용 원터치 위생캡
JP3102231U (ja) ペットボトルのキャップ型注出装置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19990064471A (ko) 덮개에 의해 작동부가 개폐되는 특징이 있는 합성수지 병뚜껑
KR200280838Y1 (ko) 개선된 기능의 병마개
JP3631331B2 (ja) 飲料用注出容器
KR0127872Y1 (ko) 포장용 용기 뚜껑
CN205931654U (zh) 自带吸管式饮料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