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697Y1 -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697Y1
KR200172697Y1 KR2019970033936U KR19970033936U KR200172697Y1 KR 200172697 Y1 KR200172697 Y1 KR 200172697Y1 KR 2019970033936 U KR2019970033936 U KR 2019970033936U KR 19970033936 U KR19970033936 U KR 19970033936U KR 200172697 Y1 KR200172697 Y1 KR 2001726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input terminal
output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461U (ko
Inventor
김덕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3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6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6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6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온 스크린 디스플레장치는 캠코더 등의 영상촬영기기의 동작 및 제어상태를 영상촬영기기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OSD로 표시할 때, 비디오신호가 뮤트되는 경우 불안정하게 표시되는 OSD신호를 안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는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제10스위칭부와,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는 뮤트부와,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시키는 동기신호 분리부와, 동기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항상 동일위상의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인 레코딩 신호와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에 따라 합성 동기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1스위칭부와, 제11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합성 동기신호중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믹스하여 뮤트화면을 출력하는 믹스부와, 제어부에서 라인 레코딩 신호가 출력되면 믹스부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를 차단하는 제12스위칭부와, 믹스부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뷰 파인더와, 뷰 파인더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OSD 문자신호를 발생시켜 모니터로 출력하는 OSD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믹스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라인입력단을 통해 재입력시킴으로써 스위칭부의 수를 줄여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 제어부를 통해 항상 일정한 위상을 가진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비디오 신호가 뮤트되는 경우에도 OSD신호가 모니터에 안정하게 표시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본 고안은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캠코더 등의 영상촬영기기의 동작 및 제어상태를 영상촬영기기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이하, OSD라 약칭함)로 표시할 때, 비디오신호가 뮤트되는 경우 불안정하게 표시되는 OSD신호를 안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 등의 영상촬영기기는 카메라를 일체화한 브이 씨 알(Video Cassette-Tape Recorder; 이하, VCR이라 약칭함)로서, 피사체의 영상을 비디오신호의 형태로 인코딩하여 인코딩된 비디오신호를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와 같은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와 같은 캠코더 등의 영상촬영기기에는 뷰 파인더(View Finder)가 구비되어 뷰 파인더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녹화된 내용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VCR 또는 모니터 등에 연결시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녹화된 내용을 편집하거나 또는 라인입력을 통해 VCR에 녹화된 내용을 더빙하여 기록할 수 있음은 물론 녹화, 일시정지, 되감기/빨리감기, 현재시각 및 날짜 등의 영상촬영기기의 동작 및 제어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OSD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OSD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촬영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위칭부(1)는 카메라 입력단(INPUT 1)과 VCR입력단(INPUT 2)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뮤트부(2)는 카메라 입력단(INPUT 1)과 VCR 입력단(INPUT 2)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켜 출력시킨다.
제어부(4)는 뮤트신호를 후술되는 제2스위칭부(5)로 출력함과 동시에 검출부(3)에서 검출된 라인입력 신호에 따라 라인입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출력신호(OUTPUT)를 후술되는 제3스위칭부(7)와 제4스위칭부(11)로 출력한다.
제2스위칭부(5)는 제어부(4)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에 따라 합성 동기신호(Composite Synchronous)를 스위칭한다.
믹스부(6)는 제2스위칭부(5)부에서 스위칭된 합성 동기신호중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믹스하여 뮤트화면을 구성한다.
제3스위칭부(7)는 제어부(4)에서 라인입력을 나타내는 출력신호(OUTPUT)가 입력되면 믹스부(6)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를 차단한다.
뷰 파인더(8)는 믹스부(6)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후술되는 OSD부(9)로 출력한다.
OSD부(9)는 뷰 파인더(8)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OSD문자신호를 발생시켜 모니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출력한다.
증폭부(10)는 제3스위칭부(7)의 스위칭에 따라 뮤트신호 또는 라인 입력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한다.
제4스위칭부(11)는 제어부(4)로부터 라인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증폭부(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킬 때에는, 제어부(4)의 뮤트신호에 따라 제2스위칭부(5)에서 합성 동기신호를 믹스부(6)로 출력하여 카메라 입력단(INPUT 1) 또는 VCR 입력단(INPUT 2)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켰다.
그리고, 뷰 파인더(8)를 통해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시키고, OSD부(9)에서 이를 이용하여 OSD문자를 발생시켜 영상촬영기기에 연결된 모니터에 표시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OSD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촬영기기는 복수의 스위칭으로 인하여 회로설계시 매우 복잡하였음은 물론, 비디오 신호의 유무에 따라 수직동기신호의 위상이 크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비디오 신호가 뮤트되는 경우 OSD 표시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이중으로 표시되는 등 OSD신호가 매우 불안정하게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캠 코더 등의 영상촬영기기의 동작 및 제어상태를 영상촬영기기에 연결된 모니터를 통해 OSD로 표시할 때, 비디오신호가 뮤트되는 경우 불안정하게 표시되는 OSD신호를 안정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위칭부의 수를 줄여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OSD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OSD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촬영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신호 뮤트시 OSD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촬영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10스위칭부 110 : 뮤트부
120 : 동기신호 분리부 130 : 제어부
140 : 제11스위칭부 150 : 믹스부
160 : 제12스위칭부 170 : 뷰 파인더
180 : OSD부 190 : 증폭부
R10,R11 : 저항 C10,C11 : 콘덴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OSD 장치는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제10스위칭부와,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는 뮤트부와,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시키는 동기신호 분리부와, 동기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항상 동일위상의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인 레코딩 신호와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에 따라 합성 동기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1스위칭부와, 제11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합성 동기신호중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믹스하여 뮤트화면을 출력하는 믹스부와, 제어부에서 라인 레코딩 신호가 출력되면 믹스부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를 차단하는 제12스위칭부와, 믹스부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뷰 파인더와, 뷰 파인더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OSD 문자신호를 발생시켜 모니터로 출력하는 OSD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OSD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신호 뮤트시 OSD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영상촬영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스위칭부(100)는 카메라 입력단(INPUT 10)과 VCR입력단(INPUT 20)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뮤트부(110)는 카메라 입력단(INPUT 10)과 VCR입력단(INPUT 20)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켜 출력시킨다.
동기신호 분리부(120)는 카메라 입력단(INPUT 10)과 VCR 입력단(INPUT 20)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시킨다.
제어부(130)는 동기신호 분리부(120)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항상 동일위상의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재생되는 신호가 불안정하여 동기신호 분리부(120)를 통해 수직동기신호가 분리되어 입력되지 않더라도 보상을 해 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에서는 라인 레코딩 신호 및 뮤트신호를 후술되는 제11스위칭부(140)와 제12스위칭부(160)로 각각 출력한다.
제11스위칭부(140)는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에 따라 합성 동기신호(Composite Synchronous)를 스위칭한다.
믹스부(150)는 제11스위칭부(140)부에서 스위칭된 합성 동기신호중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믹스하여 뮤트화면을 구성한다.
제12스위칭부(160)는 제어부(130)에서 라인 레코딩 신호가 출력되면 믹스부(150)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를 차단한다.
뷰 파인더(170)는 믹스부(15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동기신호만을 후술되는 OSD부(180)로 출력한다.
OSD부(180)는 뷰 파인더(170)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OSD 문자신호를 발생시켜 모니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출력한다.
증폭부(190)는 제12스위칭부(160)의 스위칭에 따라 뮤트신호 또는 라인 레코딩신호를 증폭시켜 영상촬영기기에 연결된 다른 장치로 출력시킨다.
상술한 도면부호 설명중 미설명부호 R10과 R11은 신호 입출력시 영상촬영기기와 다른 장치 사이의 임피던스를 맞추어 주기 위한 저항이고, C10와 C11은 콘덴서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OSD 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0스위칭부(100)에서 카메라 입력단(INPUT 10)과 VCR입력단(INPUT 20)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먼저, 비디오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스톱모드(FF/REW), 기록모드(REC) 및 재생모드(PB)중 어느 모드로 동작하는가를 판별하게 된다.
스톱모드일 때는 제10스위칭부(100)를 통해 VCR 입력부(INPUT 20)이 스위칭되어 콘덴서(C11)를 거쳐 신호가 인가된다.
이렇게 제10스위칭부(100)를 통해 인가된 신호는 동기신호 분리부(120)에서 동기신호가 분리되고, 제어부(130)에서는 이 신호를 이용하여 항상 동일위상의 수직동기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30)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에 따라 제11스위칭부(140)에서 합성 동기신호(Composite Synchronous)를 믹스부(150)로 스위칭시켜 믹스부(150)에서 뮤트부(110)에서 출력된 뮤트신호와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믹스하여 뮤트화면을 구성하도록 한다.
믹스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12스위칭부(160)와 증폭부(190)를 통해 다른 연결장치와의 입출력단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뷰 파인더(170)에서 수평동기신호가 분리되어 OSD부(180)에 인가된다.
OSD부(180)에서는 뷰 파인더(170)에서 출력된 수평동기신호와 제어부(130)에서 출력된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하여 OSD 문자신호를 발생시켜 모니터 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기록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130)에서 라인 레코딩 신호가 출력되어 제12스위칭부(160)에서 믹스부(150)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가 차단되어 라인입력이 진행되고, 상술한 스톱모드에서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OSD신호를 모니터 상에 표시한다.
재생모드인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OSD 신호를 모니터 상에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비디오 모드가 아닌 카메라 모드인 경우에는 제10스위칭부(100)를 통해 카메라 입력단(INPUT 10)이 스위칭되어 전술한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OSD신호를 모니터 상에 표시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된 모드에 따라 카메라 입력단(INPUT 10)과 VCR입력단(INPUT 2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가 뮤트되는 경우, OSD(180)에서 발생되어 모니터에 표시되는 OSD신호는 종래에서와 같이 위치가 변경되거나 중복됨이 없이 정상적인 비디오 신호가 인가될 때와 마찬가지로 표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OSD장치에 의하면, 뷰 파인더로 수평동기신호만이 출력되도록 하고, 제어부를 통해 항상 일정한 위상을 가진 수직동기신호가 출력되게 함으로써 비디오 신호가 뮤트되는 경우에도 OSD신호가 안정하게 표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믹스부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라인입력단을 통해 재입력시킴으로써 스위칭부의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회로를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다.

Claims (2)

  1.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제10스위칭부;
    상기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비디오 신호를 뮤트시키는 뮤트부;
    상기 카메라 입력단과 VCR 입력단을 통해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분리시키는 동기신호 분리부;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에 따라 항상 동일위상의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라인 레코딩 신호와 뮤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에 따라 합성 동기신호를 스위칭하는 제11스위칭부;
    상기 11스위칭부에서 스위칭된 합성 동기신호중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믹스하여 뮤트화면을 출력하는 믹스부;
    상기 제어부에서 라인 레코딩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믹스부에서 출력되는 뮤트신호를 차단하는 제12스위칭부;
    상기 믹스부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뷰파인더; 및
    상기 뷰 파인더에서 출력되는 수평동기신호와 상기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에 OSD 문자신호를 발생시켜 모니터로 출력하는 OS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는 신호가 불안정하여 상기 동기신호 분리부를 통해 정상적인 수직동기신호가 분리되어 입력되지 않을 때, 이를 보상하여 정상적인 수직동기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KR2019970033936U 1997-11-26 1997-11-26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KR2001726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36U KR200172697Y1 (ko) 1997-11-26 1997-11-26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36U KR200172697Y1 (ko) 1997-11-26 1997-11-26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61U KR19990020461U (ko) 1999-06-15
KR200172697Y1 true KR200172697Y1 (ko) 2000-03-02

Family

ID=19515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936U KR200172697Y1 (ko) 1997-11-26 1997-11-26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6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461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6053B1 (en) Video line connection apparatus for adaptively connecting external input/output line
US5239420A (en) Triple deck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5502487A (en) Character signal display for a camcorder using existent synchronization signals for character display
KR200172697Y1 (ko)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EP1259072B1 (en) Magnetic mediu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949957A (en) Video camera having storage medium-equipped recorder-reproduc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940005016Y1 (ko) 비디오테이프 장치의 기록/재생 신호 동시표시회로
KR950022872A (ko) 2화면 영상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JPH0746514A (ja) テレビ電話付きvtr内蔵テレビ受像機
JP2889238B2 (ja) 映像信号切換装置
JP3503164B2 (ja) ビデオ編集装置
KR970004660B1 (ko) 영상신호 절환회로
KR0180268B1 (ko) 비디오시청제어장치
JPH0795834B2 (ja) 録画再生装置
JPS6212282A (ja) カラ−テレビジヨン受信機
KR970006271Y1 (ko)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KR100191176B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입체 녹화 기억장치
KR920008258Y1 (ko) 외부신호 무입력시 카메라신호 자동절환회로
KR940002709B1 (ko) 비데오 및 오디오 신호 편집 장치
JPH04326261A (ja) 撮像装置
KR0135821B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일체형 텔레비젼 수상기
JPH0438628Y2 (ko)
JPH08223011A (ja) 入出力端子を備えた電子装置
JPH0575916A (ja) ビデオカメラ
KR970063183A (ko) Tvcr에서의 복사방지 테이프 재생신호 수신시 화질 개선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