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271Y1 -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 Google Patents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271Y1
KR970006271Y1 KR2019910006984U KR910006984U KR970006271Y1 KR 970006271 Y1 KR970006271 Y1 KR 970006271Y1 KR 2019910006984 U KR2019910006984 U KR 2019910006984U KR 910006984 U KR910006984 U KR 910006984U KR 970006271 Y1 KR970006271 Y1 KR 970006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istor
output
character
character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6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2080U (ko
Inventor
남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910006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271Y1/ko
Publication of KR920022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2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상세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자막신호 처리 블록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보호의 설명*
1 : 색(Y/C)혼합부2 : 증폭부
3 : 문자혼합부4 : 동기분리기
5 : 버퍼6 : 문자발생기
7 : 2단 저역통과필터8 : 차등증폭기
9 : 바이어스 회로R1~R9: 저항
C1,C2: 콘덴서SW1: 전환스위치
Q1~Q3: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VCR에서의 자막신호(온스크린 표시문자 : OSD)안정화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정도 높은 차등증폭기를 사용하여 재생신호에 다소 노이즈가 있더라도 동기신호 분리도를 높여주므로서 보다 안전된 문자신호를 연산신호에 적재할수 있고, 재생시의 문자가 흔들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녹음모드(REC)의 영상입력(Vin)과 재생모드(PB)의 재생 영상신호를 전환스위치(SW5)에 의해 선택하고, 선택된 연상신호는 증폭기(10)에 의해 증폭한후 증폭된 연상신호와 문자발생기(13)에서 생성된 문자신호를 혼합하는 문자혼합기(11)에 의해 영상신호에 문자신호를 적재시켜 출력시키며, 입력 휘도신호는 동기분리기(12)에서 동기 분리하여 이를 문자발생기(13)에 입력시키면 이에 입력되는 제어신호 즉, 영상 칩선택 신호(CS), 클록(CLK)및 데이타(DATA)에 동기시켜 소정의 문자신호가 문자혼합기(11)에 인가된 연상신호에 적재되도록 한 것이었으나,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는 재생동작시의 재생 영상신호에 소량의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영상신호에 실린 문자가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리된 색동기신호(C-Sync)에서 폭이 작은 수평동기신호 성분을 제거하고 폭이 큰 수직동기신호 성분만 통과시키는 2단 필터링 수단과 두개의 트랜지스터로 하는 차등증폭 수단으로 된 안정화 회로를 게재하여 재생 영상신호에 노이즈가 다소 포함되어 있더라도 동기신호 분리도를 높혀주게 하므로서 온스크린 표시 문자가 흔들리지 않게함과 동시에 보다 안정된 문자신호를 영상신호에 적재할수 있도록 한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는 동기분리기(4)에 입력되는 휘도신호(Y)는 색신호(C)와 함께 Y/C혼합기(1)에 인가되고 Y/C혼합기(1)의 재생 영상출력과 녹음모등의 영상신호입력(Vin)을 선택하는 전환스위치(SW1)와 이로부터 선택된 영상신호 출력이 영상증폭기(2)를 통해 문자혼합기(3)에 인가되면 이의 영상신호에 상기 동기분리기(4)에서 분리된 색동기신호(C-Syne)에 의해 문자발생기(6)에서 생성된 문자신호를 적재시켜 출력(VOUT)시키도록 한 VCR의 온스크린 표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동기분리기(4)에서 분리된 색동기신호(C-Syne)를 완충시켜 문자발생기(6)에 출력시키는 버퍼(5)와 서어보게에도 인가되는 색동기신호(C-Syne)를 스위칭 시키는 트랜지스터(Q1)와 트랜지스터(Q1)를 통한 색동기신호(C-Syne)에서 폭이 작은 수평동기 신호성분을 제한시키고 폭이 큰 수작동기 성분을 통과시키도록 2중으로 필터링시키는 2단저역통과필터(7)와 트랜지스터(Q2,Q3)와 저항(R4~R6)으로 구성되어 상기 2단저역통과필터(7)의 적분출력과 바이어스 전압간에 각 출력단의 전압 크기차에 따라 반전 출력신호를 문자발생기(6)또는 역방향으로 궤한되도록 출력시키는 차등증푹기(8)와 상기 차등증푹기(8)내 트랜지스터(Q2)의 동작 레벨을 결정시키도록 저항(R7, R8)으로된 바이어스회로(9)를 구비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R1~R3, R9는 저항이며, C1, C2는 콘덴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영상신호입력(Vin)는 녹음시에 전환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되며 Y/C혼합기(1)에 입력되는 색신호(C)와 휘도신호(Y)는 Y/C혼합기(1)에 의해 혼합되어 상기 전환스위치(SW1)에 의해 재생시 선택된다.
이와같이 전환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된 영상신호는 영상증폭기(2)에서 증폭된후 문자혼합부(3)에 보내면 문자혼합부(3)는 문자발생기(6)에서 생성된 문자신호를 받아 영상신호에 문자신호를 적재시켜 출력(VOUT)시킨다.
이때 동기분리기(4)에도 인가되는 휘도신호(Y)는 동기분리기(4)에서 색동기신호(C-Syne)로 분리하여 출력시킨다.
이와같이 분리된 색동기신호(C-Syne)는 서어보게에도 출력됨과 동시에 버퍼(5)를 통해 문자발생기(6)에도 전달되며 또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도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된 색동기신호(C-Syne)는 저항(R2,R3)과 콘덴서(C1,C2)로 2단 구성된 저역통과필터(7)에 의해 폭이 작은 수평동기 신호 성분을 제한시킴과 동시에 폭이 큰 수직동기 성분을 통과시켜 차등증푹기(8)의 트랜지스터(Q2)를 온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동작과 동시에 그의 콜렉터를서는 통해 반전 출력신호가 문자발생기(6)에 인가되며, 차등증푹기(8)로 구성된 트랜지스터(Q3)는 저항(R7,R8)으로 구성된 바이어스회로(9)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동작레벨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2)의 반전 출력신호는 그의 콜렉터측에 연결된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궤환되어 만약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축이 '하이'상태일때에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류가 인가되어 이를 턴온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축이 '로우'상태일 경우에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역방향의 바이어스 전류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를 정동작 상태로 행하게 한다.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 만약 재생신호에 노이즈가 있을때에는 노이즈 신호가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달되어 트랜지스터(Q2)의 동작이 불안하게 행할수가 있는데 이를 트랜지스터(Q3)와 바이어스회로(9)의 저항(R7,R8)에 의해 그 불안한 동작을 보상시키도록 하므로서 트랜지스터(Q2)의 출력신호는 안정된 상태로 문자발생기(6)에 인가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문자발생기(6)는 차등증푹기(8)의 출력신호와 버퍼(5)를 통한 색동기신호(C-Syne)를 입력받고 도시 생략된 시스템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칩선택신호(CS)와 클록(CLK)및 데이타(DATA)를 입력받아 소정의 문자 신호를 생성하여 문자혼합부(3)에 전송시킴과 동시에 이전에 입력되어 있는 영상신호에 문자신호를 적재시켜 영상신호와 함께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VCR의 재생신호에 노이즈가 있을경우 동기신호가 심하게 흔들리게 되었던 기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가 있을뿐만 아니라 보다 안정된 문자신호를 영상신호에 적재토록 하므로서 제품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수가 있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동기분리기(4)에 입력되는 휘도신호(Y)는 색신호(C)와 함께 Y/C혼합기(1)에 인가되고 Y/C혼합기(1)의 재생 영상출력과 녹음모드의 영상신호입력(Vin)을 선택하는 전환스위치(SW1)와, 선택된 영상신호 출력이 영상증폭기(2)를 통해 문자혼합부(3)에 인가되면 문자발생기(6)에서 생성된 문자신호를 적재시키도록 한 VCR의 온스크린 표시회로에 있어서, 상기 동기분리기(4)의 출력 색동기신호(C-Syne)를 완충시켜 문자발생기(6)에 출력시키는 버퍼(5)와 서어보게에도 인가되는 색동기신호(C-Syne)를 스위칭 시키는 트랜지스터(Q1)와, 이의 출력에서 폭이 작은 수평동기 신호성분을 제한시키고 폭이 큰 수작동기 성분을 통과시키는 2단저역통과필터(7)와, 트랜지스터(Q2,Q3)와 저항(R4~R6)으로 구성되어 필터링 시킨 적분출력과 바이어스 전압의 전압 대소차에 따라 반전 출력신호를 문자발생기(6)또는 역방향의 바이어스 전류가 인가되어 정동작 상태로 행하는 차등증폭기(8)와, 공급전원(Vcc)을 분배하는 저항(R7,R8)으로 구성되어 상기 차등증폭기(8)내 트랜지스터(Q2)의 동작 레벨을 결정시키는 바이어스회로(9)를 구비하여서 된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KR2019910006984U 1991-05-16 1991-05-16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KR970006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984U KR970006271Y1 (ko) 1991-05-16 1991-05-16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6984U KR970006271Y1 (ko) 1991-05-16 1991-05-16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080U KR920022080U (ko) 1992-12-19
KR970006271Y1 true KR970006271Y1 (ko) 1997-06-24

Family

ID=19313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6984U KR970006271Y1 (ko) 1991-05-16 1991-05-16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2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2080U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114B1 (ko) 외부 입출력 접속 적응형 비디오라인 접속장치
KR950000326B1 (ko) 윤곽보정장치
JP2001008115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970006271Y1 (ko) Vcr에서의 자막신호 안정화 회로
US4430674A (en) Color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KR920001012B1 (ko) 비데오신호 처리회로
KR930008026Y1 (ko) 온스크린표시 배경 영상신호 처리회로
KR200172697Y1 (ko) 영상촬영기기의 비디오신호 뮤트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장치
KR940006558Y1 (ko) Osd안정회로
US7184097B2 (en) On-screen display apparatus
KR0128091Y1 (ko) 브이티알의 다기능시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동기 안정화 회로
KR870003380Y1 (ko) 비디오 기기의 비디오 신호 뮤팅 회로
KR940004955Y1 (ko) 무신호 상태에서의 글자 떨림 방지회로
JP3822920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H0837619A (ja) ビデオ信号ミキシング装置
KR970004660B1 (ko) 영상신호 절환회로
JPS63296471A (ja) 同期信号発生回路
KR900009922Y1 (ko) 문자표시 제어회로
KR800001740Y1 (ko) 자동이득 제어장치(自動利得制御裝置)
KR940000967Y1 (ko) 멀티 영상 처리 시스템의 색신호 절환회로
KR950005550Y1 (ko) Vcr에서의 자막 삽입 전환장치
KR930008447Y1 (ko) 자화면의 색부 반송파신호 동기회로
KR960013555B1 (ko) 모드 절환시 색도신호의 주파수 특성 보상회로
KR0124385B1 (ko)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 위치보상장치
KR950001185Y1 (ko) 자·모화면의 녹화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