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542Y1 - 영탑 유골함 - Google Patents

영탑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542Y1
KR200172542Y1 KR2019990019711U KR19990019711U KR200172542Y1 KR 200172542 Y1 KR200172542 Y1 KR 200172542Y1 KR 2019990019711 U KR2019990019711 U KR 2019990019711U KR 19990019711 U KR19990019711 U KR 19990019711U KR 200172542 Y1 KR200172542 Y1 KR 2001725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opening
ashes
relative
pagod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7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선
Original Assignee
조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선 filed Critical 조병선
Priority to KR20199900197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5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5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5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찰 등지에 세워지는 영탑(靈塔)의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석재의 복발(覆鉢;10), 노반(露盤;12), 옥개석(14), 옥신석(16)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50)와, 상대갑석(22)과 상대중석(24) 및 지대석(26)으로 구성되는 받침부(60)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60)를 구성하는 상대중석(24)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유골함(40)이 구비되고, 상기 유골함(40)의 전면부에는 유골함(40)의 내부로 유골 및 유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문(32)이 형성된 개구부(28)가 구비되며, 상기 유골함(40)은 좌·우측의 상대중석(24) 내면에 각각 형성된 격벽지지홈(35)에 설치되어 내부 공간부를 상·하로 분리시키는 격벽(34)이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28)의 외측 중앙에는 개구부(28)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빗장(30)이 설치되며, 상기 빗장(30)은 저면에 형성된 돌기(31)가 지대석(26) 상면에 형성된 빗장걸림홈(38)에 끼워져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영탑 유골함{A sarira stupa}
본 고안은 사찰 등지에 세워지는 영탑(靈塔)의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영탑 하부의 상대중석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망자(亡者)의 유골이나 유품을 안치할 수 있는 유골함이 설치되고, 여러 선대에 걸쳐서 다수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도록 유골함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하층으로 분리되며, 유골함의 전면부에는 개폐문이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되어진 영탑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우리의 장례제도는 매장풍습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매장풍습에 따른 묘지의 증가로 전국토의 많은 부분이 묘지화될 우려가 높아져서 국토의 효율적 이용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국토이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화장제도와 납골제도가 적극 권유되고 있으나 많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납골제도는 최근에 들어 국민들의 인식이 점차 확산되면서 여러 종류의 납골제도가 도입되고 있으나, 이러한 납골제도도 대부분 많은 토지를 필요하게 되고, 고가(高價)의 경제적인 부담때문에 실효를 거두기는 어려운 실정이며, 특히 종교를 가진 사람들에게 적합한 별도의 장례문화가 형성되어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 사찰에는 승려 또는 신자들의 사리를 보관하기 위해 예전부터 많은 영탑이 세워졌으며, 일단 세워진 영탑은 유골이나 사리가 보관된 부위를 개방할 수 없도록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에 다음에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오래된 사찰일수록 많은 영탑이 세워지는 것이 당연시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영탑의 건립은 사찰 공간의 부족으로 산림의 훼손될 뿐만 아니라 매번 막대한 경제적 부담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영탑이 갖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사찰 뿐만 아니라 다른 장소에서도 여러 조상들의 유골을 한 곳에 다수 안치할 수 있도록 하여 국토이용의 효율화를 꾀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영탑 유골함을 한번 건립한 후에는 여러 선대에 걸친 유골이나 다수의 사리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하여 영탑 건립에 따른 후손 및 불자의 경제적부담의 절감과 보존 및 유지관리에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유골함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서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유골함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의 개폐문이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골함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복발(覆鉢) 12 : 노반(露盤)
14 : 옥개석 16 : 옥신석
18 : 옥개석받침 22 : 상대갑석
24 : 상대중석 26 : 지대석
28 : 개구부 30 : 빗장
34 : 격벽 36 : 받침홈
38 : 빗장걸림홈 40 : 유골함
50 : 장식부 60 : 받침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은 석재(石材)의 복발(覆鉢), 노반(露盤), 옥개석, 옥신석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와, 상대갑석, 상대중석, 지대석으로 이루어지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의 상대중석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유골함이 설치되고, 상기 유골함의 전면부에는 유골함의 내부로 유골 및 유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문이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유골함의 내부에는 좌·우측 상대중석에 형성된 격벽지지홈에 의해 내부 공간부가 상·하층로 분리되어 2층 구조를 갖도록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의 개폐문 전면 중앙 외측에는 개폐문을 단속할 수 있는 빗장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빗장은 저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지대석 상면의 빗장걸림홈에 끼워져 수직으로 설치되는 특징적 구조를 갖는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의 외관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선 에 따른 유골함(40)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도 2에서 개구부(28)의 개폐문(32)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은 영탑의 상대갑석(22)을 중심으로 상단부에 구비되는 장식부(50)와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부(60)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식부(50)는 최상단에 위치하는 원형모양의 복발(10)과, 이 복발(10)을 받치고 있는 노반(12), 종교에 따라 마리아상이나 예수십자상, 불상 또는 기타 문양이 각인되어져 있는 옥신석(16), 계단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옥개석(14) 및 옥개석받침(18)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통상의 영탑 구조와 유사하다.
한편, 상기 상대갑석(22) 하단부에 구비되는 받침부(6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대중석(24)에 의해 사각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유골함(40)과, 상기 유골함(40)의 바닥면의 기능과 동시에 영탑을 지지하도록 지면상에 세워지는 지대석(2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대중석(24)에 의해 형성되는 유골함(40)은 정면에 개폐문(32)이 형성된 개구부(28)가 구비된다. 이 개구부(28)의 개폐문(32)은정면의 상대중석(24)보다 안쪽에 위치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4에는 상기 개구부(28)의 개폐문(32)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골함(4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양쪽 개폐문(32)의 서로 대향되는 내면에는 개폐문(32)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홈(29)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개구부(28)가 닫힌 상태에서 개구부(28)의 단속을 위해 개폐문(32)의 전면 중앙에는 양쪽 개폐문(32)이 걸쳐지도록 빗장(30)이 설치된다. 상기 빗장(30)은 지대석(26)의 상면에 형성된 빗장걸림홈(38)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저면에 돌기(31; 도 5에 도시됨)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골함(40) 내부는 여러 선대에 걸쳐서 유골이나 유품을 안치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다수의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여 공양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34)에 의해 상·하층으로 분리되는 2층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의 납골용기(42)가 안치될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격벽(34)은 좌·우측의 상대중석(24)내면 중앙에서 일정깊이 패여진 격벽지지홈(35)에 삽입 설치된 후 양측의 상대중석(24)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다.
상기 격벽지지홈(3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골함(40) 내부에서 격벽(34)의 의해 공간부가 상·하증으로 분리되도록 좌·우측의 상대중석(24) 내면 중앙에 형성되어지되, 격벽(34)이 설치된 후에 유골이나 유품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대중석(24)의 후방부 끝단에서 전방부 일정부위까지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골함(40)의 개폐는 일단 설치된 영탑 유골함의 내부에 유골이나 유품을 안치한 후에 개폐문(32)을 닫고, 닫힌 개폐문(32)의 전면 중앙에 빗장(30)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상기 빗장(30)은 저면에 형성된 돌기(31)를 지대석(26)상면에 형성된 빗장걸림홈(38)에 끼운 후에 수직으로 세워서 개구부(28) 상면에 위치하는 개폐문지지석(35) 저면에 긴밀히 밀착되도록 하여 세우면 설치가 완료되며, 나중에 또 다른 유골이나 유품을 안치할 필요가 있을 때는 상기 빗장(30)을 탈거하고 양측 개폐문(32)의 손잡이홈(29)에 손가락을 끼워 개폐문(32)을 전방으로 당겨 개방시킨 후에 사용하면 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은 석재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 아름다운 모양의 장식이 조각되어 설치되는 장식부(50)가 구비되며, 받침부(60)의 상대중석 (24)에 의해 밀폐 형성되는 유골함(40)이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적 미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혐오스럽지 않아 사찰 뿐만 아니라 개인의 사택 등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한번 설치된 후에도 또 다른 선대 및 부처의 유골이나 유품을 계속해서 안치할 필요가 있을 때는 유골함(40)의 정면에 구비된 개폐문(32)의 개폐에 의해 간단하게 유골이나 유품 및 사리를 안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유골함(40)의 내부가 격벽(34)에 의해 상·하층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윗쪽부터 차례대로 선대의 순서에 따라 안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은 모든 재질이 석재로 이루어져 있어 영구보존이 가능하고, 상·하 또는 접속부의 연결은 영탑을 이루고 있는 각 구성품의 자중에 의한 상호 가압 및 밀착되도록 하여 세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영탑 유골함은 석재로 구성되어 영구보존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골함의 내부가 격벽에 의해 상·하층으로 분리되어 선대의 유골이나 부처의 사리 등을 순서대로 안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나의 영탑 유골함에 다수의 유골 및 사리를 안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유골함의 정면에는 유골함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문이 구비되어 한번 건립되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후손 및 불자들이 대대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영탑의 건립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절감할 수 있으며, 묘지의 무분별한 증가에 따른 국토이용의 비효율성을 타개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 고안이다.

Claims (3)

  1. 석재의 복발(覆鉢), 노반(露盤), 옥개석, 옥신석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부와, 상대갑석, 상대중석 및 지대석으로 구성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를 구성하는 상대중석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유골을 안치할 수 있는 유골함이 구비되고, 상기 유골함의 전면에는 유골함의 내부로 유골 및 유품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문이 형성된 개구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탑 유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골함의 내부에는 좌·우측의 상대중석 내면에 각각 형성된 격벽지지홈에 설치되어 상·하층으로 분리시키는 격벽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탑 유골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외측 중앙에는 개구부의 개폐를 단속할 수 있는 빗장이 설치되고, 상기 빗장은 저면에 형성된 돌기가 지대석 상면에 형성된 빗장걸림홈에 끼워져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탑 유골함.
KR2019990019711U 1999-09-14 1999-09-14 영탑 유골함 KR2001725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711U KR200172542Y1 (ko) 1999-09-14 1999-09-14 영탑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711U KR200172542Y1 (ko) 1999-09-14 1999-09-14 영탑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542Y1 true KR200172542Y1 (ko) 2000-03-15

Family

ID=1958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711U KR200172542Y1 (ko) 1999-09-14 1999-09-14 영탑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5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07Y1 (ko) 2013-04-12 2014-04-09 권장일 부처상 납골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207Y1 (ko) 2013-04-12 2014-04-09 권장일 부처상 납골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se et al. The architectural context of caches, burials, and other ritual activities for the Classic period Maya (as reflected at Caracol, Belize)
Arnheim The dynamics of architectural form: based on the 1975 Mary Duke Biddle lectures at the Cooper Union
CA2309010A1 (en) Vessel for cremated remains
Meskell Archaeologies of life and death
McDowell et al. The Revival Styles in American Memorial Art
KR200172542Y1 (ko) 영탑 유골함
US5765269A (en) Columbarium
Stockton Stones at worship
KR200442104Y1 (ko) 납골안치단
Garvan The Protestant plain style before 1630
Owen Neither cave nor temple: Creating and commemorating ‘place’in the ritual landscapes at Badami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Taylor The architectural interest of Æthelwulf's De Abbatibus
Kingsley Visigothic architecture in Spain and Portugal: A study in masonry, documents, and form
KR200248026Y1 (ko) 유골 및 영정 보관함
KR200196738Y1 (ko) 유골 및 영정 보관함
Spears Early Churches of Mexico: An Architect's View
Gurevich Magdala’s Stone of Contention
JP3067565U (ja) 石積墓標
KR100293286B1 (ko) 납골묘
KR200347823Y1 (ko) 수납 통을 갖는 금속재 비석.
KR200277150Y1 (ko) 꽃상여 지관
KR200257735Y1 (ko) 부도탑묘
JPH0318589Y2 (ko)
Longenecker Early Christians and Their Theological Symbols in Ostia An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