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422Y1 - 보조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422Y1
KR200172422Y1 KR2019990020972U KR19990020972U KR200172422Y1 KR 200172422 Y1 KR200172422 Y1 KR 200172422Y1 KR 2019990020972 U KR2019990020972 U KR 2019990020972U KR 19990020972 U KR19990020972 U KR 19990020972U KR 200172422 Y1 KR200172422 Y1 KR 200172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lug
outlet
power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성
Original Assignee
김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성 filed Critical 김창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파 제거회로와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스위치 및 과전류 차단기능과 충격전압 제거기능을 구비한 보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는; 상용 교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벽면 등에 매립된 콘센트와 전기 및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기기측 전원코드의 플러그 각각에 대응하여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플러그(102)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콘센트(103)를 하나의 몸체로서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101)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102) 및 콘센트(103)를 구비한 케이스 본체(101)에는; 상기 플러그(102)와 콘센트(103)로 이어지는 전원공급 선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주전원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선로상에서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선로상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이상 과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선로를 통해서 기기 측으로 흐르는 이상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콘센트 장치이다.

Description

보조 콘센트 장치{RECEPTACLE HAVING EMI REDUCTION CIRCUIT AND POWER SWITCH AND SURGE PROTECTOR AND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보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파 제거회로와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스위치 및 과전류 차단기능과 충격전압 제거기능을 구비한 보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VCR, 퍼스널 컴퓨터, 가전기기 등의 전기 및 전자기기들은 전원 공급에 따른 동작이 이루어질 때,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TV나 컴퓨터, 가전기기 등의 전기 및 전자기기들은 그 기기 내부에 전자파 방출을 차단 내지는 억제하기 위한 회로적, 기구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전기 및 전자기기 자체에 전자파 차단 내지는 억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용 전력 공급선로(콘센트)로부터 전기 및 전자기기 까지는 전원 코드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 전원코드를 통해서 방사되는 전자파에 대해서는 뚜렷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한편, 상용 전력 공급선로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데 따른 낙뢰나, 정전기 등의 이상 과전압 유입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회로가 전기 및 전자기기에 내장된 경우도 있고, 전기 및 전자기기의 이상 동작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흐르는데 따른 화재 발생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과전류 보호회로 등도 전기 및 전자기기에 내장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는 전기 및 전자기기의 대기전력(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콘센트에 전원코드 플러그가 꼽혀 있어서 소정량의 전력을 항시 소모하는 현상)이 에너지 낭비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형편이며, 이러한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방안으로 일정한 시간 이상 기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절전모드로 자동이행하여 소비전력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절전기능을 전기 및 전자기기가 내장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모든 전기 및 전자기기들이 위와같은 전자파 제거 내지는 억제수단이나, 혹은 과전압(이상 충격전압)의 유입이나 과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 절전수단을 구비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더구나, 위와같은 기능들은 거의 최근에 출시되는 제품 위주로 부분적으로 채택되고 있을 뿐이므로, 이러한 기능들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전무하다시피 하였던 기존의 전기 및 전자기기를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가정 등지에서는 전원 코드선을 통한 전자파 방출이나, 혹은 전원선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낙뢰, 정전기 등의 충격전압 유입이나, 전기 및 전자기기의 이상 작동에 따른 과전류와 그로 인한 화재 발생, 평상시 대기전력의 과도한 소비 등의 불합리함과 위험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지 못하였고, 또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벽면 등에 매립된 콘센트에 꼽아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와, 이 플러그를 통해서 제공되는 상용교류전력을 전기 및 전자기기에 공급(전기 및 전자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는 콘센트를 하나의 몸체로서 가지는 보조 콘센트 장치로서; 상기 보조 콘센트 장치는 전자파 제거를 위한 수단과, 대기전력 감소를 위한 전원 스위치 수단과, 과전류를 차단하는 수단과, 충격전압을 제거하는 수단을 내장함으로써, 전기 및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전원 코드를 통해서 방출될 수 있는 전자파를 제거하고, 주전원 스위치를 이용해서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낙뢰나 정전기 등의 충격전압으로부 기기를 보호하고 또 기기의 이상 과전류를 차단하여 이로 인한 화재발생이나 기기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조 콘센트 장치를 제공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의 내부 회로 구성의 실시예 회로도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는, 상용 교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콘센트와 전기 및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기기측 전원코드 플러그 각각에 대응하여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플러그 및 보조 콘센트를 하나의 몸체로서 구비하는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보조 플러그 및 보조 콘센트를 구비한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는;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과, 이상 과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과, 이상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내장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콘센트에 접속된 기기측 전원코드 플러그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기 위한 주전원 스위치를 케이스 본체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콘센트 장치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케이스 본체가; 220V 전원을 기기에 공급하기 위하여 1개의 220V 보조 플러그와 1개의 220V 보조 콘센트를 가지는 경우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서 보조 플러그와 보조 콘센트는 110V용으로 실시하여도 무방하고, 보조 콘센트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를 병렬로 배열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1에서, 케이스 본체(101)는 대략 사각형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배면 상측으로는 220V플러그(102)가 구비되어 벽면 등에 매립된 상용 교류전원의 콘센트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케이스 본체(101)의 정면 상측으로는 220V 콘센트가 구비되어 여기에 전기 및 전자기기의 전원코드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케이스 본체(101)의 정면 하측으로는 주전원 스위치(104)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 주전원 스위치(104)를 온시키면, 벽면 등에 매립된 상용 교류전원 콘센트로부터 상기 플러그(102)와 콘센트(103)를 거쳐서 이 콘센트(103)에 접속된 기기의 전원코드 플러그를 통해 기기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주전원 스위치(104)를 오프시키면 상기 기기로의 전원공급이 완전히 차단되어 전기 및 전자기기의 대기전력 소모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상기 주전원 스위치(104)는 램프 창을 겸용하는 구조로서 주전원 스위치(104)의 온 또는 오프 상태를 램프 창을 통해서 출력되는 램프의 빛으로부터 육안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다수의 전기 및 전자기기를 본 발명의 보조 콘센트 장치를 경유하여 전원공급을 이루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콘센트(103)를 적어도 2개 이상 병렬로 배열한 구조로 설계하여 실시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또한, 110V 전원 공급 시스템인 경우에는 상기 220V용 플러그(102) 및 220V용 콘센트(103)가 110V용 플러그 및 110V용 콘센트로 대치된다면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1에서 나타낸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의 케이스 본체(101)의 내부에는 적어도;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전자파 제거회로와, 이상 과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과전압 차단소자(Surge Protector)와, 이상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과전류 차단회로(Circuit Breaker)를 내장함을 특징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는 주전원 스위치(104)를 온 또는 오프시킴으로써, 여기에 접속된 모든 전기 및 전자기기들의 전원을 일시에 통제하여 대기전력 절감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에 따라 전원 코드선 등을 통해서 방출될 수 있는 전자파는 내장된 전자파 제거회로에 의해서 차단 내지 억제되므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 방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낙뢰나 정전기 등으로 인하여 상용 전력선을 타고 기기로 유입될 수 있는 충격전압은 과전압 차단회로에 의해서 차단되므로 기기를 낙뢰나 정전기와 같은 이상 충격전압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과전압 차단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전기 및 전자기기의 경우에 대해서도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 자체에서 과전압 차단기능을 수행해 주기 때문에, 기기의 보호 및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기 동작중에 이상동작 등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선로 상에서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내장된 과전류 차단회로에 의해서 과전류가 자동적으로 차단되므로, 과전류로 인한 기기 손상의 방지는 물론, 화재 예방도 가능하게 되고, 특히 이러한 과전류 차단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는 전기 및 전자기기의 경우에 대해서도 본 고안의 보조 콘센트 장치 자체에서 과전류 차단기능을 수행해 주기 때문에, 기기의 보호 및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도2는 상기 보조 콘센트 장치에 내장되는 전자파 제거회로와 과전압 차단 및 과전류 차단회로의 구성을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 도시하고 또 설명되는 회로는 실시예로서, 보다 다양하고 또 효과적인 알려진 회로들이나, 혹은 탁월한 성능의 소자로 대치하여도 무방하다.
도2에서 살펴보면, 단자(201a,201b)는 입력단자로서 상기 도1의 플러그(102)에 연결되는 것으로 대응한다.
단자(202a,202b)는 출력단자로서 상기 도1의 콘센트(103)에 연결되는 것으로 대응한다.
과전류 차단기(203)는 주전원 스위치 램프(203a)와 부하저항(203b) 및 주전원 스위치(203c)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는 주전원 스위치부가 과전류 차단기(Circuit Breaker)를 겸용하는 것으로 실시한 것이다.
주전원 스위치(203c)를 온시키면 입력단자(201a,201b)로 인가되는 상용교류전원(이 예에서는 220V)에 의해서 스위치 램프(203a)가 점등되고 이때 스위치 램프(203a)의 전류는 부하저항(203b)에 의해서 제한되어 램프를 보호하게 된다.
주전원 스위치(203c)를 오프시키면 스위치 램프(203a)는 소등된다.
그리고, 주전원 스위치(203c)를 온 또는 오프시킴에 따라서 입력단자(201a, 201b)로부터 출력단자(202a,202b)로의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므로 이 출력단자(202a,202b)에 대응하는 콘센트(103)에 꼽힌 전기 및 전자기기의 플러그-전원코드를 통해서 전원을 공급받는 기기들의 주전원 및 대기전력 소모가 통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선로상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주전원 스위치 겸용 과전류 차단기(203)가 동작하여 스위치 오프 상태로 과전류를 차단해 준다.
한편, 과전압 차단소자(204/TNR)는 입력단자(201a,201b)/전원공급선로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단자(201a,201b)에 대응하는 상용 전력 공급선로 즉, 벽면 등에 매립된 콘센트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낙뢰 등과 같은 이상 과전압/충격전압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상 과전압이 유입되면 과전압 차단소자(TNR)(204)가 단락되어 이상 과전압을 차단하고, 이상 과전압이 기기쪽(출력단자(202a,202b)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해줌으로써, 여기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 및 전자기기들을 낙뢰와 같은 외부 충격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자파 제거회로는 입력단자(201a,201b)로부터 출력단자(202a,202b)로 이어지는 전원 공급선로상에서 직렬로 접속되는 인덕터(205)와 병렬접속되는 캐패시터(206)(207,208)로 이루어진다.
인덕터(205)는 상용전력 공급선로를 통해서 유입되거나 혹은 방출되는 노이즈(Noise)(고주파 및/또는 고조파 성분)를 흡수 및 억제하며, 페라이트 코어를 가지고 있다.
캐패시터(206)는 상용전력 공급선로 사이에서 흐르는 노이즈를 바이패스(By-Pass)시켜 억제하며, 캐패시터(207,208)는 그 중간을 접지(GROUND)처리함으로써, 상용전력 공급선로와 접지 사이에 흐르는 노이즈 성분을 접지측으로 신속하게 바이패스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2에서는 과전압 차단을 위해서 TNR(204)을 사용하였으나, 보다 좋은 효과를 가지는 소자 또는 회로로 대치하여도 무방하며, 전자파 제거회로(205∼208) 또한 보다 좋은 효과를 가지는 회로로 대치하여도 무방하고, 또 여기서 각 회로소자(205∼208) 들의 시정수는 전자파 차단 효과를 감안하여 적절한 값으로 설계하면 된다.
본 고안은 전기 및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전원 코드를 통해서 방출될 수 있는 전자파를 제거하고, 주전원 스위치를 이용해서 대기전력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낙뢰나 정전기 등의 충격전압으로부 기기를 보호하고 또 기기의 이상 과전류를 차단하여 이로 인한 화재발생이나 기기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조 콘센트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

  1. 상용 교류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벽면 등에 매립된 콘센트와 전기 및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기기측 전원코드의 플러그 각각에 대응하여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 플러그(102) 및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보조 콘센트(103)를 하나의 몸체로서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101)를 가지며, 상기 플러그(102) 및 콘센트(103)를 구비한 케이스 본체(101)에는; 상기 플러그(102)와 콘센트(103)로 이어지는 전원공급 선로를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주전원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선로상에서 전자파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선로상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이상 과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선로를 통해서 기기 측으로 흐르는 이상 과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콘센트 장치.
KR2019990020972U 1999-09-30 1999-09-30 보조 콘센트 장치 KR2001724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956A KR20010029240A (ko) 1999-09-30 1999-09-30 보조 콘센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956A Division KR20010029240A (ko) 1999-09-30 1999-09-30 보조 콘센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422Y1 true KR200172422Y1 (ko) 2000-03-15

Family

ID=196133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956A KR20010029240A (ko) 1999-09-30 1999-09-30 보조 콘센트 장치
KR2019990020972U KR200172422Y1 (ko) 1999-09-30 1999-09-30 보조 콘센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956A KR20010029240A (ko) 1999-09-30 1999-09-30 보조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292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796B1 (ko) * 2000-06-07 2002-05-23 김동길 전자파감쇄기능을 갖춘 보조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182B1 (ko) * 1987-07-24 1990-05-09 최광호 과부하 자동차단용 콘센트
JPH06124750A (ja) * 1992-10-12 1994-05-06 Meguro Denki Seizo Kk 電子機器保護用電源接続プラグ
KR940019741U (ko) * 1993-01-28 1994-08-22 구연오 개량형 콘센트
JPH10144423A (ja) * 1996-11-08 1998-05-29 Taihoo Prod:Kk 定格電流確認機能付き、電源コンセント及びテーブル ・タップ等の配線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796B1 (ko) * 2000-06-07 2002-05-23 김동길 전자파감쇄기능을 갖춘 보조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240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4622A (en) Transient voltage surge suppressor
US9054514B2 (en) Reduced let through voltage transient protection or suppression circuit
KR101482191B1 (ko) Spd 및 절전형 영상고조파필터를 일체로 내장한 배전반 및 분전반
US6778375B1 (en) Hybrid MOV/gas-tube AC surge protector for building entrance
JP2006502687A (ja) 電圧サージ保護装置
JP2012210048A (ja) 耐サージ電源装置
CN104682338B (zh) 一种保护电路及照明设备
KR20150059076A (ko) 노이즈 필터를 겸하는 서지보호장치
JP3392915B2 (ja) 電子機器用電源装置
KR200172422Y1 (ko) 보조 콘센트 장치
CA2360182A1 (en) Conversion of standard class a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s, (gfci), to a class a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open neutral protection
KR100907943B1 (ko) 감시카메라용 통합형 서지 방지장치
KR20150052446A (ko) 전원장치용 보호회로
WO2020234865A1 (en) Surge protective device
KR200237086Y1 (ko) 전력차단용 이동콘센트장치
KR100239674B1 (ko) 교류전원을 사용하는 유도성부하를 갖는 제품의 전원안정화 회로
CN219875402U (zh) 一种防电机漏电的接地装置及用电设备
CN208923819U (zh) 一种开关电源的保护组件和开关电源
JP2521224B2 (ja) 電源用の電子機器保護装置
KR0125010Y1 (ko) 서지성 임펄스로부터의 보호회로
CN218771304U (zh) 一种大功率电源适配器中的防雷浪涌电路
KR200486438Y1 (ko) 착탈식 서지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안전 보호장치
CN211959079U (zh) 带有浪涌防护组的升压电路、开关电源及防护系统
CN215266705U (zh) 一种保护装置、新型保护电路及电子设备
JP2000261957A (ja) サージ吸収装置とこれを用いた屋内配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