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241Y1 -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241Y1
KR200172241Y1 KR2019990021503U KR19990021503U KR200172241Y1 KR 200172241 Y1 KR200172241 Y1 KR 200172241Y1 KR 2019990021503 U KR2019990021503 U KR 2019990021503U KR 19990021503 U KR19990021503 U KR 19990021503U KR 200172241 Y1 KR200172241 Y1 KR 200172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valve
coc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1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은기
조상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종이솔리
심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종이솔리, 심은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종이솔리
Priority to KR2019990021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2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2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05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comprising a single opening for filling and dispensing provided with a stopp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1/00Thermally-insulated vessels, e.g. flasks, jugs, jars
    • A47J41/0083Accessories
    • A47J41/0088Inserts; Devices attached to the st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온저장실의 입구부를 막는 밸브의 유출로개폐를 개폐레버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개로 및 폐로상태가 안정되도록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며, 그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함에 따라 제작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온병 본체의 보온저장실 입구부를 막는 밸브내에 설치된 콕크케이지의 중앙에 유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콕크케이지에 설치된 콕크밸브를 조정하여 유출로가 개로 및 폐로되도록 한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콕크케이지내에서 승강운동하여 유출로를 개로 및 폐로시키는 콕크밸브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암과,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암을 록크방식으로 작동시키며 개로위치에서 캡의 폐쇄를 방지하는 개폐레버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레버에 의하여 유출로의 개로 및 폐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콕크케이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폐레버의 핸들부의 타단부에 클릭부를 형성하고, 이 양측방에 레버축을 구비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개폐레버에 의하여 연동되면서 콕크밸브를 승강제어하는 제어암의 양측에 암축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암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레버의 클릭이 록크될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Outlet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portable thermos}
본 고안은 휴대용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온저장실의 입구부를 막는 밸브의 유출로개폐를 개폐레버에 의하여 행하도록 하고, 개로 및 폐로상태가 안정되도록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며, 그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함에 따라 제작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온병은 온,냉음료를 보온,보냉저장하는 용기내에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보온병은 통상적으로 진공의 이중벽으로 된 보온저장실을 가지고 있고, 이 보온저장실의 입구부에는 유출로가 개폐제어되는 밸브와, 이 밸브를 덮는 캡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휴대용 보온병에 설치되는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보온저장실의 입구를 막는 밸브에 유출로를 개폐하는 콕크밸브가 설치되어 있고, 스프링 등의 탄력에 따라 밸브에 대하여 출몰하는 개로버튼 및 폐로버튼에 의해 연동링크를 통하여 콕크밸브를 상하로 이동시켜 유출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개로버튼 및 폐로버튼이 밸브 상면의 동일선상 위치에 있을 경우 및 폐로버튼이 돌출된 위치에 있을 경우, 밸브의 유출로가 개로 및 폐로되고 캡을 덮을 때에는 폐로버튼이 눌려져 자동적으로 유출로가 폐로되며, 보온병의 내용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에는 유출로의 개로와 폐로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링크를 제어하는 폐로버튼 및 폐로버튼을 탄설하는 탄력부재와를 각각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부품수도 제작공정도 많게 되어 생산성을 개선해야할 점이 적지않았다.
또, 이 개폐장치는 캡을 덮었을 때 밸브의 상면에 돌출되어 있는 폐로버튼이 캡에 의하여 눌려지고 유출로를 폐로하도록 하며, 보온병의 사용 및 휴대에 있어서의 편리성, 안전성을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덮어지는 캡은 보온병 입구부의 외주벽에 나합식으로 덮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유출로는 이 캡의 나합전 위치에서 폐로버튼에 눌려져 유출로가 폐로 됨에 따라 캡을 덮을 때에도 유출로가 폐로되고, 유출로를 개로시키기 위해서는 개로버튼을 다시 눌러야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폐로버튼은 캡의 결합과 동시에 유출로를 폐쇄하는 위치가 되기 때문에 캡의 결합시 폐로버튼의 압압상태가 따르지 않게 되고,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캡이 불완전하게 덮혀 유출로가 개로된 상태 그대로 될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보온병을 휴대하게 되면,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로상태 및 폐로상태의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구조를 간단히하여 생산성을 높히고, 조작이 간단하여 안전한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는 콕크케이지내에 승강운동하여 유출로가 개로 및 폐로되는 콕크밸브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암과, 이 제어암을 록크방식으로 제어하고, 캡의 폐쇄를 제지하는 개폐레버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개폐레버에 의하여 유출로의 개로 및 폐로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를 구비한 보온병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 제어암과 개폐레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를 닫힌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를 개방시킨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온병 본체
11 : 입구부
12 : 밸브
13 : 콕크 케이지
14 : 유출구
15 : 캡
16 : 제어암
17 : 개폐레버
131 : 콕크밸브
141 : 유출로
161 : 암축
162 : 홈부
172 : 핸들부
173 : 클릭부
도 1은 본 고안의 휴대용 보온병 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가 설치된 보온병의 사시도로서 보온병본체(10)는 진공의 이중용기로 되고, 냉,온음료수 등을 저장하는 보온저장실이 구비되며, 본체(10)의 상부측 입구부(11)를 닫는 밸브(12)와, 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캡(15)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는 밸브(12)의 유출로 개폐장치의 단면도로서 유출로 개폐장치는 보온병 본체(10)의 입구부(11)를 닫는 밸브(12)를 가지며, 이 밸브(12)에는 콕크케이지(13)와 유출구(14)가 형성되고 본체(10)에 덮혀 나합되는 가상선으로 나타낸 캡(15)이 구비되어 있다.
밸브(12)에는 본체(10)의 보온저장실과 유출구(14)가 연통하는 유출로(141)가 형성되고 이 유출로(141)는 탄력수단에 의해 탄력설치되어 승강운동하는 콕크밸브(131)에 의해 개로 및 폐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있어서는, 콕크밸브(131)의 롯드를 압압하여 콕크밸브(131)를 눌러내리는 제어암(16)이 콕크케이지(13)내에 암축(16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제어암(16)을 연동시키는 개폐레버(17)도 레버축(17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콕크케이지(13)에 지지되어 있다.
개폐레버(17)의 일단부인 핸들부(172)는 콕크케이지(13)의 상면에 노출하도록 설치하며, 개폐레버(17)의 타단부(내단부)인 클릭부(173)는 콕크케이지(13)내에서 제어암(16)에 계합되어 있다.
제어암(16)과 개폐레버(17)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부재에 있어서, 레버축(171)을 중심으로하여 회동시킬 수 있는 개폐레버(17)의 핸들부(172)의 타단부(내단부)에 클릭부(173)가 형성되고 개폐레버(17)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암(16)의 상면에 클릭을 수용하는 홈부(162)가 형성되어 있다.
제어암(16)과 개폐레버(17)와의 위치관계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은 관계이다.
즉, 개폐레버(17)의 일단부인 핸들부(172)를 들어올릴 때 개폐레버(17)의 클릭부(173)는 제어암(16)의 상면을 활주하면서 압압하여 제어암(16)을 도 4의 위치로 회동시키고, 이 위치에서는 클릭부(173)가 홈부(162)에 계합하여 콕크밸브(131)의 탄력수단 작용에 대항하여 도 4의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개폐레버(17)의 간단한 조작에 따라 콕크밸브(131)의 승강상태를 유지시키고 유출로(141)의 개로 및 폐로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개폐장치를 도 3 및 도 4에 따라서, 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은 밸브(12)의 유출로 개폐장치가 폐로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와 같이 개폐레버(17)를 밸브(12)의 상면에 평행한 위치(접하도록 내려진 위치:폐로위치)에 둔 상태에서는 콕크밸브(131)에 탄설된 탄력수단의 탄발력에 의해 콕크밸브(131)가 상승하고, 유출로(141)를 콕크밸브(131)가 폐쇄시켜 유출로(141)가 폐로상태로 되며, 본체(10)의 보온저장실에 저장된 음료수가 유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레버(17)에 의해 보온병 유출로의 폐로상태를 확실히 조작하여 개폐레버(17)가 도달한 위치에 있을 때에만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캡(15)을 덮을 수 있게 되므로서 보온병 유출로의 폐로작동에 안정성이 높게 되고, 사용조작도 간편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반대로, 본체(10)의 보온저장실의 음료수를 유출시키고져 할 때에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캡(15)을 빼낸 후, 밸브(12)에 접하는 도달위치의 개폐레버(17)를 들어 올려 개로위치까지 세우면, 유출로의 개로상태가 이루어진다.
이때, 개폐레버(17)는 레버축(17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암축(161)에 의해 축설된 제어암(16)이 하향으로 연차회동하면서 탄력수단에 의해 탄설된 콕크밸브(131)의 롯드를 눌러 콕크밸브(131)를 연차하강시켜 유출로(141)를 개로시키는 것이다.
이와같은 동작이 계속되고 개폐레버(17)가 레버축(171)의 수직선상(콕크밸브(131)의 탄력작용 반전위치)을 통과하여 완전히 세워진 상태에 도달하면, 개폐레버(17)의 클릭부(173)가 제어암(16)의 홈부(162)에 끼워진 록크상태에서 정지한다.
이에따라 콕크밸브(131)도 제어암(16)에 의하여 완전히 하강상태로 되어 정지함에 따라 유출로(141)가 완전히 완전히 개로되고 음료수를 주입하여 먹을 수 잇도록 된다.
이와같이 보온병 유출로의 개로상태 작동을 개폐레버(17)의 위치에 의하여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작이 확실하다.
또, 유출로가 개로된 상태 즉, 개폐레버(17)가 세워져 있는 개로위치에 있어서는 개폐레버(17)가 밸브(12)에서 돌출하여 캡(15)이 본체에 덮히는 것을 방지하고, 개폐레버(17)가 횡으로 되어 있는 폐로위치에서만, 캡(15)을 덮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유출로의 개로 및 폐로의 작동위치를 매우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유지할 수 있으며, 캡(15)이 덮힌 상태에서는 확실하게 폐로되는 것으로 음료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종래 캡을 덮은 상태에서 음료수가 종종 누출되는 문제점도 해소하여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되며, 또 보온병 유출로를 간단한 개폐레버(17)와 제어암(16)에 의하여 구성함에 따라 생산효율을 높히고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는 콕크케이지내에서 승강하여 유출로를 개로 및 폐로시키는 콕크밸브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암과,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어암을 록크방식으로 제어하고, 개로장치에서는 캡의 폐쇄를 저지하는 개폐레버와를 구비하며, 개폐레버에 의하여 유출로의 개로 및 폐로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점수 및 제작공정수가 적게되고, 생산성이 높으며, 조작도 간단하면서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보온병 본체의 보온저장실 입구부를 막는 밸브내에 설치된 콕크케이지의 중앙에 유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콕크케이지에 설치된 콕크밸브를 조정하여 유출로가 개로 및 폐로되도록 한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콕크케이지내에서 승강운동하여 유출로를 개로 및 폐로시키는 콕크밸브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암과,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암을 록크방식으로 작동시키며 개로위치에서 캡의 폐쇄를 방지하는 개폐레버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레버에 의하여 유출로의 개로 및 폐로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콕크케이지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폐레버의 핸들부의 타단부에 클릭부를 형성하고, 이 양측방에 레버축을 구비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개폐레버에 의하여 연동되면서 콕크밸브를 승강제어하는 제어암의 양측에 암축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암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레버의 클릭이 록크될 수 있도록 홈부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보온병밸브의 유출로 개폐장치.
KR2019990021503U 1999-10-07 1999-10-07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KR200172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03U KR200172241Y1 (ko) 1999-10-07 1999-10-07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503U KR200172241Y1 (ko) 1999-10-07 1999-10-07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241Y1 true KR200172241Y1 (ko) 2000-03-15

Family

ID=1959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503U KR200172241Y1 (ko) 1999-10-07 1999-10-07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2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3813A (en) Cooking pot with improved locking structure
US6216903B1 (en) Bi-directional operating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20140373729A1 (en) Electric rice cooker
KR970002558Y1 (ko) 휴대용 보온병 마개의 개폐장치
JPH0638818U (ja) 手持ち電気貯湯容器
KR200172241Y1 (ko) 휴대용 보온병의 유출로 개폐장치
US4622889A (en) Percolator including pump type dispenser
JP2020511204A (ja) 飲料を混合して飲むための容器
JPH09188352A (ja) 携帯用魔法瓶栓の流出路開閉装置
CN217066048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H0228854Y2 (ko)
KR100933665B1 (ko) 내용물의 안전 보관이 가능한 음료 용기
JP5233683B2 (ja) 湯沸かし器の蓋体
CN218889549U (zh) 一种压力壶
CN210158507U (zh) 冷热双用水壶
KR100404136B1 (ko) 벽면부에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CN218528395U (zh) 具有泄压功能的杯盖及容器
KR101068706B1 (ko) 안전취수구조를 갖춘 온수공급밸브
CN214104145U (zh) 一种开合盖安全结构及压力锅
CN110870687B (zh) 烹饪器具
CA2424187A1 (en) Controlling mechanism of beverage infusion container
CN2883316Y (zh) 容器用出水装置
JP3068298U (ja) 真空魔法瓶用の蓋
KR970000305Y1 (ko) 보온병용 마개
JPS622827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21 Withdrawal of opposition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