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108Y1 -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 - Google Patents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108Y1
KR200172108Y1 KR2019990019984U KR19990019984U KR200172108Y1 KR 200172108 Y1 KR200172108 Y1 KR 200172108Y1 KR 2019990019984 U KR2019990019984 U KR 2019990019984U KR 19990019984 U KR19990019984 U KR 19990019984U KR 200172108 Y1 KR200172108 Y1 KR 200172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eaving
yarns
hexagonal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상
Original Assignee
영도섬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도섬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도섬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9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1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투톤(Two Tone)을 갖는 육각망 구조의 망사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굵기와 사종이 다른 2개의 원사(原絲)들을 구비하고, 제1원사에 의해 육각망들을 이루게 제직된 제1제직부를 형성하고, 또한 제2원사에 의해서는 제1 제직부의 육각망을 형성하는 루프들을 따라 제직되면서 육각망을 일체로 연결하는 제2제직부로서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직부들에 의해 형성된 망사지로부터는 원사들의 상이한 굵기에 의해 대비되는 명암 차에 의해서 상호 대비되는 투톤이 확연히 나타나게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A Hexagon Mesh Cloth With Two Tone}
본 고안은 투톤(Two Tone)을 갖는 육각 망사지에 관 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굵기와 사종이 다른 적어도 2개의 화학사들로서 육각 망사지를 제직함에 의해, 망사지의 양 표면부로 부터는 실의 굵기 차이로부터 유도되는 명암차에 의해 상호 대비되는 두가지의 컬러가 나타나게 보이게 한 망사지에 관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톤 효과는 그 두께가 두껍게 제직되는 벨벳과 같은 원단에서 실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벨벳과 같은 원단은 대체로 두껍게 제직되기 때문에 굵기가 동일하고 사종이 다른 실을 이용하여 기본 바탕을 제직하면서 거기에 또다른 색을 갖는 실로서 제직하여 기모를 형성함에 의해, 하나의 원단에서 투톤이 나타나도록 함은 주지된 사실이다.
한편 망사지는 가볍고 미려하여 멋 내기를 좋아하는 여성들의 의류를 만드는 원단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망사 원단은 두께가 매우 얇게 제직되는 이유로 일반 원단과 같은 동일 굵기의 실을 사용하여 실 자체에 의한 투 톤을 나타나게 하는 작업은 사실상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굵기와 사종(絲種)이 다른 색상을 갖는 적어도 2개의 화학사들을 이용하여 육각 망사지를 제직함으로서 그 망사지의 양 표면부로 부터는 실의 굵기 차이로부터 유도되는 명암차에 의해 상호 대비되는 두가지의 컬러가 외관으로 나타나게 보이게 하여, 투톤을 갖는 망사지의 제직 작업의 용이성과 아울러 경제성을 갖게 한 망사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는 청구항 1의 고안과 관련된 굵기와 사종이 다른 2개의 원사들을 구비하며, 제1원사로서 형성되며 그 제1원사의 제직시 형성되는 각 루프들을 육각망들을 이루게 제직하기 위한 제1제직부와, 제1 제직부의 육각망을 형성하는 루프들을 따라 제직되면서 육각망을 일체로 연결하게 제직되는 제2원사로서 형성된 제2제직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직부로부터는 상기 원사들의 굵기에 의해 대비되는 명암 차이에서 상호 대비되는 투톤의 색상이 얻어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제2원사들은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등의 화학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제2원사들중 어느 하나를 나일론 굵은 사(70/D ~ 140/D 이상)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폴리에스터 가는 사(20/D~50/D)로 하고, 또한 어느 하나를 폴리에스터 굵은 사(75/D ~ 150/D이상)로 하는 경우 다른 하나는 나일론 가는 사(20/D ~ 40/D)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의 제직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실이 육각구조를 이루며 제직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육각조직의 제직 부위를 따라 일체로 제직되는 또다른 실의 제직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과 도 2의 결합으로 제직된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의 제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의 실물 사진이고,
도 4B는 도4A의 반대측면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망사지 20 : 제1제직부
22 : 제1원사 24 : 육각망
26 : 연결 루프 30 : 제2제직부
32 : 제2원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의 보다 바람 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의 제직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실이 육각구조를 이루며 제직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육각조직의 제직 부위를 따라 일체로 제직되는 또다른 실의 제직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과 도2의 결합으로 제직된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의 제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10)은 서로 다른 사종과 굵기를 갖는 적어도 2가지의 제1 및 제2원사(原絲)들(22,32)로서 제직한 육각망(網)(24)의 제1제직부(20)과 그리고 상기 제1제직부(2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게 제직된 제2제직부(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에서 기본 조직인 제1제직부(20)은 제1원사(22)가 0,1,2순서를 따라 제직시 형성되는 루프(26)들을 육각망(24)구조를 이루게 연속하여 연결되게 제직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2제직부(30)은 상기 제1제직부(20)의 어느 일측 표면으로 육각망(24)를 형성하는 루프(26)의 제직 순서와 같이 0,1,2를 따라 루프(26)들을 통하여 육각망(24)의 주위로 일체로 연결하게 제직됨으로써 형성되는데, 상기 제2제직부(30)은 상기 제1제직부(20)을 견실하게 보강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본 조직으로 되는 상기 제1제직부(20)과는 실의 굵기의 차이에 의한 명암차이를 유발하여 투톤을 명확하게 나타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즉,상기 망사지(10)을 제직시 제1원사(22)는 폴리에스터나 혹은 나일론사 중에서 선택한 대략 20/D~ 50/D의 가는 실(絲)을 주로 사용 하고, 이에 대하여 제2원사(32)역시 상기 제1원사(22)와 사종이 다른 폴리에스터나 혹은 나일론사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를 사용하되, 실의 굵기는 상기 제1원사(22)에 비하여 훨씬 굵은 대략 70/D ~ 150/D 이상의 것이 사용됨에 의해, 상기와 같은 투톤의 색상이 나타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원사(22)를 폴리에스터 가는 실(20/D ~ 50/D)로 하는 경우에는 제2원사(32)는 나일론 굵은 실(70/D ~ 140/D 이상)로 함이 바람 직하고, 또한 제1원사(22)를 나일론 가는 실(20/D ~ 40/D)로 하는 경우에는 제2원사(32)는 폴리에스터 굵은 사(75/D ~ 150/D이상)로 함이 바람 직하다.
이러한 원사들(22,32)의 채용으로 상기 실시예와 같이, 상기 원사들(22,32)의 굵기 차이에 의해 유도되는 명암 차이에서 상기 제직부들(20,30)에 의해 이루어진 망사지(10)의 양면으로부터는 상호 대비되는 투톤의 색상이 극명하게 나타나게 된다. 또한 극명한 투톤을 얻기 위해서는 원사의 색상은 가능한 대비되는 색상을 갖는 실을 채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제 망사지를 촬영한 사진의 일예를 표시한 것인데, 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의 어느 일측면을, 도 4B는 도4A의 반대측면을 각각 촬영 한 것이다.
도면대용 컬러 사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망사지의 양측으로부터는 서로 대비되는 상이한 투톤을 얻을 수 있게됨을 알수가 있다. 상기 망사지의 색은 소비자들의 취향에 따라서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 예에서는 망사지가 제직되는 과정을 편의상 번호를 부여하여 단계적으로 제직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미 도시한 경편기에 의해서 제1,제2원사들이 동시에 공급되면서 제직되며, 또한 이러한 경편기에 의한 제직 방법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본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굵기와 사종이 다른 적어도 2개의 화학사들로서 육각 망사지를 제직하여, 망사지의 양 표면부로 부터는 실들의 굵기 차이로부터 유도되는 명암차에 의해서 상호 대비되는 두가지의 컬러 톤이 나타나게 한 것에 의해, 통기성 및 미려성을 갖는 얇은 망사지 원단으로부터도 쉽게 투톤을 얻을수 있게한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패션의 의류를 제조에 채용하여 상품성을 높이는 경제적인 이득도 얻을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굵기와 사종이 다른 2개의 원사들을 구비하며, 제1원사로서 형성되며 그 제1원사의 제직시 형성되는 각 루프들을 육각망들을 이루게 제직하기 위한 제1제직부 ; 및
    제1 제직부의 육각망을 형성하는 루프들을 따라 제직되면서 육각망을 일체로 연결하게 제직되는 제2원사로서 형성된 제2제직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직부로부터는 상기 원사들의 굵기에 의해 대비되는 명암 차이에서 상호 대비되는 투톤의 색상이 얻어지게 한 육각 망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원사들은 폴리에스터 및 나일론 등의 화학사임을 특징으로하는 투톤 색상을 갖는 육각 망사지.
  3. 제1항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원사들중 어느 하나를 나일론 굵은 사(70/D ~ 140/D 이상)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를 폴리에스터 가는 사(20/D~50/D)로 하고, 또한 어느 하나를 폴리에스터 굵은 사(75/D ~ 150/D이상)로 하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는 나일론 가는사(20/D ~ 40/D)로 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투톤 색상을 갖는 육각 망사지.
KR2019990019984U 1999-09-16 1999-09-16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 KR200172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984U KR200172108Y1 (ko) 1999-09-16 1999-09-16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984U KR200172108Y1 (ko) 1999-09-16 1999-09-16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108Y1 true KR200172108Y1 (ko) 2000-03-15

Family

ID=1958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984U KR200172108Y1 (ko) 1999-09-16 1999-09-16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1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24B1 (ko) * 2014-07-02 2014-10-21 장민지 투톤 색상을 갖는 망사직물 제직장치 및 망사직물지
KR102150236B1 (ko) * 2020-05-27 2020-08-31 장민지 방호복용 원단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624B1 (ko) * 2014-07-02 2014-10-21 장민지 투톤 색상을 갖는 망사직물 제직장치 및 망사직물지
KR102150236B1 (ko) * 2020-05-27 2020-08-31 장민지 방호복용 원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57541B2 (ja) 帯体
US4688502A (en) Puffed embroidered design fabrics
EP3290553B1 (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KR200172108Y1 (ko) 투톤을 갖는 육각 망사지
JP3300667B2 (ja) ギャザー付ストレッチ織物
CN102102260A (zh) 具有伸缩性的窄幅织物
US4690084A (en) Production of puffed embroidered design fabrics
JPH0949178A (ja) ぼかし調の意匠布帛
JP2001234455A (ja) レース地
KR200222924Y1 (ko) 주름직물
JP7063674B2 (ja) 経編地および繊維製品
KR200385706Y1 (ko) 매직 테이프용 벨크로 직물지
JP2549821B2 (ja) 織 物
JP3650882B2 (ja) 木炭含有繊維織物及び該織物の染色法
KR200244347Y1 (ko) 샤넬 얀.
US20120031149A1 (en) Textile with leather threads
JP2003041453A (ja) 図柄の織物を織る方法
JPS6310739Y2 (ko)
JP3020198U (ja) 金属調光沢模様を備えた絹織物地
JPS6111258Y2 (ko)
WO2022071897A1 (en) Woven/knitted/tricot denim fabric made from natural animal textile yarns
JPH02160905A (ja) 熱接着可能な伸縮性編地
JP3083132U (ja) 縮み付き伸縮性織布
JPH1146813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チェン
JP3743636B2 (ja) 布帛及び布帛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