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071Y1 -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071Y1
KR200172071Y1 KR2019990016791U KR19990016791U KR200172071Y1 KR 200172071 Y1 KR200172071 Y1 KR 200172071Y1 KR 2019990016791 U KR2019990016791 U KR 2019990016791U KR 19990016791 U KR19990016791 U KR 19990016791U KR 200172071 Y1 KR200172071 Y1 KR 200172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rist
main body
hous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옥
Original Assignee
김근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옥 filed Critical 김근옥
Priority to KR2019990016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형상을 현재 막대 형상에서 곡선형상으로 변경시켜 손목에 착용이 가능토록 한 새로운 구조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막대형상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의류등에 넣고 다니는 휴대방식으로서 휴대가 불편하며, 분실위험이 커서 이에 따른 재구입으로 인해 많은 손실비용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손목형 단말기는 통화시 이어폰을 별도로 사용하여 불편이 초래되는 바, 본 고안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구조로 하여 통화시 손쉽게 펼수 있는 구조의 금속제의 중공형 밴드를 이용하여 손쉬운 통화가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액정화면(11)과 기능키 및 기타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음성인식칩등이 내장된 본체(10)와, 스피커(21) 및 이와 관련된 케이블을 내장시킬수 있도록 한 구조의 중공형의 곡선형상인 상부 밴드(20)와, 마이크(31) 및 이와 관련된 케이블이 내장 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중공형의 곡선형상인 하부 밴드(30)와, 본체의 하부에 탈착 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밧데리(B)로 구성되며, 곡선 형상의 상, 하부 밴드(20,30)는 본체 상,하부(12,13)의 양 끝단에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토록 하여 손목(W)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중공형의 상하부 밴드(20,30)와 본체 상하부(12,13)는 본체(10)의 협소한 공간을 보충하기위해 마이크, 안테나, 스피커 및 기능키, 그리고 이와 관련된 케이블이 설치되도록 하였으며, 본체(10)와 상하부 밴드(20,30)의 케이블 연결을 위해 중공형의 L자형 힌지(22)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하부 밴드(20,30)의 일방적인 회전을 막기위해, 본체 하우징(50,51) 및 힌지샤프트(60)를 구성하여, 힌지샤프트와 연결된 누름핀(61)을 누르면 힌지샤프트의 샤프트키(60b)가 본체하우징B(51)의 키홈(51b)을 통해 본체하우징A(50)의 밴드회전용 홈(50e)으로 이동되어 본체하우징(50)과 힌지샤프트(60)에 고정된 스프링(52)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스프링은 조립시 반작용 방향으로 강제로 회전시켜놓아 되돌아 가려는 반력을 갖도록 하며, 통화시 알맞은 각도에 맞추어 지도록 본체하우징(50)의 밴드회전용 홈(50e)을 마련한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W)굵기가 다른바, 굵기에 따른 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임량 조절핀(70) 및 슬리브(41)를 마련하여, 조임량조절핀과 연결된 조절마개(73)를 위로 당기면 산형의 스토퍼(70a)가 슬리브의 고정홈(41b)에서 이탈되어 상부밴드가 회전되면서 밴드의 조임량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하였다.
상기 내용에 따른 본 고안의 효과로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휴대가 간편하며,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초기화면에 시간이 표시되도록 하면 시계로서의 기능을 수반하여 경제적이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굵기에 따른 밴드 조임량 조절이 가능하므로 누구나 함께 사용이 가능하며, 통화시 밴드를 손쉽게 회전시켜, 손목에서 이탈시킨후 상하부 밴드의 양 끝에 설치된 스피커 및 마이크에 의해 통화가 가능하여, 별도의 이어폰 없이 기존의 막대형 휴대용 통신단말기 방식과 동일하게 직접 통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의 효과이다.

Description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A Portable Correspondence Terminal possibility put on wrist}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불편하며, 분실위험이 큰 종래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휴대방식을 개선시켜 사용자의 불편 및 분실에 따른 손실비용을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손목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서, 좀더 상세히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종래 막대형상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의류 및 가방등에 넣고 다니는 휴대 방식으로 휴대가 불편하며, 분실위험이 커서 이에 따른 재 구입시에는 막대한 손실비용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기존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휴대 상태를 겸하며, 손목에 착용이 가능토록 단말기를 본체와 본체의 양끝단에 연결된 밴드로 구분시켜 밴드의 회전 및 고정을 손쉽게 하여 손목에 탈착이 가능토록 하며, 이때 손목굵기에 따른 밴드조임량이 조절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단말기는 밴드의 이용가치가 단순히 단말기 본체를 손목에 고정시키는데 목적이 있어 통화시 단말기를 손목에 착용한채 입에 가까이 하고 통화하거나 공중장소에서는 이어폰을 이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공형이며 금속제로 이루어진 상,하부밴드에 스피커 및 마이크를 각각 구성시키며, 이와 관련된 케이블을 L자형힌지를 통해 본체로 부터 밴드로 연결시켜 통화시 밴드의 고정장치를 쉽게 풀고 통화하기 좋은 위치까지 회전시켜, 기존의 막대형 단말기와 같은 방식 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단말기의 휴대 방식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막대형상에 의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휴대방식을, 본체에 곡선형의 회전이 가능한 구조의 금속제인 상, 하부 밴드를 형성시켜 상,하부밴드의 회전을 통해 손목을 감싸는 구조로 하여 손목에 착용이 가능토록 하며 착용시 사용자의 손목굵기가 다른점에 착안하여 밴드의 조임량 조절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또한, 중공형인 밴드의 공간을 이용하여 스피커 및 마이크를 내장시켜 본체로 부터 연결되는 케이블을 적절하게 본체로부터 밴드로 연결시켜, 통화시 손목에서의 탈착과 동시에 곧바로 통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 구조로 하여, 이어폰이 없이 종래의 막대형 단말기 방식과 동일하게 통화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상부밴드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상부 및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하우징 및 조절핀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상부 및 밴드 하우징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가)도는 횡단면도
(나)도는 종단면도
(다)도는 (나)도의 A-A선 단면도
(라)도는 (나)도의 B-B선 단면도
(마)도는 (나)도의 C-C선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전체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밧데리 W : 손목 10 : 본체
11 : 액정화면 12 : 본체 상부 13 : 본체 하부
20 : 상부 밴드 21 : 스피커 22 : L자형 힌지
30 : 하부 밴드 31 : 마이크 40 : 밴드 하우징
41 : 슬리브 50 : 본체하우징A 51 : 본체하우징B
52 : 스프링 60 : 힌지샤프트 61 : 누름핀
70 : 조임량 조절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은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로서, 액정화면(11)과 기능키 및 기타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음성 인식칩등이 내장된 본체(10)와, 스피커(21) 및 이와 관련된 케이블을 내장시킬수 있도록 한 구조의 중공형의 곡선 형상인 상부 밴드(20)와, 마이크(31) 및 이와 관련된 케이블이 내장 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중공형의 곡선형상인 하부 밴드(30)와, 본체의 하부에 탈착 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밧데리(B)로 구성되었으며, 곡선 형상의 상, 하부 밴드(20,30)는 본체의 상,하부(12,13)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하여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상부 및 하부밴드(20,30)의 회전방식이 동일하므로 상부밴드(20)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으로서, 본체(10)와 상부밴드(2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냈으며, 도 3 및 도 4는 밴드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본체상부 및 밴드에 각각 조립되어 구성되어지는 본체하우징(50,51) 및 슬리브(41), 힌지샤프트(60), 누름핀(61)에 대한 각각의 분해사시도며, 도 5 는 본체상부(12) 및 밴드하우징(40)의 각 부분에 대한 단면 상세도 이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체의 상부에 위치한 본체상부(12)는 본체의 협소한 공간을 늘리기위해 중공형으로 형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이도록 구성하였으며, 밴드의 회전을 위한 L형 힌지(22)의 조립을 위해 본체상부의 일측에는 힌지체결용 홀(12c)이 형성되었으며, 내부는 본체하우징(50,51)의 이탈을 방지하기위한 고정턱(12d) 및 케이블 연결을 위한 케이블 삽입공간(12e)을 형성하여 케이블이 통과되도록 한다. 또한 밴드(20)의 회전시 밴드의 일측 상부에 설치된 조절마개(73)와의 간섭을 피해 본체상부에는 조절나사 가이드홈(12b)이 형성된다.
중공형(20a)의 곡선형상인 상,하부밴드(20,30)는 내부에 스피커(21) 및 마이크(31) 그리고 이와 관련된 케이블의 내장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하부 밴드에 각각 장착되는 스피커(21) 및 마이크(31)는 통화시 사용길이를 길게하기 위해 밴드의 양끝단에 위치시킨다. 또한 밴드 하우징(4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양측면(20b)은 평판을 형성하며, 일측면은 밴드하우징(40)과 함께 L형 힌지(22)의 고정을 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더욱 손쉬운 통화를 위해 상,하부밴드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여, 밴드길이가 짧게 구성된 하부밴드(30)는 고정된채, 길게 구성된 상부밴드(20)만 회전시킬때도 통화가 가능토록 한다.
슬리브(41), 조임량 조절핀(70) 그리고 L형 힌지(22)의 장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 ㄷ자 형상의 밴드하우징(40)은 밴드의 선단에 조립된다. 도 4 에 도시한 바와같이, 밴드 하우징(40)의 L형 힌지(22) 조립부 및 외관을 설명하면, 밴드 하우징(40)의 일측면에는 L형 힌지(22)의 조립을 위해 수평방향으로 힌지 부착홈(40c)이 형성되며, 홈의 선단에는 힌지 고정홀(40d)을 마련한다. 또한 타측은 회전축 역할을 수반하는 슬리브(41)의 고정을 위한 슬리브 장착홀(40b)이 형성되고, 슬리브의 고정홈(41b)과 직결되는 상부에는 밴드의 손목조임량 조절을 위한 조임량 조절핀(70)의 장착공간(40a)이 형성된다. 누름핀(61) 돌기(61b)부분의 왕복이 가능토록 가이드 홈(41a)이 형성된 슬리브(41)는 조임량 조절핀(70)의 산형 스토퍼(70a)가 고정될 수 있도록 톱니바퀴 형태의 고정홈(41b)이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은 고정부의 산형부보다 상면이 높도록하여 조임량 조절시 밴드의 회전이 원활토록 한 회전부(41c)가 형성된다.
또한 밴드하우징(40)의 일측 상부(40a)에 장착되어 손목의 조임량을 조절하는 조임량 조절핀(70)은 하부가 슬리브의 고정홈(41b)에 안착되도록 산형의 스토퍼(70a)가 형성되며, 스토퍼(70a) 상부로는 평면의 스프링 받침대(70b)를 형성하여 상속마개(72)의 평면부와 함께 스프링의 탈락을 방지시킨다. 이때 조절핀(70)의 최상부는 나사부(70c)를 형성하여 상속마개(72) 내부를 통과후 조절마개(73) 내부의 태핑부위와 결속된다.
또한 스프링(71) 고정역할을 하는 상속마개(72)는 외부는 나사부(72a)를 형성하여 밴드하우징(40)의 조절핀 장착홀(40a)의 태핑부에 결속되도록 하며, 조립을 위해 상부(72b)는 -자형 드라이버 홈을 내고, 내부(72c)는 조절마개(73) 하부가 통과되도록 관통된다. 본체상부(12)의 하우징커버부(12a)에 장착되어, 밴드(20)의 회전을 도와주는 본체하우징(50)은, 일측은 힌지샤프트 장착부(50a)며, 중앙은 케이블 삽입공간(50b), 타측은 L힌지 조립부(50c)로 구성된다. 힌지샤프트 장착부(50a)는 그림 5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샤프트의 왕복을 위해 내부에 홀이 마련되며, 홀의 입구는 샤프트키(60b)가 회전되어 통화시 밴드의 알맞은 각도가 형성되도록 일부분만 가공된 밴드회전용 홈(50e)이 형성된다. 또한, 홀의 끝단부에는 스프링 고정홀(50f)을 마련하여 힌지샤프트(60)와 함께 스프링(52)을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블 삽입공간(50b)은 본체상부의 내부공간(12e)과 마주치는 부위를 절단하여 케이블 간섭이 없도록 해주며, L힌지 조립부(50c)는 중앙부를 원형으로 관통시켜 케이블 삽입공간(50b)까지 L힌지 (22)가 관통되도록 한다. 또한 본체하우징B(51)는 힌지샤프트의 전후이동이 가능토록 중앙에 힌지샤프트 왕복홀(51a)이 형성되고, 왕복홀의 일측에는 샤프트키(60b)가 이동되도록 키홈(51b)이 형성된다. 이때, 밴드(20)만 회전시키기 위해 본체하우징(50,51)은 커버(14)와 함께 본체상부에 고정시킨다.
또한, 힌지샤프트(60)는 본체하우징A(50)과 함께 스프링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위해 스프링고정홀(60a)과 고정홈(60c)이 일측에 형성되고 밴드의 고정 및 회전 역할을 하는 샤프트키(60b)가 측면에 돌출되며, 힌지샤프트를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누름핀(61)과의 결속을 위해 타측의 내부에는 태핑(60d)이 되어있어, 누름핀의 고정나사부(61a)와 결속된다. 힌지샤프트와 결속되는 누름핀(61)은 원통형으로 되어 일측에는 슬리브의 가이드홈(41a)에 삽입되어 밴드를 고정시키는 돌기(61b)가 형성된다. 한편 스프링(52)은 양쪽 끝단을 스프링의 감김방향과 수평되게 직선으로 돌출시켜 힌지샤프트의 고정홈(60c) 및 본체하우징A의 고정홈(60c)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한 구성요소에 따라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상부(12)의 하우징 커버(12a)에 본체하우징A(50)가 장착되고, 스프링(52)을 힌지샤프트(60)의 스프링고정홈(60c)에 끼운후, 본체하우징A의 스프링고정홀(50f)에 삽입한다. 이때 힌지샤프트(60)를 밴드(20)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프링(52)이 반력을 갖도록하며, 본체하우징B(51)를 힌지샤프트의 샤프트키(60b)에 맞추어 조립후, 커버(14) 및 밴드하우징A(50)와 함께 하우징 커버부(12a)에 고정시켜 밴드의 회전시 밴드와 함께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한편, 밴드하우징(40)은 본체상부의 하우징 커버부(12a)에 맞춘후 L자형 힌지(22)를 밴드하우징의 힌지고정홀(40d) 및 본체하우징A의 L힌지 조립부(50c)에 끼운다. 이후 누름핀(61)을 힌지샤프트의 태핑(60d)부에 고정시키며, 슬리브(41)를 밴드하우징의 슬리브 장착홀(40b)과 누름핀사이에 끼운다. 이때 누름핀의 돌기부(61b)와 힌지샤프트의 샤프트키(60b)를 일직선 상에 정열시켜 누름핀을 누를 때 슬리브의 가이드홈(41a)과 본체하우징B의 키홈(51b)에서 수평되게 움직이도록 한다.
이후, 밴드(20)를 밴드하우징(40)에 고정시키고, 손목에 적당히 맞추어 밴드를 회전시킨후 조임량조절핀(70)을 조절핀 장착홀(40a)을 통해 슬리브의 고정홈(41b)의 홈에 끼우고 스프링(71)을 조임량 조절핀(70)과 조절핀 장착홀(40a) 사이에 장착후 상속마개를 조절핀 장착홀(40a)에 고정시키고, 조절마개(73)을 조임량 조절핀 연결나사부(70c)에 조립후 누름핀 커버(42)를 밴드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조립상태에 따라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밴드(20)에서 외부로 돌출된 누름핀(61)을 그림 5 (나)의 'D' 방향으로 누르면 힌지샤프트(60)가 스프링(52)을 밀면서 누름핀의 돌기(61b)와 샤프트키(60b)가 가이드홈(41a,51b)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샤프트키가 밴드회전용홈(50e)에 다다르면 스프링(52)의 복원력에 의해 그림 6의 'A'방향으로 힌지샤프트(60)가 회전된다. 이때, 누름핀의 돌기(61b)는 슬리브의 가이드홈(41a)에 탄지되어 힌지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슬리브(41) 및 밴드(20)가 함께 회전된다. 한편, 회전된 밴드(20)는 적당한 통화거리가 유지되도록 밴드회전용 홈(50e)에 의해 알맞은 각도가 유지된다. 이때 밴드의 회전시 L자형힌지(22)도 함께 회전되므로 힌지에 삽입되는 케이블의 꼬임방지를 위해 본체하우징(12)의 입구에 있는 케이블(74)을 전화선과 같이 탄성을 갖도록 회전시켜 놓는다. 손목에 다시 착용할 때는 누름핀(61)을 누를 필요없이 밴드(20)를 그림 6의 'A' 반대방향으로 밀면 샤프트키(60b)가 밴드하우징B의 키홈(51b)에 이르러 스프링이 샤프트키를 밀면서 복원되어 간편하다.
또한 사용자의 다양한 손목굵기에 따른 밴드의 조임량 조절을 위해 슬리브(41)의 고정홈(41b)에 끼워진 조절핀(70)은 조절마개(73)를 그림 5 (나)의 'E'방향으로 당기면 고정홈에서 산형의 스토퍼(70a)가 빠져나와 슬리브를 축으로 밴드만 회전되어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맞추면 된다. 맞춘후 다시 스토퍼(70c)를 고정홈(41b)에 끼우면 밴드는 고정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체와 밴드의 결합 및 회전방식, 그리고 손목굵기에 따른 조임량 조절 방식은 도시된 것 이외에도 적절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첫째, 기존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가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의류 및 가방에 넣고 다니는 것에 비해서 손목에 착용이 가능토록 제작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둘째,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내용의 휴대방식에 의해 분실량이 굉장히 많은 실정이며, 이에 따른 재구입으로 인한 손실비용이 개인적으로 굉장히 크다. 본 고안은 이를 해소하기위해 휴대용 통신 단말기를 손목에 착용가능한 구조로 하여 분실의 위험을 없앴다. 셋째, 액정화면의 초기화면 상태에 시간을 나타내면, 손목에 착용 가능한 본 고안의 방식을 이용하면 별도의 시계가 필요없어 경제적이다. 넷째, 기존의 손목형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밴드의 역할이 손목에 고정시켜 주는데만 그 목적이 있어서 통화시 이어폰을 이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통화시 손쉽게 회전시켜 중공형의 금속제 밴드의 양 끝에 설치된 스피커 및 마이크에 의해 기존의 막대형 단말기와 같은 방식으로 통화가 가능하며, 이미 상부밴드의 길이를 상이하게 하여 길이가 짧게 구성된 하부밴드는 고정된채, 길게 구성된 상부밴드만 회전시켜 통화한다면 사용하기에 간편하다. 또한 사용자의 손목 굵기에 따른 밴드의 조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다는 그 효과이다,

Claims (3)

  1. 액정화면(11)과 기능키 및 기타 단말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음성 인식칩등이 내장된 본체(10)와, 본체의 협소한 공간에 보충을 위해 본체의 상하부에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상하부(12,13) 및 본체상하부의 하우징커버부(12a)에 장착되어 밴드(20,30)의 회전을 도와주는 원형의 본체하우징A(50) 및 본체하우징B(51)와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어 역회전된 스프링(52)에 의해 밴드회전용홈(50c)에서 회전이 가능한, 일측에 돌기부를 형성한 원형의 힌지샤프트(60), 상기한 힌지샤프트와 나사부(61a)로 연결되어 밴드하우징(40)의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핀(61), 누름핀 돌기부(61b)의 가이드역할을 겸해 밴드의 조임량 조절핀(70)이 고정되도록 외부의 일측에 톱니바퀴형의 고정홈(41b)이 형성되어 밴드하우징(40)과 누름핀(61) 사이에 장착되는 슬리브(41), 또한 일측에는 본체(10)와 밴드의 케이블(74)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중공형의 L형힌지(22)가 장착되도록 수평되게 홈(40c)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본체상하부의 하우징 커버부(12a)가 장착되도록 반원형의 홈이 길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슬리브(41)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밴드하우징(40), 밴드하우징(40)의 결속을 겸해 손목의 고정역할을 하며 힌지샤프트(60)에 의한 회전시 통화가 가능토록 스피커(21) 및 마이크(31)가 각각 장착된 상하부 밴드(20,30)로 구성되는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구조로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슬리브(41)의 고정홈(41b)에 걸리도록 산형부(70a)가 형성되며 산형부의 상부로 스프링 받침대(70b)가 형성된 원통형의 조임량 조절핀(70)과, 조절핀이 탄지되도록 하는 스프링(71), 스프링의 외부돌출을 방지하고 스프링이 조절핀(70)을 눌러지도록 하는, 밴드하우징(40)에 고정되는 상속마개(72), 조절핀(70)과 결속되어 슬리브(41)의 고정홈(41b)에서 조절핀의 산형부(70a)를 탈피시켜 주도록 밴드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조절마개(73)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목굵기에 따라 밴드의 조임량 조절이 가능한 밴드조임량 조절장치를 갖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스피커(21)가 끝단부에 장착되며 이와 관련된 케이블(74)을 내장시킬수 있도록 한, 중공형의 곡선형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상부밴드(20) 및 마이크(31)가 끝단부에 설치되며 이와관련된 케이블(74)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한, 길이가 짧게 형성된 하부밴드(30)로 구성하여 통화시 하부밴드(30)는 그대로 둔채 상부밴드(20)만을 회전시켜 통화가 가능한 거리를 유지시켜 통화가 간편토록 구성된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구조로된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2019990016791U 1999-08-14 1999-08-14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KR200172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91U KR200172071Y1 (ko) 1999-08-14 1999-08-14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791U KR200172071Y1 (ko) 1999-08-14 1999-08-14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071Y1 true KR200172071Y1 (ko) 2000-03-15

Family

ID=1958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791U KR200172071Y1 (ko) 1999-08-14 1999-08-14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0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20B1 (ko) * 2013-07-29 2015-0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971381B2 (en) 2013-07-29 2018-05-1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620B1 (ko) * 2013-07-29 2015-02-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손목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9971381B2 (en) 2013-07-29 2018-05-15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Wrist-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2075B1 (en) Eyeglass temple attachment mechanism
KR100824188B1 (ko) 헤드셋
JP2002247677A (ja) ヘッドホン装置
JP2002543725A (ja) ヘッドセット
KR200172071Y1 (ko) 손목에 착용이 가능한 휴대용 통신 단말기
US7640042B2 (en) Buckle phone
KR19990046393A (ko) 손목에착용이가능한휴대용통신단말기
KR100454969B1 (ko) 외장 교체형 보조 하우징 및 이를 채용한 플립-형 겸용바-형 무선 단말기
JP3803238B2 (ja) 腕携帯電話
KR200187552Y1 (ko) 손목에 착용 가능한 휴대용 정보/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전지 기능을 겸한 밴드의 회전구조
KR100348293B1 (ko)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KR200298306Y1 (ko) 귀걸이 타입 무선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JP2004361910A (ja) 耳装着構造およびリズム発生装置
KR200245063Y1 (ko) 휴대폰줄 일체형 이어폰
KR200268709Y1 (ko) 라디오가 내장된 모자
KR200215255Y1 (ko) 핸즈프리형 전화 송수화기
KR200262903Y1 (ko) 무선 이어폰
KR200252688Y1 (ko)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KR200301190Y1 (ko) 목걸이형 핸즈프리키트
KR100345606B1 (ko) 고글부착용 통신기기
KR200170098Y1 (ko) 목걸이형 통신기기 체결장치
KR200184591Y1 (ko) 헤드폰형 휴대폰
KR200233030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목걸이형 이어폰
KR200252672Y1 (ko)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KR100331881B1 (ko) 무선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