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880Y1 -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880Y1
KR200171880Y1 KR2019970032545U KR19970032545U KR200171880Y1 KR 200171880 Y1 KR200171880 Y1 KR 200171880Y1 KR 2019970032545 U KR2019970032545 U KR 2019970032545U KR 19970032545 U KR19970032545 U KR 19970032545U KR 200171880 Y1 KR200171880 Y1 KR 200171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signal
high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9258U (ko
Inventor
김영기
Original Assignee
김영기
주식회사엘디아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143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7188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주식회사엘디아이코리아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19970032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88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9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개시된 호출/통화 표시장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수신 및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통화 상태일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이동 통신 기기가 호출 신호를 수신 또는 통화 상태로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할 경우에 출력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 코일에 유도되고, 유도 코일에 유도된 전압을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 다이오드가 추력하며,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 다이오드가 출력하는 전압으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및 호출/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를 본체에 내장한 후 이동 통신 기기의 안테나에 장착하여 장식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
본 고안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아날로그형 휴대용 전화기 및 디지털형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각종 이동 통신 기기에 수신되는 호출 신호 및 이동 통신 기기의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및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사람들이 PCS, 아날로그형 휴대용 전화기 및 디지털형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기기를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시간 및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 통신 기기를 호출할 경우에 이동 통신국에서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고, 이동 통신 기기는 자신에 대한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사용자에게 호출 신호가 수신됨을 알리고 있다.
호출 신호의 수신을 알리기 위하여 종래에는 이동 통신 기기에 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링 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링 신호 출력부를 구동시켜 음성 신호로 호출 신호의 수신을 알리고 있다.
그리고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사용자가 이동 통신 기기의 통화키를 누름에 따라 착신하여 상호간에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통화할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전송(SEND) 키를 누름에 따라 다이얼링한 상대방 전화기로 호출신호를 전송하여 상호간에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상호간에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종래에는 아무런 표시도 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 통신 기기로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통화 상태일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표시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물 등의 형상으로 제작하고, 이를 이동 통신 기기의 안테나에 장착하여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통화 상태로 이동 통신 기기가 출력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호출 및 통화 상태를 표시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에 따르면,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신호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기기는 이동 통신국이 송신하는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이를 이동 통신국으로 알리기 위하여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호출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PCS는 1.5∼1.6㎓의 신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형 휴대용 전화기는 800㎒의 신호를 발생하며, 디지털형 휴대용 전화기는 1.2㎓의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이동 통신 기기가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할 경우에 그 출력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 코일에 유도되고, 유도 코일에 유도된 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고주파 다이오드가 소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며, 출력한 소정 레벨의 전압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되어 호출 신호의 수신 또는 전화 통화 상태임을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동물 등과 같은 소정 형상의 장식구에 내장하고, 이동 통신 기기의 안테나의 선단부에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의 장식 효과도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호출/통화 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의 호출/통화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며,
제 3 도는 본 고안의 호출/통화 표시장치가 이동 통신 기기에 부착된 상태를 예로 들어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 유도 코일 L2 : 코일
D1, D2 :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 다이오드 LED : 발광 다이오드
C1 : 콘덴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경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L1은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가 발생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되는 유도 코일이고, 부호 D1 및 D2는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는 직렬로 연결되고,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의 직렬 접속점에 상기 유도 코일(L1)의 양단자가 공통으로 접속된다.
부호 LED은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 점등되어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이다.
부호 C1 및 L2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의 출력신호에 직렬 공진되어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콘덴서 및 코일이다.
이와 같이 구성돈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 상태로서 이동 통신 기기가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할 경우에 그 출력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 코일(L1)에 유도된다.
상기 유도 코일(L1)에 유도된 소정 주파수의 신호는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에서 전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상기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가 출력하는 소정 레벨의 전압의 주파수에 의해 콘덴서(C1) 및 코일(L2)로 구성된 직렬 공진기가 공진되어 전압 파형을 안정화시키고, 안정화된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LED)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되고, 현재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현재 통화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제 2 도는 본 고안의 호출/통화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 예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유도 코일(L1)의 일측 단자는자유단 상태로 하고, 유도 코일(L1)의 타측 단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의 접속점에 접속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상기한 일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 상태로 이동 통신 기기가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출력할 경우에 그 출력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 코일(L1)에 유도되어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가 소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D1)(D2)가 출력하는 소정 레벨의 전압의 주파수에 의해 직렬 공진기가 공진되어 전압 파형을 안정화시키고, 발광 다이오드(LED)에 인가되므로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되어 현재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현재 통화 상태임을 표시하게 된다.
제 3 도는 본 고안의 호출/통화 표시장치가 이동 통신 기기에 부착된 상태를 예로 들어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보호 10은 동물 등과 같은 소정 형상으로 되고, 본 고안의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가 내장되는 본체이다.
상기 본체(10)는 예를 들면, 반 투명체로 형성하여 내부의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될 경우에 본체(10)의 표면이 밝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저면에는 이동 통신 기기(20)의 안테나(21)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11)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이동 통신 기기(20)의 안테나(21)의 선단부를 본체(10)의 삽입 홈(11)에 끼워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현재 통화 상태로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LED)가 점등될 경우에 본체(10)의 표면을 밝게 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의 현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간단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를 이동 통신 기기의 안테나(21)의 선단부에 설치함으로써 이동 통신 기기를 장식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 상태일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 신호 수신 및 통화 상태임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동 통신 기기의 현재 상태를 간단히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 통신 기기의 안테나에 설치하여 장식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 및 통화 상태일 경우에 이동 통신 기기에서 출력되는 소정 주파수의 신호가 유도되는 유도 코일;
    상기 유도 코일에 유도된 고주파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 전압을 발생하는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 및
    상기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가 발생하는 전압에 따라 점등되어 이동 통신 기기에 호출신호가 수신 및 통화 상태임을 표시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는;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가 직렬 접속되어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의 직렬 접속점에 상기 유도 코일의 양단자가 공통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는;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가 직렬 접속되어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의 직렬 접속점에 상기 유도 코일의 일측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유도 코일의 일측 단자는 자유단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는;
    제 1 및 제 2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가 출력하는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직렬 공진기가 병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코일, 고주파 수신용 다이오드 및 발광 다이오드는 본체에 내장되고, 본체의 저면에는 이동 통신 기기의 안테나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삽입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반 투명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기기의 호출/통화 표시장치.
KR2019970032545U 1997-11-18 1997-11-18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KR200171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45U KR200171880Y1 (ko) 1997-11-18 1997-11-18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545U KR200171880Y1 (ko) 1997-11-18 1997-11-18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58U KR19990019258U (ko) 1999-06-15
KR200171880Y1 true KR200171880Y1 (ko) 2000-03-02

Family

ID=19514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545U KR200171880Y1 (ko) 1997-11-18 1997-11-18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88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945A (ko) * 2000-10-31 2002-05-08 정희정 호출/통화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58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16829B (en) A handset and a connector therefor
EP1170714A4 (en) COMMUNICATION ARRANGEMENT OF A MOBILE UNIT
PL320459A1 (en) Calling system
GB2364196B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EP1003317A3 (en) An electromagnetic sound generating body
KR200171880Y1 (ko) 이동통신기기의호출/통화표시장치
JPS5642440A (en) Car telephone set as data terminal
KR200187319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발광장치
KR200296695Y1 (ko) 점등기능을 갖는 핸드폰
KR10031567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착신램프 장치
KR100260756B1 (ko) 무전기 기능 겸용 무선전화기
KR200172068Y1 (ko) 착/발신신호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폰줄
KR200224376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신호 수신장치
JPH11187466A (ja) 携帯電話機用表示装置
KR200172765Y1 (ko) 휴대용 전화 벨소리 알림 진동 장치
KR19980061220U (ko) 이동체 통신기의 발신 표시 장치
KR100356200B1 (ko) 휴대폰용 통화상태 표시장치
KR200202231Y1 (ko) 휴대전화기용 목걸이
KR200174748Y1 (ko) 휴대전화기용 발광악세서리 회로구조
ES1040473U (es) Accesorio con indicacion luminosa de recepcion de llamadas para aparatos de telefonia movil.
KR20000065793A (ko) 휴대폰(피시에스, 이동전화, 셀룰러 등)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시계에서도 걸려오는 전화를 인지할 수 있는 휴대폰 시계
KR200329429Y1 (ko) 핸드폰의 원격 착신감지장치
KR200324120Y1 (ko) 글래스 안테나가 장착된 이동 통신 단말기
JP3037557U (ja) 携帯電話器の電波検出装置
KR20050054000A (ko) 착신알람램프가 장착된 이동통신단말기용 이어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00522

Effective date: 200010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00222

Effective date: 200010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00526

Effective date: 200010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518

Effective date: 2000103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1206

Effective date: 2002062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