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945A - 호출/통화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호출/통화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945A
KR20020033945A KR1020000064205A KR20000064205A KR20020033945A KR 20020033945 A KR20020033945 A KR 20020033945A KR 1020000064205 A KR1020000064205 A KR 1020000064205A KR 20000064205 A KR20000064205 A KR 20000064205A KR 20020033945 A KR20020033945 A KR 20020033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light emitting
high frequency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정
김대운
Original Assignee
정희정
김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정, 김대운 filed Critical 정희정
Priority to KR102000006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3945A/ko
Publication of KR2002003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9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용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및 통화중인 경우에 발생하는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 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점멸 제어부를 포함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호출/통화표시 장치{Call-Alarming Device}
본 발명은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호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및 통화중인 경우에 발생하는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이용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함으로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발생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다. 휴대폰의 일반화와 더불어, 장소를 가리지 않고 울려대는 휴대폰의 호출음은 새로운 소음 공해가 되었다.
호출음으로 인한 소음을 줄이기 위해 현재 출시되고 있는 휴대폰은 호출시 휴대폰에 내장된 진동장치를 작동하여 단말기를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호출되고 있음을 알린다.
그러나, 휴대폰의 진동에 의해 호출중임을 표시하더라도,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또는 진동하는 휴대폰이 다른 물체와 부딪쳐서 발생되는 소음이 호출음에 의한 소음과 비슷하거나 더 큰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폰이 호출신호를 감지하면 램프를 점멸하거나 램프가 발생하는 빛의 색깔을 변경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램프에 의한 호출표시의 경우에, 휴대폰에 고정된 램프는 고정된 위치에 따라서 사용자가 호출표시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호출/통화시 점멸하는 휴대폰용 부가장치나 또는 기존 안테나에 호출/통화시 점멸하는 기능이 부가된 안테나가 개발되었다.
상기한 휴대폰용 부가장치 또는 점멸기능이 부가된 안테나는 호출/통화시 발생하는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를 검출하여 호출/통화중임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별도의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내장된 점멸장치(예를 들면 LED)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출력이 점멸장치를 구동하기에 충분한 유도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CDMA 방식 휴대폰의 출력은 200mW이고, PCS 방식 휴대폰의 출력은 6.3 ~ 130mW로, 최대출력 20W의 GSM 방식 휴대폰보다 출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GSM 방식 휴대폰에서 사용이 가능한 호출/통화표시 안테나 또는 부가장치는 CDMA 방식의 휴대폰 또는 PCS 휴대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송수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에 위치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함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중이거나 또는 통화중임을 표시할 수 있는 호출/통화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점멸함으로서, 다양한 색깔의 빛을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중이거나 또는 통화중임을 표시할 수 있는 호출/통화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중이거나 또는 통화중일 때 발생하는 일정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이용하여 별도의 구동전압 없이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중이거나 또는 통화중임을 표시할 수 있는 호출/통화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점멸 제어부 및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10: 전원 발생부
200 : 점멸 제어부
300, 310: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출/통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점멸 제어부를 포함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압 발생부는 상기 전자파에 응답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고주파 유도코일,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캐소드에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고주파 다이오드 D1,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애노드에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고주파 다이오드 D2 및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1의 캐소드와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2의 애노드에 병렬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안정화하여 공급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복수이고, 상기 점멸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점멸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휘도를 보정하는 반고정 저항을 더 포함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적어도 하나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적어도 하나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자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통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및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전압 발생부는 상기 전자파에 응답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고주파 유도코일 L1,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 L1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캐소드에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고주파 다이오드,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된 고주파 커패시터 및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고주파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고주파 유도코일 L2를 포함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원 발생부(100)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검출하여 상기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포함된 전자소자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발생부(100)는 고주파 유도코일에 유도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하는 일정 주파수의 호출신호 또는 통화중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 신호에 의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전원 발생부(100)는 단말기의 출력이 작은 CDMA 방식 또는 PCS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기소자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기 위해 저출력-고주파에 민감한 전자소자로 구성한다.
상기 전원 발생부(100)는 유도 기전력의 발생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통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점멸제어부(200)는 상기 전원 발생부(100)에 의해 발생된 전원으로 구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하여 다양한 색의 빛이 발생되도록한다.
상기 점멸제어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300)가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다고 하자.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적색, 녹색, 청색, 적색 + 녹색, 적색 + 청색, 녹색 + 청색, 적색 + 녹색 + 청색의 순서로 제어하면, 빛의 혼합에 의한 총 7 색깔의 빛이 발생한다.
상기 점멸제어부(200)는 1개 내지 6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300)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와 직렬 연결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 휘도를 보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반고정 저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300)는 상기 점멸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생하는 1 내지 6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호출/통화표시 장치를 실제 전자소자로 구현한 회로로서, 도 1에 도시된 전원 발생부(100), 점멸 제어부(200) 및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300)에 대응하는 회로이다.
전원 발생부(100)는 고주파 유도코일 L, 고주파 다이오드 D1, D2 및 고주파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유도코일 L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일정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유도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 L에 유도되는 전자파는 아날로그/디지털 방식의 CDMA 단말기의 경우 800MHz 대역의 전자파이고, PCS 단말기의 경우 1.7 ~ 1.8GHz 대역의 전자파이다.
아날로그/디지털 방식의 CDMA 단말기의 경우 송신주파수는 824 ~ 849 MHz 이고, 수신주파수는 869 ~ 894 MHz 이다. PCS 단말기의 경우 송신주파수는 1.75 ~ 1.78 GHz 이고, 수신주파수는 1.84 ~ 1.87 GHz 이다.
고주파 다이오드 D1, D2는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 L에 의해 발생된 유도 기전력을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1, D2의 출력전압은 - 3 V ~ + 3 V이다.
고주파 커패시터 C는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1, D2의 출력전압의 파형을 안정화시킨다. 상기 고주파 커패시터 C에 의해 안정화된 출력전압은 점멸 제어부(200) 및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300)에 인가된다.
IC는 미리 정해진 순서와 시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하는 집적회로이다. 상기 IC는 상기 전원 발생부(100)에서 발생된 - 3 V ~ + 3 V의 전압에 의해 작동된다.
LED1, LED2 및 LED3은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이고,R1 및 R2는 각각 LED2, 및 LED3의 휘도를 보정하는 반고정 저항이다.
상기 LED1 내지 LED3은 본 발명의 실제 구현예에서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색깔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점멸 제어부 및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상기 도 3은 3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B, R, G는 각각 청색, 적색, 녹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R1, R2는 반고정 저항이고, VDD는 집적회로의 양극 전원단자이고, VSS는 집적회로의 음극 전원단자이다.
도면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전원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자파에 의해 상기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 발생부이다.
IC는 세 색깔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집적회로이다. 상기 IC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하여 각기 다른 7 색깔의 빛을 발생한다. 또한, 상기 IC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을 제어한다.
상기 IC는 최대 6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할 경우에 나머지 3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할 수 있는 IC의 핀은 무효(null)상태로 둘 수 있다.
상기 IC는 전원 발생부가 전자파를 유도하여 구동전압을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고, 저장된 점멸 순서에 따라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제 구현예에서는 상기 IC가 1 내지 6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면 발생되는 전자파로 인해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고주파 유도코일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S10).
상기 S10단계에서 발생된 유도 기전력에 의해 호출/통화표시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발생한다(S11). 여기서 발생된 전원은 - 3 V ~ + 3 V의 전압이다.
상기 S11단계에서 발생된 구동전압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가 미리 입력된 순서와 점멸 시간에 따라 점멸된다(S12).
예를 들어, 3개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된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 순서는 1개의 발광 다이오드 점멸, 조합에 의한 2개의 발광 다이오드 동시 점멸, 3개의 발광 다이오드 동시 점멸의 순서로 점멸하도록 입력될 수 있고, 상기 점멸 순서를 임의로 조합하여 점멸하도록 입력될 수도 있다.
호출/통화중 미리 입력된 점멸 순서가 끝나면, 입력된 순서대로 발광 다이오드가 다시 점멸한다.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종료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통화가 종료되면 전자파로 인한 유도 기전력의 발생이 종료된다(S13). 유도 기전력의 발생이 종료하면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점멸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출/통화표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전원 발생부(110)는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검출하여 상기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포함된 전자소자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 발생부(110)는 고주파 유도코일에 유도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수신하는 일정 주파수의 호출신호 또는 통화중 이동통신단말기의 송수신 신호에 의한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유도 기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전원 발생부(110)는 단말기의 출력이 작은 CDMA 방식 또는 PCS 방식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전기소자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기 위해 고주파-저출력에 민감한 전자소자로 구성한다.
상기 전원 발생부(110)는 유도 기전력의 발생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통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310)는 상기 전원 발생부(110)에 의해 공급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점멸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실제적인 회로구성을 설명한다.
전원 발생부(110)는 고주파 유도코일 L1, L2, 고주파 다이오드 D 및 고주파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유도코일 L1은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일정한 주파수의 전자파를 유도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한다.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 L1에 유도되는 전자파는 아날로그/디지털 방식의 CDMA 단말기의 경우 800MHz 대역의 전자파이고, PCS 단말기의 경우 1.7 ~ 1.8GHz 대역의 전자파이다.
아날로그/디지털 방식의 CDMA 단말기의 경우 송신주파수는 824 ~ 849 MHz 이고, 수신주파수는 869 ~ 894 MHz 이다. PCS 단말기의 경우 송신주파수는 1.75 ~ 1.78 GHz 이고, 수신주파수는 1.84 ~ 1.87 GHz 이다.
고주파 다이오드 D는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 L1에 의해 발생된 유도전류를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의 출력전압은 - 3 V ~ + 3 V이다.
고주파 커패시터 C 및 고주파 코일 L2는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의 출력전압의 파형을 안정화하는 공진기를 구성한다. 상기 공진기에 의해 안정화된 출력전압은 발광 다이오드 점멸부(310)에 인가된다.
LED1 및 LED2는 동일한 색깔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 또는 각각 다른 색깔의 빛을 발생하는 발광 다이오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호출/통화표시 장치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송수신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함으로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중이거나 또는 통화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미리 설정한 순서에 따라 점멸함으로서, 다양한 색깔의 빛을 순차적으로 발생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중이거나 또는 통화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동전원 없이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호출신호를 수신중이거나 또는 통화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Claims (7)

  1. 전자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출/통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발생부; 및
    상기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점멸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부는 상기 전자파에 응답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고주파 유도코일;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캐소드에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고주파 다이오드 D1;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에 캐소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애노드에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고주파 다이오드 D2; 및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1의 캐소드와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 D2의 애노드에병렬 연결되어 출력전압을 안정화하여 공급하는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복수이고,
    상기 점멸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하도록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상기 점멸 제어부 사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휘도를 보정하는 반고정 저항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적어도 하나의 청색 발광 다이오드;
    적어도 하나의 적색 발광 다이오드; 및
    적어도 하나의 녹색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
  6. 전자파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호출/통화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및
    일정 주파수의 전자파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 발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발생부는 상기 전자파에 응답하여 유도전류를 발생하는 고주파 유도코일 L1;
    상기 고주파 유도코일 L1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유도전류를 이용하여 캐소드에 일정 전압을 발생하는 고주파 다이오드;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의 캐소드와 연결된 고주파 커패시터; 및
    상기 고주파 다이오드의 애노드와 상기 고주파 커패시터 사이에 연결된 고주파 유도코일 L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통화표시 장치.
KR1020000064205A 2000-10-31 2000-10-31 호출/통화표시 장치 KR200200339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205A KR20020033945A (ko) 2000-10-31 2000-10-31 호출/통화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205A KR20020033945A (ko) 2000-10-31 2000-10-31 호출/통화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945A true KR20020033945A (ko) 2002-05-08

Family

ID=19696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205A KR20020033945A (ko) 2000-10-31 2000-10-31 호출/통화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39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29B1 (ko) * 2005-09-13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발생 장치와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940A (ja) * 1997-01-09 1998-07-31 Takeo Naganuma 携帯電話機の表示装置
KR19990019258U (ko) * 1997-11-18 1999-06-15 김영기 이동통신기기의 호출/통화 표시회로
KR200186722Y1 (ko) * 1999-08-30 2000-06-15 이진호 휴대전화기용 발광 액세서리 회로구조
KR20000042568A (ko)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휴대폰의 발광표시장치
KR20000019958U (ko) * 1999-04-23 2000-11-25 박상호 이동통신기기의 무전원 발광 다이오드
KR20010090302A (ko) * 2000-03-24 2001-10-18 이현준 이동통신단말기 수신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0940A (ja) * 1997-01-09 1998-07-31 Takeo Naganuma 携帯電話機の表示装置
KR19990019258U (ko) * 1997-11-18 1999-06-15 김영기 이동통신기기의 호출/통화 표시회로
KR20000042568A (ko) * 1998-12-26 2000-07-15 전주범 휴대폰의 발광표시장치
KR20000019958U (ko) * 1999-04-23 2000-11-25 박상호 이동통신기기의 무전원 발광 다이오드
KR200186722Y1 (ko) * 1999-08-30 2000-06-15 이진호 휴대전화기용 발광 액세서리 회로구조
KR20010090302A (ko) * 2000-03-24 2001-10-18 이현준 이동통신단말기 수신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29B1 (ko) * 2005-09-13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력 발생 장치와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75926B (zh) 發光二極體系統
US20070139316A1 (en) Led module with integrated controller
EP2219418A2 (en) LED illumination device
AU749391B2 (en) Mobile telephone set
KR20020033945A (ko) 호출/통화표시 장치
US6791276B2 (en) Gradually lighting/dimming wireless transmission indicator lamp
JP6593694B2 (ja) 可視光通信装置、及び、可視光通信装置の製造方法
CN216772389U (zh) 一种具有激光识别、旋钮控制和触摸屏的手持电子终端
CN107846751B (zh) 带有信号编辑功能的照明设备、照明系统及电子设备
WO1985003795A1 (en) Data display apparatus
CN210431961U (zh) Led灯恒功率控制装置
CN207652729U (zh) 带有信号编辑功能的照明设备及照明系统
CN207652744U (zh) 带有发光调制功能的照明设备及照明系统
CN107835552B (zh) 带有发光调制功能的照明设备、照明系统及电子设备
CN217936034U (zh) 一种障碍灯控制装置
KR1006326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lcd 백라이트 색상 조절장치
US20030095086A1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driving a set of at least one light-emitting diode
KR200244880Y1 (ko) 발광형 이동 통신 단말기 부가 장치
CN113301684B (zh) Led控制电路
JPH01218130A (ja) 無線装置の電源表示方式
CN215300970U (zh) 一种带拨码开关的调光模块
KR100425704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200191207Y1 (ko) 휴대용 통신기기의 착신신호 경보장치
JP2000332299A (ja) Ledの階調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25755Y1 (ko) 플래시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