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648Y1 - Sink - Google Patents

S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648Y1
KR200171648Y1 KR2019970039680U KR19970039680U KR200171648Y1 KR 200171648 Y1 KR200171648 Y1 KR 200171648Y1 KR 2019970039680 U KR2019970039680 U KR 2019970039680U KR 19970039680 U KR19970039680 U KR 19970039680U KR 200171648 Y1 KR200171648 Y1 KR 200171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sink
flange portion
artificial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68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27099U (en
Inventor
신용식
Original Assignee
신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식 filed Critical 신용식
Priority to KR2019970039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648Y1/en
Publication of KR199900270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09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64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47B77/022Work tops
    • A47B2077/025Fixing means therfore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싱크 보울 고정구조에서는 합판으로 되는 바탕판과 그 상면에 접합되는 미장판의 사이에 방수용 수지가 충전되고 미장판과 방수용 수지에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이 천공되며 방수용 수지의 저면에 싱크 보울이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하는 것으로 방수용 수지와 플랜지부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물이 스며들어 합판으로 된 바탕판을 부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플랜지부가 판스프링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에 따라 싱크 보울과 상판간의 결합력이 약화되면서 플랜지부와 방수용 수지 사이의 틈새가 더욱 벌어지면서 이 틈새를 통한 침수에 의한 바탕판의 부식을 더욱 심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합판으로 되는 바탕판의 통공 내측 가장자리와 바탕판의 상면에 접합되는 미장판의 사이에 인조석판을 접합하며 미장판과 인조석판에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을 형성하고 플랜지부를 인조석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하여 침수에 의한 바탕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랜지부가 바탕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보강판에 나사체결되는 조임나사에 의하여 인조석판의 저면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방수 효과가 지속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In the conventional sink bowl fixing structure, the waterproofing resin is filled between the base plate made of plywood and the plastering board bonded to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plastering plate and the waterproofing resin are perforated with holes through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of the sink bow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nk bowl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ink to corrode the base plate made of plywood due to water seep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waterproof resin and the flange portion, and the flange portion is fixed by the leaf spring. A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ink bowl and the top plate is weakened according to the use, the gap between the flange portion and the waterproofing resin becomes wider and the corrosion of the base plate due to the inundation through the gap becomes more serious. The present invention joins the artificial stone plate between the inner edge of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late made of plywood and the plaster plate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forms the through hole coinciding with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ink bowl. By fixing the flange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base plate due to immersion, as well as by the fastening screw screwed into the reinforcement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By keeping the bottom close, the waterproof effect lasts even if used for a long time.

Description

싱크대sink

본 고안은 싱크대(Sink臺)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대를 구성하는 상판을 구성하는 상판에 싱크 보울(Bowl)을 고정 부착하는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Si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k for fixing the sink bowl (Bowl) to the top plate constituting the top plate constituting the sink.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싱크대 함체와, 이 싱크대 함체의 상판 하부에 설치되는 싱크 보울로 구성된다.Generally, a sink consists of a sink enclosure and a sink bowl installed below the upper plate of the sink enclosure.

상기 싱크대 함체는 그 상판이 주방일을 하는 데 편리한 높이를 유지함과 아울러 싱크 보울에 연결된 배수관 등을 감춤으로써 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며, 또한 그 내부에 필요한 주방 용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sink housing is to keep the height of the top plate is convenient for doing the kitchen work, and to avoid damaging the appearance by hiding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ink bowl, and to accommodate the necessary kitchen utensils therein.

상기 상판은 조리 등을 위한 음식물의 세척이나 설거지를 할 때 음식물 재료나 그릇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top plate is for providing a place where food ingredients or dishes can be placed when washing or washing dishes for cooking or the like.

특히 싱크 보울은 싱크대의 본연의 목적인 세척이나 설거지를 위한 음식물 재료나 그릇 및 물을 받아내는 것으로서 함몰부와 이 함몰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다.In particular, the sink bowl is composed of a recess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t the upper edge of the recess as receiving a food material, a bowl, and water for washing or washing dishes, which is a purpose of the sink.

상기 싱크 보울을 상판에 형성된 통공의 직하방에 함몰부가 위치하는 상태로 상판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다.The sink bowl is fixedly attached to the top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depression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op plate.

싱크 보울은 개숫물 등을 받음과 아울러 다닥 중앙에 배수구가 형성된 함몰부와 이 함몰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며, 그 함몰부가 싱크대 함체의 상판에 형성된 통공의 직하방에 위치하는 상태로 상판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다.The sink bowl is composed of a recessed part having a drain hole at the center of the dam and a flange portion extending outwardly at the upper edge of the recessed part, the recess being located directly below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plate of the sink housing. It is fixed to the top plate in the state.

이러한 싱크대는 상판에 대한 싱크 보울의 부착 방법에 따라 오버 타입(Over type)과 언더 타입(Under type)이 있다.Such sinks are classified into an over type and an under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attaching the sink bowl to the top plate.

오버 타입 싱크대는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저면을 상판에 천공된 통공의 내측 가장자리 상면에 걸쳐지게 고정 부착함과 아울러 함몰부가 통공을 통해 상판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고, 언더 타입은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상면을 상판의 저면에 고정 부착하는 것이다.The over type sink is to securely attach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ink bow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edge of the through-hole perforated on the top plate, and the recessed portion to be positioned below the top plate through the through hole. This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top plate.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언더 타입 싱크대를 도시하는 것으로, 함체(1)의 상판(2)에 천공된 통공(3) 직하방에 싱크 보울(4)의 함몰부(4a)를 위치시키고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를 상판(2)의 통공(3) 가장자리 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판(2)의 저면에 그 외측단부가 나사못(6)으로 고정되는 판스프링(5)의 내측단부를 플랜지부(4b)의 저면에 탄성 접촉시켜 플랜지부(4b)의 상면이 판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판(2)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1 to 3 show a conventional under-type sink, in which a sink 4a of the sink bowl 4 is placed under the through-hole 3 perforated in the upper plate 2 of the enclosure 1 and sinked. The leaf spring 5 whose outer e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2 with the screw 6 while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bowl 4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3 of the upper plate 2. The inner end portion of the flange portion 4b is elastically contact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b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b is fix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2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5.

상기 상판(2)의 통상적으로 합판으로 이루어지는 바탕판(2a)과 이 바탕판(2a)의 상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미장판(2b)으로 구성된다.It consists of a base plate 2a usually made of plywood of the top plate 2 and a plastering plate 2b bond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a with an adhesive to enhance its appearance.

이러한 종래의 싱크대에서 상판(2)을 구성하는 바탕판(2a)과 미장판(2b)에 통공(3a,3b)을 천공함에 있어서 바탕판(2a)에 천공되는 통공(3a)과 미장판(2b)에 천공되는 통공(3b)을 같은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내측 가장자리가 일치되는 상태로 하고 상기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 내측 가장자리가 통공(3a)(3b)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상태로 고정 부착하였을 경우 바탕판(2a)의 통공(3a) 내측 가장자리와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틈새로 물이 스며들게 되며, 스며든 물이 합판으로 된 바탕판(2a)을 부식시키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ink, through holes 3a and 3b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2a and the plaster plate 2b constituting the top plate 2, the through hole 3a and the plaster plate A through hole 3b drilled in 2b) is formed in the same size and shape so that the inner edge thereof coincides, and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is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3a and 3b. When fixedly attached to the edge, water penetrates into the gap between the inner edge of the through hole 3a of the base plate 2a and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and the water soaked in plywood Corroded the base plate 2a.

따라서 종래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판(2a)의 통공(3a)을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 내측 가장자리보다 넓은 면적으로 가지도록 형성하고 미장판(2b)의 통공(3b)을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하고, 바탕판(2a)의 통공(3a) 내측 가장자리와 미장판(2b)의 통공(3b) 내측 가장자리에 이르는 범위에서 미장판(2b)의 저면에 에폭시 수지 등의 방수용 수지(7)를 채워 이 방수용 수지(7)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하여 한정되는 통공(7a)을 미장판(2b)의 통공(3b)과 일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물이 바탕판(2a)측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through hole 3a of the base plate 2a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and the plasterboard 2b. ) Is formed into a size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and the inner edge of the through hole 3a of the base plate 2a and the through plate 2b. (3b) The through hole 7a defined by the inner edge of the waterproof resin 7 is filled with a waterproof resin 7 such as an epoxy resin on the bottom of the plasterboard 2b within a range of the inner edge of the plasterboard 2b. By coinciding with the through hole 3b of), water is prevented from seeping into the base plate 2a side.

이를 위한 상판(2)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판으로 된 바탕판(2a)에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 외측 가장자리보다 넓은 면적의 통공(3a)을 천공하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판(2a)의 상면에 멜라민 판재로 된 미장판(2b)을 그 내측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적이 상기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적보다 작은 상태로 접착하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탕판(2a)의 통공(3a) 내측과 미장판(2b)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의 범위에서 미장판(2b)의 저면에 에폭시 수지 등의 방수용 수지(7)를 충전하고 이 방수용 수지(7)가 응고된 후에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장판(2b)의 내측 가장자리 일부와 방수용 수지(7)의 일부를 절단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3a)(7a)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In manufacturing the top plate 2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4a, a through hole 3a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is formed in the base plate 2a made of plywood. As shown in FIG. 4B, the planar surface of which the plasterboard 2b made of melamine shee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2a by the inner edge thereof has an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Adhesion in a state smaller than the planar area formed by, and as shown in Figure 4c of the plastering plate (2b) in the range between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3a) of the base plate (2a) and the inner edge of the plastering plate (2b) After filling the bottom surface with a waterproofing resin 7 such as an epoxy resin and solidifying the waterproofing resin 7, as shown in FIG. 4D, a part of the inner edge of the plasterboard 2b and a part of the waterproofing resin 7 are cut off. Finally, the insid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Through holes (3a) (7a) corresponding to the edge to so that the formation.

이와 같이 통공(3a)(3b)(7a)을 가지는 상판(2)이 완성되는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를 통공(3a)(3b)(7a)의 가장자리 외측 저면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판스프링(5)의 내측단을 플랜지부(4b)의 저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판스프링(5)을 나사못(6)에 의하여 상판(2)의 저면, 즉 바탕판(2a)의 저면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싱크 보울(4)이 판스프링(5)을 통하여 상판(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in which the top plate 2 having the through holes 3a, 3b, and 7a is complete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utside the edges of the through holes 3a, 3b, and 7a.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2, ie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2a by means of the screw 6, in the state in which the inner end of the leaf spring 5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4b. By fixing to the sink bowl (4) is to be fixed to the upper plate (2) through the leaf spring (5).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싱크대에서는 에폭시 수지로 된 방수용 수지(7)를 주입한 후 경화될 때까지 4∼5시간이 소요되어 제작 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ink, it takes 4 to 5 hours to harden after injecting the waterproof resin 7 made of epoxy resin,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time becomes very long.

또한 바탕판(2a)과 미장판(2b)사이로의 물과 이물질의 침입은 에폭시 수지(7)에 의하여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를 판스프링(5)에 의하여 에폭시 수지로 된 방수용 수지(7)의 저면에 밀착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싱크 보울(4)의 플랜지부(4b)상면과 방수용 수지(7)의 저면 사이의 틈새가 완전히 차단되지 않아 이 부분을 통하여 침입한 물이나 이물질이 방수용 수지(7)의 외측으로 흘러들어 도 3의 "가"부분에서 바탕판(2a)의 부식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though the ingress of water and foreign matter between the base plate 2a and the plastering plate 2b can be prevented to some extent by the epoxy resin 7,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may be plate spring 5 Because the structur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waterproof resin 7 made of epoxy resin, the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4b of the sink bowl 4 and the bottom of the waterproof resin 7 is not completely blocked. Water or foreign matter penetrated through the outside flows to the outside of the waterproof resin 7 has a problem that causes corrosion of the base plate (2a) in the "ga" part of FIG.

또한 종래에는 싱크 보울(4)을 판스프링(5)의 탄성력에 의하여 고정지지하는 것이므로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않아 싱크 보울(4)이 상판(2)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될 염려가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the sink bowl 4 is conventionally fixed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eaf spring 5, so that the sink bowl 4 is not firmly fixed, so that the sink bowl 4 may be detached from the top plate 2 arbitrarily.

또한 방수용 수지(7)가 상기 통공(3a)(3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 방수용 수지(7)로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는 흑색의 단일 색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판(2)을 구성하는 미장판(2b)과 색상을 일치시킬 수 없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waterproofing resin 7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s 3a and 3b. The epoxy resin used as the waterproofing resin 7 has a single black color, and thus a plastering plate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2 (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quality can not be matched with the color 2b).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이나 이물질의 침입을 확실하게 차단하여 상판을 구성하는 합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liably block the ingress of water or foreign matter to prevent corrosion of the plywood constituting the top plat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싱크 보울이 상판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지지되도록 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sure that the sink bowl is firmly supported without any detachment from the top plate.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판에 천공되는 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의 색상을 미장판과 일치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일층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quality of the product further enhanced by allowing the color of the inner edge of the through-hole perforated on the top plate to match the plasterboard.

제 1도는 종래 싱크대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nk.

제 2도는 제 1도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 3도는 제 2도의 "B"부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 portion of FIG.

제 4도는 종래 싱크대 상판의 제조 공정도.4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conventional sink top plate.

제 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를 보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a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 6도는 제 4도의 "C"부 확대 단면도.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C” of FIG. 4.

제 7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 상판의 제조 공정도.7 is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ink top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상판 11 : 바탕판10: top plate 11: the base plate

12 : 미장판 13 : 인조석판12: Plastering board 13: artificial stone plate

11a, 12a, 13a : 통공 14 : 단턱홈11a, 12a, 13a: through hole 14: step groove

15 : 공간부 16 : 보강판15: space portion 16: reinforcement plate

17 : 나사못 18 : 조임나사17: screw 18: tightening screw

20 : 싱크 보울 22 : 플랜지부20: sink bowl 22: flange portion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공이 형성된 상판의 하부에 싱크 보울을 결합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이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외측 가장자리보다 큰 통공이 형성된 바탕판과 상기 바탕판의 통공 가장자리 상면에 형성되는 단턱홈에 접착되어 그 상면이 바탕판의 상면과 일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된 인조석판과 상기 바탕판과 인조석판의 상면에 접착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된 미장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탕판의 통공과 인조석판의 통공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공간부에서 인조석판의 저면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탕판의 저면에 보강판의 외측단이 고정되며, 상기 보강판의 내측단에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을 상방으로 조이는 조임나사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nk that combines the sink bowl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is formed through the hole, the upper plate is formed on the base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edge of the base plate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ink bowl It is bonded to the stepped groove is formed,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ficial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artificial hole formed in the through hole coinciding with the inner edge of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and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Consists of a plasterboard formed with a matching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late and the hol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the flange portion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in the space por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The outer end of the reinforcement plate is fixed, and tighten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upward on the inner end of the reinforcement plate. It is provided with a sink characterized in that the tightening screw is fastened.

상기 인조석판의 저면과 바탕판의 단턱홈 상면, 상기 인조석판의 저면과 플랜지부 상면은 각각 인조석재 접착 전용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epped groove of the base pl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re bonded by an artificial stone adhesive glue.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의 일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싱크대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 단면도이다.5 and 6 show an embodiment of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n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C" portion of FIG.

도 5 및 도 6에서 10은 싱크대 함체(1)(도 1 참조)의 상판으로서 바탕판(11)과, 이 바탕판(11)의 상면에 접합되는 미장판(12) 및, 바탕판(11)과 미장판(12)의 사이에 접합되는 인조석판(13)으로 구성된다. 또한 20은 싱크 보울로서 음식물 재료나 그릇 및 물을 담기 위한 함몰부(21)와 이 함몰부(21)의 상단 가장자리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부(22)로 구성된다.5 and 6 to 10 show the base plate 11 as the top plate of the sink housing 1 (see FIG. 1), a plasterboard 12 bonded to the top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nd the base plate 11. ) And an artificial stone plate 13 joined between the plasterboard 12. In addition, 20 is a sink bowl, which is composed of a recess 21 for containing a food material, a bowl, and water, and a flange 22 extending outward from an upper edge of the recess 21.

상기 바탕판(11)으로서는 합판이 사용되며, 미장판으로서는 멜라민 판재가 사용되고, 인조석판(13)은 'Solid Surface Veneer'라고 하는 판재가 사용된다.Plywood is used as the base plate 11, melamine plate is used as a plasterboard,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is a plate called 'Solid Surface Veneer'.

상기 바탕판(11)에는 상기 싱크 보울(20)의 플랜지부(22) 외측 가장자리보다 큰 통공(11a)이 형성되고, 미장판(12)과 인조석판(13)에는 상기 싱크 보울(20)의 플랜지부(22)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12a)(13a)이 천공된다.The base plate 11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1a larger than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22 of the sink bowl 20, and the plasterboard 12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of the sink bowl 20 Through holes 12a and 13a coincident with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22 are drilled.

상기 바탕판(11)과 인조석판(13)은 바탕판(11)의 통공(11a)측 상면에 단턱홈(14)을 형성하고 이 단턱홈(14)에 물에 강한 인조석판(13)을 인조석재 전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것에 의하여 바탕판(11)의 상면과 인조석판(13)의 상면이 일치하도록 구성된다.The base plate 11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forms a stepped groove 14 in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a side of the base plate 11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resistant to water in the stepped groove 14. It is compris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may match by bonding using the adhesive agent for artificial stone.

상기 바탕판(11)의 통공(11a) 가장자리와 상기 인조석판(13)의 내측 가장자리 사이에는 상기 싱크 보울(20)의 플랜지부(22)가 위치하는 공간부(15)가 형성된다.Betwee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a of the base plate 11 and the inner edg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a space 15 in which the flange portion 22 of the sink bowl 20 is located is formed.

상기 싱크 보울(20)의 플랜지부(22)는 공간부(15)에서 그 상면이 상기 인조석판(13)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The flange portion 22 of the sink bowl 20 is disposed in the space portion 15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상기 바탕판(11)의 저면에는 그 내측 단부가 적어도 상기 미장판(12) 및 인조석판(13)의 통공(12a)(13a)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거나 그 내측에 위치하는 보강판(16)이 고정된다. 상기 보강판(16)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도시례와 같이 나사못(17)을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인 못이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On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11, a reinforcing plate 16 whose inner end is at least coincident with or located inside the through-hole 12a, 13a of the plasterboard 12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is provided. It is fixed. As a method of fixing the reinforcing plate 16 may be fixed using a screw 17 as shown in the example, it may be fixed using a conventional nail or adhesive.

상기 보강판(16)의 내측단에는 선단부가 무딘 조임나사(18)가 체결되어 그 선단이 상기 플랜지부(22)의 저면을 상방으로 눌러서 플랜지부(22)의 상면이 상기 인조석판(13)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The inn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16 is fastened to the tightening screw 18 of the end portion is fastened to the upper end of the flange portion 22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flange portion 22 is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It is sup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상기 인조석판(13)의 저면과 바탕판(11)의 단턱홈(14) 상면, 상기 인조석판(13)의 저면과 플랜지부(22) 상면은 각각 인조석재 접착 전용 접착재(31)(32)에 의하여 접착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and the top surface of the stepped grooves 14 of the base plate 11,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and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2, respectively, the artificial stone adhesive dedicated adhesives 31 and 32 Is bonded.

상기 상판(10)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제 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판으로 된 바탕판(11)에 통공(11a)을 천공하고, 제 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1)의 저면에 단턱홈(14)을 형성하며, 제 7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턱홈(14)에 상기 인조석판(13)을 접착제로 접착하고, 제 7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0)과 인조석판(13)의 상면에 미장판(12)을 접착제로 접착하며, 제 7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장판(12)과 인조석판(13)의 내측 가장자리 일부를 절단하여 최종 미장판(12)과 인조석판(13)의 통공(12a)(13a)에 일치하도록 가공한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보강판(16)과 나사못(17) 및 조임나사(18)에 의하여 싱크 보울(20)을 상판(10)의 저면에 고정한다.In manufacturing the top plate 10, as shown in FIG. 7a, the through hole 11a is drilled in the base plate 11 made of plywood, and as shown in FIG. A jaw groove 14 is formed,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is adhered to the stepped groove 14 with an adhesive as shown in FIG. 7c, and the top plate 10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as shown in FIG. 7d. The plasterboard 12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13 with an adhesive, and as shown in FIG. 7E, the inner plaster of the plasterboard 12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is cut off, and the final plasterboard 12 and The process is performed to coincide with the through holes 12a and 13a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the sink bowl 2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by the reinforcing plate 16, the screw 17, and the tightening screw 18.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싱크대에서는 상판(10)을 구성하는 바탕판(11)에 접착된 인조석판(13)에 형성되는 통공(13a)과, 바탕판(11) 및 인조석판(13)의 상면에 접합된 미장판(12)에 형성된 통공(12a)이 바탕판(11)의 통공(11a)보다 작고 싱크 보울(20)의 플랜지부(22) 상단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조석판(13)과 상판(10), 미장판(12) 및 싱크 보울(20)의 플랜지부(22) 상면 사이에 인조석 접착용 전용 접착제(31)(32)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있으므로 싱크 보울(20)측에서의 물이 합판으로 된 바탕판(11)측으로 침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through hole (13a) formed in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bonded to the base plate 11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10, the base plate 11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The through hole 12a formed in the plasterboard 12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1 is smaller than the through hole 11a of the base plate 11 and is form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pper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22 of the sink bowl 20.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and the upper plate 10, the plastering plate 1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2 of the sink bowl 20 using an adhesive for adhesive bonding (31, 32) Therefore, the water at the sink bowl 20 side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submerged to the base plate 11 side made of plywood.

또한 싱크 보울(20)을 상판(10) 저면에 고정함에 있어서 바탕판(11)의 저면에 보강판(16)을 나사못(17)으로 고정하고 이 보강판(16)의 내측단에 나사체결되는 조임나사(18)의 선단에 의하여 플랜지부(22)를 상방으로 조이는 것에 의하여 플랜지부(22)의 상면이 인조석판(13)의 저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인조석판(13)의 저면과 플랜지부(22)의 상면 사이를 통한 침수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싱크 보울(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fixing the sink bowl 20 to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the reinforcing plate 16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11 with the screws 17 and screwed to the inn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16.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2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by tightening the flange portion 22 upward by the tip of the tightening screw 18, the bottom surface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inundation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22), and also to fix the sink bowl 20 more firmly.

또한 상판(10)을 구성하는 바탕판(11)의 상층에 미장판(12)과 인조석판(13)을 접합하며 이 미장판(12)과 인조석판(13)에 싱크 보울(20)의 플랜지부(22)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12a)(13a)을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 인조석판은 그 색상이 매우 다양하므로 마찬가지로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미장판과의 색상의 일치 또는 조화를 기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품질을 일층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aner of the sink bowl 20 is bonded to the plasterboard 12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13 on the upper layer of the base plate 11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10. By forming the through holes (12a) (13a) to match the inner edge of the branch 22, since the artificial stone plate is very diverse in color, it is possible to match or harmonize the color with the plasterboard having a variety of colors as well The qualit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상술한 제작 과정에서 경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에폭시 수지 등의 방수용 수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작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described above, production time is shortened because no waterproofing resin such as epoxy resin, which takes a long time for curing, is us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판을 구성하는 바탕판과 미장판 사이에 인조석판을 접합하고 이 인조석판의 저면에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상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와 상판 저면 간의 틈새를 통한 바탕판에의 침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판의 부식에 의한 싱크대의 수평 단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판을 구성하는 바탕판의 저면에 고정되는 보강판에 체결되는 조임나사에 의하여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저면을 인조석판의 저면에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이므로 상판에 대한 싱크 보울의 고정이 견고하게 되어 싱크 보울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경화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방수용 수지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방수를 확실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판을 구성하는 바탕판의 상측에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미장판과 인조석판이 접합되는 것으로서 그 통공을 통하여 노출되는 부위가 미장판과 인조석판으로 되므로 통공 내측 가장자리의 색상을 미장판과 일치시킬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일층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tificial stone plate is bond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plasterboard constituting the top plate, and the flange plate and the top plate of the sink bowl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submersion of the base plat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ottoms, which can prevent the horizontal shortening of the sink due to the corrosion of the top plate, and the tightening screw fasten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top plate. By fixing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ink bowl by pressing on the bottom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is fixed to the sink bowl to the top plate is effective to prevent any deviation of the sink bowl. 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reliably waterproof without using a waterproof resin that takes a long time to cure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reatly shorten the production time. The plasterboard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constituting the upper plate to match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of the sink bowl, and the part exposed through the hole becomes the plasterboard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The color can be matched to the plasterboard, which further enhances the quality of the product.

Claims (2)

통공이 형성된 상판의 하부에 싱크 보울을 결합한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상판이 싱크 보울의 플랜지부 외측 가장자리보다 큰 통공이 형성된 바탕판과 상기 바탕판의 통공 가장자리 상면에 형성되는 단턱홈에 접착되어 그 상면이 바탕판의 상면과 일치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된 인조석판과 상기 바탕판과 인조석판의 상면에 접착되며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치하는 통공이 형성된 미장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바탕판의 통공과 인조석판의 통공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공간부에서 인조석판의 저면에 접촉되게 배치되고, 상기 바탕판의 저면에 보강판의 외측단이 고정되며, 상기 보강판의 내측단에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을 상방으로 조이는 조임나사가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A sink in which a sink bowl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a top plate having a through hole, wherein the top plate is bonded to a base plate having a larger hole than an outer edge of a flange portion of the sink bowl and a stepped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edge of the base plate. It consists of an artificial stone plate that is coinciden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has a through hole coinciding with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and a plasterboard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and the artificial stone plate and has a hole coinciding with the inn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And a spac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plate and the through hol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the flange portion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in the space portion, and the outer end of the reinforcement plate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Tightening screw for faste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to the inner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is fastened Keuda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석판의 저면과 바탕판의 단턱홈 상면, 상기 인조석판의 저면과 플랜지부 상면은 각각 인조석재 접착 전용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The sink of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stepped groove of the base pl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artificial stone plat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re each bonded by an artificial stone adhesive.
KR2019970039680U 1997-12-23 1997-12-23 Sink KR2001716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680U KR200171648Y1 (en) 1997-12-23 1997-12-23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680U KR200171648Y1 (en) 1997-12-23 1997-12-23 Sin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099U KR19990027099U (en) 1999-07-15
KR200171648Y1 true KR200171648Y1 (en) 2000-03-02

Family

ID=1951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680U KR200171648Y1 (en) 1997-12-23 1997-12-23 S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64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835B1 (en) * 2001-01-19 2003-03-19 주식회사 보경실업 Structure for installing bowl in sink and method thereof
KR20170099620A (en) *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천일 Assembly Si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86852Y1 (en) * 2017-09-22 2018-07-06 주식회사 천일 Sink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099U (en)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1648Y1 (en) Sink
KR200198404Y1 (en) A structure for connecting top plate of a kitchen furniture
KR200200812Y1 (en) An upper plate of a sink-bowl treated with under treatment
CN112012427A (en) Artificial stone composite floor tile
JPS6025571B2 (en) Top plate with water tank
JPS605742B2 (en) Composite material board for furniture
JPH0141312Y2 (en)
JPH03890B2 (en)
JPS59165748A (en) Top plate
JPH033658Y2 (en)
KR100395125B1 (en) Bus floor with plywood water proof structure
JPS611741A (en) Top plate with ceramic water tank
JPS6023747B2 (en) How to install a ceramic washbasin
JPH0121296B2 (en)
CN210124608U (en) Electric heating kettle
JPH0243853B2 (en) SHINKUNOTORITSUKEHOHO
JPS6340899B2 (en)
JPS5952032A (en) Top plate with water tank
JPS6024222Y2 (en) Kitchen sink top plate
KR200190604Y1 (en) Sink fixing structure of sink unit
JPS62507Y2 (en)
KR200158214Y1 (en) Anti-deformation device of a television cabinet
JPS605106A (en) Attachment of decorative top plate and tab
KR200178212Y1 (en) Upper plate of sink
JPH01214627A (en) Setting configuration for kitchen furniture, et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