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117Y1 -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117Y1
KR200171117Y1 KR2019990019131U KR19990019131U KR200171117Y1 KR 200171117 Y1 KR200171117 Y1 KR 200171117Y1 KR 2019990019131 U KR2019990019131 U KR 2019990019131U KR 19990019131 U KR19990019131 U KR 19990019131U KR 200171117 Y1 KR200171117 Y1 KR 200171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home appliance
outlet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1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기
Original Assignee
이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기 filed Critical 이상기
Priority to KR20199900191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TV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플러그에서 가전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원 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전원플러그(20)에 스위치부(11)로 이루어져 콘센트(30)에서 가전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10)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센트에서 가전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구비하므로서 불필요한 전원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며, 기 생산되어 본 고안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콘센트결합단과 플러그결합단을 구비한 전원차단부를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에 꼽아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기 생산되어 전원플러그에 전원차단부가 구비되지 않은 가전제품도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Power plug of electric home appliances}
본 고안은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TV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플러그에서 가전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원 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는 전원을 온, 오프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가전제품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는 가전제품의 전원장치에서 주요구성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킨다 하여도 콘센트에서 전원장치 까지는 전원이 공급이 이루어져 불필요한 전력낭비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콘센트에서 전원장치까지로의 전원공급으로 인한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전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콘센트에 꼽혀 있는 전원플러그를 제거하기도 하나, 이와 같은 작업의 반복에 의하여 전원플러그 또는 콘센트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콘센트에서 가전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원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측 단면도.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차단부
11 : 스위치부
11a: 회동스위치 11b: 푸시버튼스위치 11c: 슬라이딩스위치
12 : 콘센트결합단 13 : 플러그결합단
14 : 전원발광부 15 : 표시부
20 : 전원플러그 30 : 콘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콘센트에서 가전제품으로의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전원플러그(20)에 콘센트(30)에서 가전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10)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전원차단부(10)에는 전원의 흐름을 온, 오프하는 스위치부(11)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원차단부(10)는 전원플러그(20)와 일체로 형성하여 실시할 수 도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전단에 콘센트(30)와 결합되는 콘센트결합단(12)을 돌출 형성하고, 후단에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단자가 결합되는 플러그결합단(13)을 요입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11)는 출력단자를 지점으로 회동되며 입력단자와 접점되는 스위치편과 상기 스위치편을 회동시키는 스위치레버로 구성된 회동스위치(11a)로 실시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는 푸시버튼에 의하여 승강되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온, 오프하는 스위치편으로 이루어진 푸시버튼스위치(11b)로 실시할 수 있는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온, 오프시키는 스위치편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위치(11c)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원차단부(10)에는 스위치부(11)의 온, 오프에 따라 점멸되는 전원발광부(14)를 구비하여 스위치부(11)의 온, 오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차단부(10)의 몸체에는 콘센트(30)에 꼽혀있는 가전제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제품명을 표기할 수 있도록 한 표시부(15)를 형성한 것으로, 상기 표시부(15)는 면상에 돌출 또는 요입되어 직접표기 또는 견출지를 붙일 수 있도록 형성하거나, 견출지를 옆에서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 있어서 전원플러그(20)에 전원차단부(10)가 일체로 구비된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가전제품 자체에 구비된 전원스위치를 오프한 후 전원플러그(20)를 콘센트(30)로부터 뽑지 않고 전원차단부(10)의 스위치부(11)를 오프하여 주므로서 콘센트(30)에서 가전제품으로의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전원차단부(10)가 전원플러그(20)에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단자에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콘센트결합단(12)을 돌출형성하고 플러그결합단(13)을 요입형성한 전원차단부(10)를 결합하여 콘센트(30)에 꼽아 사용하므로서 콘센트(30)에서 가전제품으로의 불필요한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원차단부(10)에 구비된 표시부(15)에 가전제품의 품명을 표기하므로서 스위치부(11)를 작동시 해당되는 가전제품을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콘센트에서 가전제품으로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를 구비하므로서 불필요한 전원공급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며, 기 생산되어 본 고안이 일체로 형성되지 않은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콘센트결합단과 플러그결합단을 구비한 전원차단부를 상기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에 꼽아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서 기 생산되어 전원플러그에 전원차단부가 구비되지 않은 가전제품도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콘센트로부터 전원플러그를 매번 빼지 않아도 되므로 전원플러그를 빼는 과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전원플러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원발광부를 구비하므로서 전원차단부 스위치부의 온, 오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한편, 전원차단부에 제품명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부를 구비하므로서 콘센트에 꼽혀 있는 전원플러글 통하여 가전제품의 품명을 용이하게 식별할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5)

  1. 전원플러그(20)에 스위치부(11)로 이루어져 콘센트(30)에서 가전제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전원차단부(10)를 전원플러그(20)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전원차단부(10)는 전단에 콘센트(30)와 결합되는 콘센트결합단(12)을 돌출 형성하고, 후단에는 전원플러그(20)의 플러그단자가 결합되는 플러그결합단(13)을 요입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
  4. 청구항 1 과 2 및 3 에 있어서, 전원차단부(10)에 스위치부(11)의 온, 오프에 따라 점멸되는 전원발광부(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
  5. 청구항 1 과 2, 3 및 4 에 있어서, 전원차단부(10)의 몸체에는 콘센트(30)에 꼽혀있는 가전제품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제품명을 표기할 수 있도록 한 표시부(1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전원플러그.
KR2019990019131U 1999-09-08 1999-09-08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 KR200171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131U KR200171117Y1 (ko) 1999-09-08 1999-09-08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131U KR200171117Y1 (ko) 1999-09-08 1999-09-08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117Y1 true KR200171117Y1 (ko) 2000-03-15

Family

ID=1958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131U KR200171117Y1 (ko) 1999-09-08 1999-09-08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1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04Y1 (ko) * 2007-11-02 2009-09-25 김규리 파워케이블
KR200452132Y1 (ko) 2008-05-15 2011-02-08 김석주 긴밀 접속 여부를 지시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콘센트및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104Y1 (ko) * 2007-11-02 2009-09-25 김규리 파워케이블
KR200452132Y1 (ko) 2008-05-15 2011-02-08 김석주 긴밀 접속 여부를 지시하는 led 램프를 포함하는 콘센트및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1789A3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AU1880197A (en) Vacuum cleaner with a motor casing
CA2369467A1 (en) Multiuse on/off switch for hazard detector
KR200171117Y1 (ko) 가전제품의 전원 플러그
KR20100000723U (ko) 회전식 온오프플러그
MY128767A (en) Socket device
KR200198494Y1 (ko) 전원 차단용 플러그
DE50112827D1 (de) Küchenmaschine
KR200401695Y1 (ko) 멀티탭
KR200256111Y1 (ko) 보풀 제거기
KR200310900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382283Y1 (ko) 2극 스위치가 부착된 멀티콘센트
KR200310899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236530Y1 (ko) 스위치 전기코드
CN2144551Y (zh) 电烙铁钳
CN211208280U (zh) 一种带灯光效果的功放按键
KR200310898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CN210111223U (zh) 电源插座
KR200311368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KR20000030154A (ko) 전원 차단용 플러그
KR200310902Y1 (ko) 절전형 멀티탭의 스위치 결선 구조
EP0817219A3 (en) Apparatus with safety device
KR200366397Y1 (ko) 2극 스위치가 부착된 전기기구 플러그
KR200185365Y1 (ko) 스위치 부착용 플러그
KR20110064908A (ko) 플러그 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