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73Y1 -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 Google Patents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73Y1
KR200170973Y1 KR2019970019383U KR19970019383U KR200170973Y1 KR 200170973 Y1 KR200170973 Y1 KR 200170973Y1 KR 2019970019383 U KR2019970019383 U KR 2019970019383U KR 19970019383 U KR19970019383 U KR 19970019383U KR 200170973 Y1 KR200170973 Y1 KR 200170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light
bulb
writing
light
ballpoint 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978U (ko
Inventor
방승호
Original Assignee
방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승호 filed Critical 방승호
Priority to KR2019970019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9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1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축식 볼펜과 손전등을 조합하여 야간근무자나 순찰자 및 야외에서 이용자에게 편이를 도모한 것으로서 볼펜 내부의 체결장치를 투명체로하고 외통내부를 반사체(알미늄피막이나 니켈도금)로 하여 후단부내부에 있는 전구의 빛을 광케이블 처럼 반사 및 투과하며 볼펜 내부를 통과하여 선단부에 도달하여 빛을 발하여 어두운 곳에서의 필기가 가능하며 손전등으로만 사용시에는 선단부의 필기부를 제어하여 후반부의 전구빛이 직접물체에 투사 되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본 고안은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에 관한 것으로 선단부에 필기부를 설치하고 후단부에 전구와 건전지를 내장한 손전등부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볼펜으로 사용하고 어두운 곳에서의 필기는 손전등부의 전구를 점등하여 사용하며 손전등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 필요할 시에는 선단부의 필기부를 옆으로 제어하여 전구빛이 직접 물체에 투사되도록 한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에 관한 것이다.
볼펜은 필기용구의 일종으로 펜 끝에 끼운 조그만 강철 알이 종이 따위와 마찰하는 대로 굴러서 펜대 안의 유성 잉크를 새어나오게 만든 볼펜심을 교체가능하게 결합하여 작동편의 작동에 의해 볼펜심을 외부로 돌출시켜 필기를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볼펜은 근래의 일반적인 경향인 1품종 다기능을 원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필기구로서의 기능에 다른기능을 추가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고 볼펜의 효용성을 높이도록 한 다기능 볼펜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볼펜에 전구와 건전지를 내장한 손전등부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볼펜으로 사용하고 어두운 곳에서의 필기는 손전등부의 전구를 점등하여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손전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볼펜의 기능을 다양화하도록 한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지는 본 고안은 필기부와 결합부재 및 손전등부들로 구성하되, 상기 필기부는 선단부의 일부를 투명체로 형성한 외통의 내면은 반사체로 하여 전구의 빛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 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걸림부 및 작동관은 투명체의 합성수지재로 형성하여 전구의 빛이 투과되도록 하고, 상기 손전등부는 중앙이 관통되어 그 내부에 건전지를 삽입할 수 있는 금속재인 몸통의 후단부 내측중앙에는 스프링을 내장하면서 몸통이 후단에는 클립이 일체인 금속재의 회전통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몸통의 내부에 삽입된 건전지의 전원이 스프링과 클립을 거쳐 지그재그형 도전부가 형성된 금속재의 접속링 및 금속재의 연결대를 경유하여 전구케이스의 내부에 삽입된 전구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전구케이스의 회전돌기에는 타측 내주면의 회전홈이 결합되며 내면에 반사체를 형성한 결합부재의 일측에는 연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외통의 타측에 형성한 연결돌기와 결합되도록 하여 손전등부 및 필기부가 일체로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필기를 가능하게 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손전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힌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손전등부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필기부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손전등부의 절개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필기부의 절개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손전등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필기부 3 : 외통
6 : 스프링 7 : 필기부재
10 : 체결부 20 : 걸림부
30 : 작동관 40 : 작동편
50 : 손전등부 51 : 몸통
54 : 회전통 55 : 접속링
60 : 전구케이스 70 : 결합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및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필기부(1)와 결합부재(70) 및 손전등부(50)들로 구성하되, 상기 필기부(1)는 선단부(2)의 일부늘 투명체로 형성한 외통(3)의 내면은 반사체로 하여 전구의 빛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타측에는 연결돌기(4)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선단부(2)의 통공(5)을 통해 일부가 돌출되며 스프링(6)의 탄성을 받는 필기부재(7)의 외면에는 스프링용 돌기(8)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에 형성된 장공(11)을 통과한 필기부재(7)의 스프링용 돌기(8)가 일측의 걸림홈(12)에 걸려 지지되는 투명체의 체결부(10) 타측에는 요철부(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한 나사부(14)에 내면의 나사부(21)가 결합되어 안정된 전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체의 걸림부(20)는 외통(3)의 내면과 접하면서 타측의 걸림돌기(22)가 걸림홈(23)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10)의 타측에 형성된 요철부(13)에 일측의 요철부(31)가 맞물려 밀어주면서 1/2 나사씩 회전하도록 하는 투명체의 작동관(30) 타측 외면에는 작동돌기(32)를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작동돌기(32)가 내부의 홈(41)에 끼워지는 투명체의 작동편(40)은 사람이 외면의 돌출부(42)를 밀어주도록 하고, 상기 손전등부(50)는 중앙이 관통되어 그 내부에 건전지(80)를 삽입할 수 있는 금속재인 몸통(51)의 후단부 내측중앙에는 스프링(52)을 내장하고, 상기 몸통(51)의 후단에는 클립(53)이 일체인 금속재의 회전통(54)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몸통(51)의 내부에 삽입된 건전지(80)의 전원이 스프링(52)과 클립(53)을 거쳐 지그재그형 도전부(57)가 형성된 금속재의 접속링(55) 및 금속재의 연결대(56)를 경유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전구(81)로 인가되도록 하고, 상기 몸통(51)의 일측에는 외주연에 회전돌기(61)를 형성한 전구케이스(60)를 사이에 연결대(56)를 위치시키면서 강제 삽입하여 결합하도록 하되 상기 전구케이스(60)의 내면은 반사체로 하여 전구의 빛이 반사되도록 하고, 상기 전구케이스(60)의 회전돌기(61)에는 타측 내주면의 회전홈(71)이 결합되며 내면에 반사체를 형성한 결합부재(70)의 일측에는 연결홈(72)을 형성하여 상기 외통(3)의 타측에 형성한 연결돌기(4)와 결합되도록 하여 손전등부(50) 및 필기부(1)가 일체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필기부재(7)를 내장한 필기부(1)와 전구(81) 및 건전지(80)를 내장한 손전등부(50) 및 상기 필기부(1)와 손전등부(50)를 연결해주는 결합부재(70)들로 구성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필기를 가능하게 하며 때로는 필요시에 비상용 전등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필기도구로 사용하기 위해 필기부재(7)를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작동편(40)의 돌출부(42)를 손끝으로 앞으로 밀면 작동관(30)이 체결부(10)를 걸림부(20)의 나사부(21)로부터 전진이탈시켜 1/2 나사씩 회전하도록 한다.
작동편(40)을 밀던 손끝을 놓으면 1/2 나사만큼 회전한 체결부(10)는 걸림부(20)의 나사부(21)로 들어가지 못하고 걸림턱(24)에 고정되어 필기부재(7)가 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필기도구로 사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시 필기부재(7)를 은폐시키기 위해서는 작동편(40)을 손끝으로 밀면 일설된 작동관(30)은 체결부(10)를 밀며 전진하고 이때 체결부(10)는 전진과 동시에 1/2 나사만큼 회전하여 걸림턱(24)으로부터 이탈하며 작동편(40)을 밀던 손끝을 놓으면 체결부(10)는 걸림부(20)의 홈속으로 들어가 작동편(40)이 후진하며 필기부재(7)도 은폐된다.
그리고 어두운 곳에서 필기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외주연에 회전돌기(61)를 형성하며 내부에 전구(81)가 삽설된 전구케이스(60)가 몸통(51)에 결합되고, 상기 몸통(51)의 내부에는 건전지가 전구와 연결되어 내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통(51)의 후단에 클립(53)이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통(54)을 회전시키면 클립(53)의 끝단이 이동하면서 지그재그형 도전부(57)에 접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클립이 도전부(57)에 접촉하게 되면 건전지(80)의 전원이 스프링(52)과 클립(53)을 거쳐 지그재그형 도전부(57)가 형성된 금속재의 접속링(55) 및 금속재의 연결대(56)를 경유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전구(81)로 인가되어 전구(81)를 점등시킨다.
점등된 전구(81)의 빛은 전구케이스(60) 및 결합부재(70)의 내면에 형성된 반사체에 반사되어 투명체인 작동관(30)과 걸림부(20) 및 체결부(10)를 통과하여 전진하게 되고, 이 빛은 다시 필기부(1) 외통(3)의 내면에 형성된 반사체에 반사되어 투명체인 외통(3)의 선단부(2)를 통해 밖으로 투사된다. 따라서 전구(81)의 빛은 볼펜의 내부를 통과하는 중에 반사체에 의해 외부로 손실됨이 없이 전진하여 볼펜의 선단부에서 투사되므로 광도가 떨어지지 않은 밝은 빛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필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볼펜을 순수한 손전등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통(54)을 회전시켜 전구(81)를 점등한 상태에서 한손으로 결합부재(70)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손전등부(50)를 잡은 후에 일측으로 구부리게 되면 결합부재(70)의 회전홈(71)에 결합된 전구케이스(60)의 회전돌기(61)를 축으로 하여 손전등부(50)가 회전하면서 전구케이스(60)의 끝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진다. 따라서 전구의 빛은 볼펜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물체에 투사되므로 순수한 손전등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가은 본 고안의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에 의하여서는 전구의 빛이 볼펜의 내부를 통과하는 중에 반사체에 의해 외부로 손실됨이 없이 전진하여 볼펜의 선단부에서 투사되도록 하여 광도가 떨어지지 않은 밝은 빛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필기를 할 수 있음은 물론 순수한 손전등으로 사용하여도 일반 손전등에 비하여 광도가 떨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전구를 내부에 설치하여 파손의 우려가 적고 소형 수은전지가 아닌 일반건전지(AAA)로 사용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필기부(1)와 결합부재(70) 및 손전등부(50)들로 구성하되,
    상기 필기부(1)는 선단부(2)의 일부를 투명체로 형성한 외통(3)의 내면은 반사체로 하여 전구의 빛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면서 타측에는 연결돌기(4)를 일체로 형성하고,
    중앙에 형성된 장공(11)을 통과한 필기부재(7)의 스프링용 돌기(8)가 일측의 걸림홈(12)에 걸려 지지되는 투명한 체결부(10) 타측에는 요철부(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1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한 나사부(14)에 내면의 나사부(21)가 결합되어 안정된 전후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투명체의 걸림부(20)는 외통(3)의 내면과 접하면서 타측의 걸림돌기(22)가 걸림홈(23)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부(10)의 타측에 형성된 요철부(13)에 일측의 요철부(31)가 맞물려 밀어주면서 1/2 나사씩 회전하도록 하는 투명체의 작동관(30) 타측 외면에는 작동돌기(32)를 일체로 돌출형성하고,
    상기 작동돌기(32)가 내부의 홈(41)에 끼워지는 투명체의 작동편(40)은 사람이 외면의 돌출부(42)를 밀어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KR2019970019383U 1997-07-23 1997-07-23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KR200170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83U KR200170973Y1 (ko) 1997-07-23 1997-07-23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383U KR200170973Y1 (ko) 1997-07-23 1997-07-23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78U KR19990005978U (ko) 1999-02-18
KR200170973Y1 true KR200170973Y1 (ko) 2000-03-02

Family

ID=1950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383U KR200170973Y1 (ko) 1997-07-23 1997-07-23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978U (ko)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459A (en) Clip-on penlight
US6632000B2 (en) Pen for receiving eyeglasses
US3045111A (en) Ball-point pen-light
US4890204A (en) Ball point pen with self-provided illuminator
US6830403B2 (en) Light-emitting pen with a light reflecting chamber
US2261320A (en) Flashlight pencil
US2979602A (en) Combination illuminated writing instrument and flashlight
US6439734B1 (en) Pen light
US6070992A (en) Laser pointer having replaceable self-storing parts
KR200170973Y1 (ko) 손전등을 겸한 신축식 볼펜
JP2004361955A (ja) バッテリ作動式の棒状のランプ
US2311439A (en) Flashlight device
US3604917A (en) Ballpoint pen light
US5483429A (en) Pen/hand torch combination device
US3333095A (en) Illuminated pen
CN218858020U (zh) 按压式圆珠笔
US3384742A (en) Ballpoint penlight
JP3096742U (ja) 筆記具
CA2455767C (en) Light-emitting pen with a light reflecting chamber
JP2005138571A (ja) 光ファイブァーエレクトリックライトペン
KR200402891Y1 (ko) 볼펜을 내장한 휴대용 전등
RU7766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окальной подсветки в условиях недостаточной освещенности
JPH1148684A (ja) 照明付きボールペン
JPH0211399A (ja) ペン先照明機能を備えた筆記具
CN2229356Y (zh) 电筒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