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961Y1 - 고압감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압감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961Y1
KR200170961Y1 KR2019970004328U KR19970004328U KR200170961Y1 KR 200170961 Y1 KR200170961 Y1 KR 200170961Y1 KR 2019970004328 U KR2019970004328 U KR 2019970004328U KR 19970004328 U KR19970004328 U KR 19970004328U KR 200170961 Y1 KR200170961 Y1 KR 200170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electric shock
high voltage
power
ampl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4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0297U (ko
Inventor
김헌욱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70004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96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02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02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감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AC 220V를 입력하는 증폭부와, 상기한 증폭부의 전원전압을 인가 받는 수치제어장치부와, 상기한 수치제어장치부에 인가한 전원을 입력하여 각 장치에 분배하는 분전반과, 상기한 분전반에 흐르는 고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회로(41)와, 상기한 유도회로(41)에 의해 유도된 고압의 유도전원을 증폭하는 증폭회로(42)와, 상기한 증폭회로(42)에서 출력한 신호로부터 고압감전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발생회로(43)와, 상기한 경고음발생회로(43)를 중지시키기 위해 스위칭 조작하는 고압감전방지회로(44)를 구성하여 수치제어기내에 고압이 인가될 때 경고음발생회로내의 부저동작하여 소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고압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고압감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압감전방지장치
본 고안은 고압감전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고압이 발생된 기계류에 사람이 접근할 경우 접근방지를 위해 경고에 관한 신호가 출력하도록 함으로서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고압감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에 연결된 기계류나 가정용 전자제품 등에는 고압을 방지하여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거나 고압에 의한 파손 및 과열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압안정회로를 연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여러 가지의 수평주파수가 입력되는 모니터에 구성하여 고압을 안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 번호 제90-4805호(공고 일자;서기 1990년 5월 31일)의 "과열방지 고압 안정화 회로"에서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고압 안정화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 종래의 과열방지 고압 안정화 회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발진부(1), 수평구동부(2), 수평출력부(3) 플라이백트랜스(FBT3), 부스트업회로(4) 및 증폭부(5)로 구성된 고압안정화 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평발진부(1)의 출력단을 연결한 주파수 변화 검출기(6)의 양 출력단에 트랜지스터(Q3, Q4)와 저항(R4~R6)으로 구성된 전원 스위칭 회로(7)와 트랜지스터(Q1, Q2) 저항(R1~R3)으로 구성된 전원 스위칭 회로(7)를 각각 연결하여 전원(B1)은 전원스위칭 회로(7)에 각각 연결하고 전원(B1)은 전원 스위칭 회로의 출력단과 플라이백트랜스(FBT2)의 일차측 코일에 연결하여서 수평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전원(B1~B3)을 다르게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종래의 기술은 플라이백트랜스(FBT2)의 일차측 코일로는 전원(B1)이 공급되어 수평 출력부(3)내 트랜지스터(Q5)의 온 오프에 따라 일정 고압을 고압단(H. V)으로 출력시킨다. 이때의 저고주파의 수평주파수가 수평동기 신호단으로 인가되면 주파수 변화 검출기(6)의 한 출력단에서는 하이 상태의 전압이 출력되고 이의 타 출력단에서는 로우 상태의 전압이 출력되므로 전원스위칭 회로(7)의 트랜지스터(Q3, Q4)는 차례로 온되고 전원스위칭 회로(7)의 트랜지스터(Q1, Q2)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저저주파에서 약간 높은 저고주파의 높은 주파수로 변화하는 수평주파수에 의해 발생하는 고압의 하강을 전원(B1)보다 높은 전원(B1)이 전원스위칭 회로(7)의 도통 트랜지스터(Q3)를 통해 플라이백트랜스(FBT2)의 일차측에 공급되므로 고압단에서는 계속해서 일정한 고압을 출력한다.
한편 최고주파의 수평주파수가 수평동기 신호단으로 입력되면 주파수 변화 검출기(6)의 양출력단 전압은 변화하지 않으므로 전원스위칭 회로(7)는 계속 구동하여 전원(B3)만이 플라이백트랜스(FBT2)에 공급되기 때문에 고압단의 고압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전기용품내에 있는 부스트업용 트랜지스터의 발열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만을 제거하고 있어 오동작 및 고장일 경우 사람의 신체가 접근하지 않도록 하는 안정장치 및 접근경고장치를 마련하지 않아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고압발생사고를 통해 인명사고를 발생하며 제품의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압이 발생된 기계류에 사람이 접근할 경우 접근방지를 위해 경고에 관한 신호가 출력하도록 함으로서 인명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1은 AC 220V를 입력하여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한 증폭부에서 출력한 전원전압을 인가 받는 수치제어장치부와, 상기한 수치제어장치부에 인가한 전원을 입력하여 각 장치에 분배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한 분전반에 흐르는 고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회로와, 상기한 유도회로에 의해 유도된 고압의 유도전원을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상기한 증폭회로에서 출력한 신호로부터 고압감전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발생회로와, 상기한 경고음발생회로를 중지시키기 위해 스위칭 조작으로 전원을 단선시키는 고압감전방지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2는 상기한 유도회로는 검지극에 닿는 순간 고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음극(-)측에 소정의 회수로 감아 연결하는 유도리드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과열방지 고압 안정화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감전방지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감전방지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수평발진부2 ; 수평구동부
3 ; 수평출력부4 ; 부스트업회로
5, 10 ; 증폭부6 ; 주파수변화 검출기
7 ; 전원스위칭 회로20 ; 수치제어기
30 ; 분전반40 ; 고압감전장치
41 ; 유도회로42 ; 증폭회로
43 ; 경고음발생회로44 ; 경고음중지회로
SCR1 ; 정류제어소자BZ ; 부저
SW ; 토글스위치C1, C2 ; 콘덴서
Q1 ; 증폭소자R1...R3 ; 저항
BT ; 배터리L ; 유도리드선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에 의한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감전방지장치의 전체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감전방지장치의 회로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도 2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C 220V를 입력하여 증폭하는 증폭부(10)와, 상기한 증폭부(10)에서 출력한 전원전압을 인가 받는 수치제어장치부(20)와, 상기한 수치제어장치부(20)에 인가한 전원을 입력하여 각 장치에 분배하는 분전반(30)을 구성한다.
상기한 분전반(30)에서 출력하는 전압을 감지하기 위해 전압을 유도하는 유도회로(41)는 저항(R1, R2)와 유도리드선(L)을 전등선 코드 주변에 소정의 횟수로 감을 수 있도록 연결구성한다.
상기한 유도회로(41)에서 출력한 고압을 입력하는 증폭회로(42)는 게이트를 입력단으로 하는 증폭소자를 연결하며 드레인단에는 저항(R3)를 연결하며 증폭소자의 출력단에는 콘덴서(C1)을 연결구성한다.
상기한 증폭회로(42)에서 도통된 고전압을 알리기 위한 경고음발생회로(43)는 증폭소자의 출력단에 다이오드(D1), 실리콘 제어 정류 소자(이하 SCR라 칭함)의 게이트단을 입력단자로 하며 애노드단에 부저(BZ), 콘덴서(C2)를 연결구성한다.
상기한 경고음발생회로(43)에서 출력하는 부저음을 중지하기 위해 부저(BZ)의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전원배터리(BT)의 양극단에 토글스위치(SW)를 연결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수치제어기를 작동하던 중에 발생하는 고압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2 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AC 220V 전압은 수개의 증폭부(10)를 통해 수치제어기(20)측으로 인가되면 분전반(30)을 수치제어기에 연결된 각 장치들에 전원을 골고루 분배하는 것이다.
이때, 분전반(30)의 고압감지는 유도회로(41)내의 저항에 도통되며, 고압이 음극에서 전등선 코드주변에 10회 이상 감아둔 유도리드선(L)에 인체 일부가 조금이라도 닿게 되면 접지(-)가 되어 상용전원의 유도전원을 도통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유도전원은 증폭회로(42)의 증폭소자(FET)의 입력단 케이트에서 안가된 입력값과 드레인에 연결된 저항을 통해 도통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증폭신호를 콘덴서(C1)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다.
경고음발생회로(43)에 입력된 고압은 증폭소자(FET)에서 출력한 고압을 SCR의 게이트에 입력하여 트리거시킴과 동시에 부저(BZ)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이다. SCR은 일단 트리거되어 도통되면 게이트 입력단에 트리거 신호가 없어도 애노드, 케소드는 도통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부저동작으로 경고음이 중단없이 계속 울리게 되는 것이다.
부저울림을 중지할 경우는 경고음중지회로(44)내의 토글스위치(SW)를 조작하여 전원배터리(BT)의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부저동작이 멈춰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은 수치제어기내에 고압이 인가될 때 경고음발생회로내의 부저동작하여 소음을 발생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고압에 의한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므로 고압감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AC 220V를 입력하여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한 증폭부에서 출력한 전원전압을 인가 받는 수치제어장치부와, 상기한 수치제어장치부에 인가한 전원을 입력하여 각 장치에 분배하는 분전반에 있어서, 상기한 분전반에 흐르는 고전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회로(41)와, 상기한 유도회로(41)에 의해 유도된 고압의 유도전원을 증폭하는 증폭회로(42)와, 상기한 증폭회로(42)에서 출력한 신호로부터 고압감전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고음발생회로(43)와, 상기한 경고음발생회로(43)를 중지시키기 위해 스위칭 조작으로 전원을 단선시키는 고압감전방지회로(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감전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유도회로(41)는 검지극에 닿는 순간 고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음극(-)측에 소정의 회수로 감아 연결하는 유도리드선(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감전방지장치.
KR2019970004328U 1997-03-10 1997-03-10 고압감전방지장치 KR200170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28U KR200170961Y1 (ko) 1997-03-10 1997-03-10 고압감전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4328U KR200170961Y1 (ko) 1997-03-10 1997-03-10 고압감전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97U KR19980060297U (ko) 1998-11-05
KR200170961Y1 true KR200170961Y1 (ko) 2000-03-02

Family

ID=1949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4328U KR200170961Y1 (ko) 1997-03-10 1997-03-10 고압감전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9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0297U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6423B1 (en) Soild state protection circuit for electrical apparatus
US65907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suppressing a parallel arc fault
US3697808A (en) System for monitoring chassis potential and ground continuity
US6499961B1 (en) Solid state liquid level sensor and pump controller
CN108631269A (zh) 用于谐振逆变器的智能电源模块
KR200170961Y1 (ko) 고압감전방지장치
KR200382405Y1 (ko) 전자파(전기장) 차단 맥류 직류 저전압 온도조절기
CN215375727U (zh) 安全检测装置以及电子设备
JP200614119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4600965B2 (ja) 電位治療器の電源装置
JP3545134B2 (ja) 電気加熱具の保安装置
KR200191604Y1 (ko) 전자파 차단 및 음이온 공기 청정기 복합 발열체의온도조절 장치
KR101833542B1 (ko) 자가진단과 과열방지 기능을 가진 온열 매트용 온도 조절기
CN220139222U (zh) 安全故障保护装置、电连接设备和用电器
JP3098863U (ja) 交流電源に接続する電気機器の保護システム
KR100920647B1 (ko) 과열방지 온도조절 회로 및 그 방법
JPH05133533A (ja) 暖房器具の故障監視装置
KR200218164Y1 (ko) 자동정지 기능을 가진 전자혼
JPH11122923A (ja) 雑音防止回路
KR200476400Y1 (ko) 발열장치의 이중 온도 제어회로
KR200321222Y1 (ko) 과전류 방지 장치
JPH03291885A (ja) 熱器具
KR200241732Y1 (ko) 공작기계의인버터상태검출회로
KR20140069821A (ko) 과전압 차단기능이 내장된 경음기
CN116598991A (zh) 安全故障保护装置、电连接设备和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