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618Y1 - 오일필터 - Google Patents

오일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618Y1
KR200170618Y1 KR2019990017752U KR19990017752U KR200170618Y1 KR 200170618 Y1 KR200170618 Y1 KR 200170618Y1 KR 2019990017752 U KR2019990017752 U KR 2019990017752U KR 19990017752 U KR19990017752 U KR 19990017752U KR 200170618 Y1 KR200170618 Y1 KR 200170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using
oil filter
filtration elemen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우산업
Priority to KR2019990017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6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Abstract

오일필터의 하우징에서 여과 엘리먼트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여과 엘리먼트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오일필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오일필터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주고 걸러진 오일을 순환 계통으로 유출하는 통로를 갖는 여과 엘리먼트와; 이 여과 엘리먼트의 하부 내측으로 위치하여 오일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작동하는 릴리이프 밸브와;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와 중심이 일치하는 선상에 뚫려진 구멍을 통하여 오일을 유출시키며, 또 다른 구멍을 통하여 오일 계통을 순환한 오일을 유입시키는 보강판과; 상기한 하우징과 보강판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오일필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하우징은 재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보강판의 직경은 하우징의 돌출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수단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한 체결수단은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일필터{Oil filter}
본 고안은 오일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필터의 하우징에서 여과 엘리먼트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여과 엘리먼트를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오일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은 수많은 마찰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마찰저항에 의해 엔진 출력이 크게 저하된다.
이러한 엔진 출력의 저하를 줄이기 위하여 각 마찰요소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엔진의 각 마찰요소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오일이 압력유체로 바뀌어야 하므로 엔진의 힘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오일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오일펌프는 엔진의 크랭크 케이스에 설치되어 이 케이스 내부에 담겨져 있는 오일을 실린더 내벽과 피스톤 외벽으로 공급하며, 일정한 통로를 통하여 실린더 상부에 위치하는 밸브 및 개폐수단까지 공급하게 된다.
이때, 각 마찰요소로 공급되는 오일은 상기한 마찰요소로부터 발생하는 금속분말이나, 기타 이물질을 크랭크 케이스로 이동시켜 상기한 마찰요소의 표면을 깨끗하게 하면서 윤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크랭크 케이스로 이동된 금속분말이나 이물질은 오일펌프가 구동시 다시 마찰요소로 펌핑되어 이동될 수 있으므로 오일펌프의 출구측에 금속분말이나 이물질을 필터링 하기 위한 오일필터를 설치하게 된다.
이 오일필터는 일정한 형상으로 제작된 엘리먼트가 대략 원통형상으로 설치되고, 이 엘리먼트의 중앙부분에 오일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오일필터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릴리이프 밸브를 설치하고 있다.
도 3은 종래의 오일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우징(70)과, 이 하우징(70) 내부에 수용되어 오일을 여과하는 여과 엘리먼트(72)를 갖는다.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72)는, 외주에 복수개의 오일 통과 구멍이 뚫려진 코어(74)와, 이 코어(74)의 외주에 위치되어 형상을 유지하면서 하우징(70)의 내벽과 약간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오일 여과지(76)를 포함한다.
상기한 코어(74)의 하부 내측으로는 오일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오일 흐름의 안정화 및 필터 전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릴리이프 밸브(78)가 설치된다.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72)는 그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캡(80)(82)이 씌워져 코어(74)의 외측에 밀착되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상부캡(80)은 가스켓(84)을 개재하여 보강판(86)에 눌려지는 상태로 배치되고 하부캡(82)은 써포트 탄성부재(88)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 오일필터가 오일공급라인에 긴밀히 설치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보강판(86)은 하우징(70)의 내벽에 접촉하는 상태로 위치되며, 이 하우징(70)에 고정되는 시밍(seaming) 캡(90)에 의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시밍 캡(90)과 하우징(70)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들 시밍 캡(90)과 하우징(70)의 끝단부는 걸려서 이탈되지 않도록 꺽어접는 시밍으로 결합되고, 상기한 시밍 캡(90)에는 절곡된 홈이 형성되어 패킹부재(92)가 안치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오일필터에 엔진오일이 통과하게 되면, 불순물이 함유된 오일이 오일 여과지(76)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한 오일 여과지(76)에 의하여 오일의 불순물이 여과되면서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여과된 오일은 코어(74)의 내부로 통하고, 이 오일은 챔버를 경유하여 각 기관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오일필터는 하우징(70) 내부에 여과 엘리먼트(72)를 개재한 상태에서 하우징(70)과 시밍 캡(90)의 끝단부를 서로 접어서 굽히는 시밍 방법으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오일필터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필터 전체를 교환하게된다. 즉, 하우징(70)과 보강판(86)의 분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때 교환된 오일필터는 필터 전체를 폐기 처리하게 되며 이러한 오일필터는 산업폐기물의 일부가 됨으로서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필터 제작시 하우징(70)과 시밍 캡(90)은 시밍방법으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시밍작업을 하기위한 별도의 지그가 필요하며, 시밍작업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하우징(70)과 시밍 캡(90) 접촉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시밍을 함으로서 작업이 번거롭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일체형으로 제작된 필터 전체를 교환하게됨으로서 필터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계속 사용하여도 무방한 부품까지 교체하여 부품 재활용을 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차량 소유자는 오일필터 교환에 필요 이상의 경비가 소요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에서 여과 엘리먼트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오일필터의 교환시 여과 엘리먼트를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음으로 오일필터의 교체 후 발생되는 부산물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정비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오일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주고 걸러진 오일을 순환 계통으로 유출하는 통로를 갖는 여과 엘리먼트와; 이 여과 엘리먼트의 하부 내측으로 위치하여 오일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작동하는 릴리이프 밸브와;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와 중심이 일치하는 선상에 뚫려진 구멍을 통하여 오일을 유출시키며, 또 다른 구멍을 통하여 오일 계통을 순환한 오일을 유입시키는 보강판과; 상기한 하우징과 보강판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오일필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하우징은 재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고, 보강판의 직경은 하우징의 돌출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체결수단으로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한 체결수단은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필터의 측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적용된 클램프의 평면도 및 일측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오일필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하는 오일필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부호2는 오일필터의 하우징을 나타낸다.
이 하우징(2)은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갖으며 소정의 강도를 갖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2)의 상측은 플랜지부(4)로 이루어지는데, 이 플랜지부(4)에는 홈(6)이 형성되고 상기한 플랜지부(4)에서 연장되는 턱부(8)가 도면에서 보아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하우징(2)의 플랜지부(4)에 형성된 홈(6)에는 실링부재(10)가 삽입되고, 그 윗면에는 윤활 계통을 순환한 오일이 유입되는 복수의 구멍(12)과 이물질이 걸러진 오일이 나가는 구멍(14)이 뚫려진 보강판(16)이 위치한다.
상기한 보강판(16)의 직경은 턱부(8)의 내경보다 적은 크기로 형성되어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이루어지며, 보강판(16)의 끝단부에는 걸림턱(17)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수단이 더욱 견고히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보강판(16)의 외측 하단부는 실링부재(10)와 면 접촉된 상태에서 하우징(2)의 플랜지부(4)에 보강판(16)이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보강판(16)의 윗면에는 이 보강판(16)에 고정 설치되는 시밍 캡(18)이 위치하는데, 이 시밍 캡(18)에는 절곡된 홈이 마련되어 오일필터와 이 오일필터가 장착되는 곳의 밀봉을 위한 패킹부재(2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오일필터의 하우징(2) 내측으로는 윤활 계통을 순환한 오일을 여과하는 여과 엘리먼트(22)가 수용된다.
이 여과 엘리먼트(22)는, 외주에 복수개의 오일 통과 구멍이 뚫려진 코어(24)와, 이 코어(24)에 위해 형상이 유지되면서 하우징(2)으로 유입된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오일 여과지(26)를 포함한다.
이들 코어(24) 및 오일 여과지(26)는 종래와 동일한 구성이거나 다른 구성의 것을 사용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22)는 그 상하단부에 각각 상하부캡(28)(30)이 씌워져 코어(24)의 외측에 밀착되는 상태로 보존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부 캡(28)은 가스켓(32)을 개재하여 보강판(16)에 눌려지는 상태로 배치되고, 하부캡(30)은 써포트 탄성부재(34)에 의하여 탄력 지지되어 오일필터가 오일공급라인에 긴밀히 설치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한 코어(24)의 하부 내측으로는 오일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오일 흐름의 안정화 및 필터 전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릴리이프 밸브(36)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오일필터는 상기한 하우징(2)과 보강판(16)이 체결수단에 의하여 분리 가능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체결수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장치 등에 사용하는 클램프(38)로 이루어지는데, 이 클램프(38)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원형의 형상을 갖추도록 된 복수의 몸체부(40a)(40b)와, 이들 몸체부(40a)(40b)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2)와, 이 연결부(42)와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상기한 몸체부(40a)(40b)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조임부(44)로 구성된다.
이 조임부(44)는 몸체부(40a)에 핀(46)을 통하여 힌지 결합되고, 다른 몸체부(40b)에 힌지 결합된 부재(48)에 힌지 결합되어 이 조임부(44)를 외측으로 젖히거나 내측으로 접게되면 상기한 몸체부(40a)(40b)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혀진다.
상기한 몸체부(40a)(40b)는 하우징(2)의 상측부분에 형성된 플랜지부(4)의 저면과 면 접촉되는 걸림턱(50)을 보유하며, 상측 끝단부에는 보강판(16)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걸림턱(17)에 걸려 보강판(16)이 하우징(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돌출부(52)가 갖춰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오일필터는 엔진 오일이 여과기를 통과하게 되면 불순물이 함유된 오일이 오일 여과지(26)의 외주면에서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 오일 여과지(26)에 의하여 오일의 불순물이 여과되면서 오일이 통과하게 된다.
오일 여과지(26)를 통과한 오일은 코어(24)를 통하고, 이 오일은 구멍(46)을 경유하여 각 기관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오일필터를 교환코자 할 때는, 클램프(38)에 형성된 조임부(44)를 외측으로 젖히게 되면 부재(48)가 세워지면서 몸체부(40a)(40b)의 사이를 띄우게 되므로 클램프(38)를 오일필터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된다.
그러면 클램프(38)에 의해 결합되어 있던 하우징(2)과 보강판(16)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여과 엘리먼트를 교환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일필터는 하우징에서 여과 엘리먼트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음으로 하우징은 재활용하고 여과 엘리먼트만을 교환할 수 있게되며 이에 따라 필터교환 비용이 절감되고 오일필터 정비 후에 발생하는 부산물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필터 제작시 시밍작업을 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가 필요치 않으며, 클램프로 용이하게 하우징과 보강판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작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7)

  1.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오일의 이물질을 걸러주고 걸러진 오일을 순환 계통으로 유출하는 통로를 갖는 여과 엘리먼트와; 이 여과 엘리먼트의 하부 내측으로 위치하여 오일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할 경우 작동하는 릴리이프 밸브와;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와 중심이 일치하는 선상에 뚫려진 구멍을 통하여 오일을 유출시키며, 또 다른 구멍을 통하여 오일 계통을 순환한 오일을 유입시키는 보강판과; 상기한 하우징과 보강판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오일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여과 엘리먼트는 하우징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과 보강판을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수단은 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프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부재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하여 원형의 형상을 갖추도록 된 복수의 몸체부와, 이들 몸체부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와 대응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된 상기한 몸체부를 조이거나 풀 수 있는 조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보강판의 직경은 하우징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턱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분해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의 상부에는 실링홈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은 합성수지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필터.
KR2019990017752U 1999-08-25 1999-08-25 오일필터 KR200170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52U KR200170618Y1 (ko) 1999-08-25 1999-08-25 오일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752U KR200170618Y1 (ko) 1999-08-25 1999-08-25 오일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0618Y1 true KR200170618Y1 (ko) 2000-02-15

Family

ID=19586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752U KR200170618Y1 (ko) 1999-08-25 1999-08-25 오일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6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8626A (en) Liquid filter
US8480892B2 (en) Oil filter, oil separator and filter insert thereof
US5688396A (en) Oil filter including an angled mounting surface
US6626299B1 (en) Environmentally friendly filter cartridge
US6347712B1 (en) Filter
US3724665A (en) Filter unit
US5702602A (en) Filter system with environmentally friendly filter cartridge
US5762788A (en) Fluid filter having a reusable filter housing and a replaceable coreless filter element
US7458468B2 (en) Fuel filter diverter
US5868932A (en) Fiber with reusable shell and center tube
US5053129A (en) Filter device
CZ294542B6 (cs) Filtr, zejména pro mazací olej spalovacího motoru
US20060118474A1 (en) Liquid filter
CN101257956A (zh) 用于液体的过滤器
US4976854A (en) Oil filter II
KR200446347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JP5033599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
US11351484B2 (en) Spin-on filter for suction-side and pressure-side applications in filtration systems
WO2008058643A1 (en) Filter cartridge assembly
KR200170618Y1 (ko) 오일필터
KR200170619Y1 (ko) 오일필터
EP0526932B1 (en) Disposable oil filter
CN114126739B (zh) 汽车用流体过滤器和流体过滤器用滤筒
KR20150113948A (ko) 오일 필터
JP4033739B2 (ja) フィル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