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47Y1 - 정수기용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347Y1
KR200446347Y1 KR2020080003468U KR20080003468U KR200446347Y1 KR 200446347 Y1 KR200446347 Y1 KR 200446347Y1 KR 2020080003468 U KR2020080003468 U KR 2020080003468U KR 20080003468 U KR20080003468 U KR 20080003468U KR 200446347 Y1 KR200446347 Y1 KR 200446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passage
conne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470U (ko
Inventor
권진철
Original Assignee
권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진철 filed Critical 권진철
Priority to KR2020080003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34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3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61Sp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를 정수기의 전방 또는 측면에서 교체토록 하여 상기 필터의 교체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정수기의 크기가 간소화되는 것을 유도하여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이며, 상기 필터의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정수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교체과정에서의 파손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이물질 등의 침투를 극렬 방지하기 위한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필터, 여과, 교체, 소켓, 필터장착, 필터분리

Description

정수기용 필터장치{EASY REPLACE UNIT}
본 고안은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의 교체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고, 필터의 교체 용이성을 확보하며,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한 정수기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정수대상 원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과 불순물 등 유해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과정을 경유하여 음용수 상태의 정수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정수기는 원수로부터 정수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필터장치를 장착하고 있는바, 상기 필터장치의 예로는 침전필터(Sediment filter)와 전카본필터(Pre-carbon filter), 역삼투막필터(Membrane filter), 후카본필터(Post-carbon filter) 등이 있으며 이 같은 필터장치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필터장치를 경유하여 정수한 물은 그대로 공급하기도 하지만 저수조에 저장한 후 공지의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하거나 공지의 가열장치를 통해 가열하여 냉수 또는 온수로 공급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대표적으로는 [문헌 1]에 게재되어 있는 바, 그 기술적 요지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필터의 설치를 위한 연결부재가 장착볼트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이 연결부재의 하부에 필터가 장착되며, 상기 필터는 연통부재에 의해 연결된 것을 볼 수 있다.
[문헌 1] KR 20-0403991 2005.12.09.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용 필터장치는 고정부재에 필터의 장착을 위한 연결부재가 장착볼트를 이용한 볼트체결방식으로 장착됨에 따라 필터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부에 별도의 작업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정수기의 크기가 대형화되고, 제품의 디자인 자유도를 크게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상기 필터는 연결부재의 하부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장착됨에 따라 필터의 잦은 교체시에는 연결부재의 나사산이 마모되어 누수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정수기 자체에 구비되는 모터나 펌프 또는 압축기 등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기타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필터가 쉽게 유동하여 정수성능을 저하함은 물론이고, 자칫 부품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필터의 교체가 전방 또는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정수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특히 필터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빈번한 교체 또는 자체 진동에 의한 내구성이 저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필터를 정수기의 전방 도는 측면에서 교체하여 작업성 개선과 정수기의 소형화를 위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터를 쉽고 간편하게 장착하고, 그 연결상태를 견 고하게 유지하여 정수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교체과정에서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이물질의 침투를 극렬 방지하기 위한 정수기용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정수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면에는 횡 방향으로 소켓지지대가 배열되고, 상기 소켓지지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걸림턱을 통해 소켓지지대에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힌지홀이 뚫어진 소켓과;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돌기가 양측에 형성되어 회동하며, 하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힌지돌기를 관통하는 입수통로 및 출수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통로와 연통하는 제1원수공급통로 및 상기 출수통로와 연통하는 제1정수배수통로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상기 입수통로 및 출수통로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수로가 일직선상으로 마련되어 원수는 급수하고 정수는 배수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며, 제1원수공급통로와 연통하는 제2원수공급통로 및 제1정수배수통로와 연통하는 제2정수배수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보조연결부재와;
상기 제2원수공급통로에 내장되어 승, 하강하며, 수압에 의한 하강시 제2원수공급통로를 차단하는 체크-핀과;
상기 연결몸체에 끼움 장착되도록 바닥판 및 이를 감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지 며, 상기 바닥판에는 유도장착구멍이 형성된 하부뚜껑과;
상기 하부뚜껑의 내부 바닥판에 분할 설치되어 회동하고, 일면에는 걸이홈 및 이 걸이홈과 인접하게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보조돌기가 형성되며, 상부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클립과;
상기 연결부에 밀어서 끼움 장착되도록 상단에 유도장착구멍을 통과하여 걸이홈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체크-핀을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가 형성되며, 이 누름부를 사이에 두고 제3원수공급통로 및 제3정수배수통로가 형성된 필터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필터의 교체가 정수기의 전방 또는 측면에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필터교체에 따른 작업성 개선과 정수기의 소형화를 위한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뚜껑, 클립 및 스프링을 통해 필터를 밀어서 끼워 장착하고, 회전 또는 다시 밀어서 분리하게 되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수명이 다한 필터를 교체할 수 있고, 특히 상기 클립 및 스프링을 통해 그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됨으로써, 정수기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력에 의한 교체과정에서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부커버 및 보조커버를 통해 필터의 교체과정에서 이물질 등의 침투를 극렬 방지하게 됨으로써, 위생상태가 저하하는 것을 예방하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실시 예를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정수기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플레이트에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플레이트의 전면에 형성된 소켓지지대에 소켓들이 결합되고, 이 소켓을 이용하여 연결몸체가 힌지 결합되며, 상기 연결몸체는 연결호스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몸체의 하부에는 필터와의 연결 및 장착을 위한 보조연결부재와 하부뚜껑이 장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움직임을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플레이트에 장착된 소켓을 이용하여 힌지 결합되는 연결몸체를 통해 필터가 장착되고 회동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연결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실시 예로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원수를 여과하고 여과된 정수를 배수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의 부분 연결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을 통한 필터의 장착과정을 순차도로 보인 것으로, 하부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클립을 이용하여 필터가 장착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회전하여 분리하는 것을 일부 확대하여 평면도로 보인 것으로, 클립에 결속된 필터를 회전하여 분리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밀어서 분리하는 것을 일부 확대하여 평면도로 보인 것으로, 클립에 결속된 필터를 다시 밀어서 분리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레이트(10)는 전면에 횡 방향으로 다수의 소켓지지대(11)가 배열되고, 이들 각 소켓지지대(11)의 안쪽에는 걸림턱(12)이 형성되어 제공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1)를 정수기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한 기본적인 구조물로써, 주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의 판재로 형성되며, 이 판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10)의 전면에는 걸림턱(12)을 갖는 소켓지지대(11)가 다수로 배열되어 제공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정수기와의 체결을 위한 장착구멍(13)이 다수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소켓지지대(11)에 걸림턱(12)을 이용하여 체결 고정되는 소켓(20)은 양측에 각각 체결돌기(21)가 돌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어 상기 체결돌기(21)를 상기 걸림턱(12)에 삽입하여 체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돌기(21)는 걸림턱(12)의 폭과 상응 또는 설계상의 오차범위 내에 형성되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약간 억지 끼워지도록 하여 체결상태가 헐거워져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소켓(20)에는 힌지홀(22)이 뚫어져 제공되며, 전면은 이 힌지 홀(22)과 동일 곡률로 형성하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는 연결몸체(30)의 원활한 움직임을 유도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몸체(30)는 소켓(20)에 형성된 힌지홀(22)에 삽입되는 힌지돌기(31)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홀(22)과의 힌지 결합시 전방으로 90°회동하게 되며, 하부에는 연결부(32)가 형성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홀(22)의 내경과 힌지돌기(31)의 외경에는 각각 제1,2맞물림돌기(23)(33)를 형성하되, 상기 제1,2맞물림돌기(23)(33)는 서로 엇갈리게 대칭 형성하여 연결몸체(30)의 반복적인 회동동작과정에서 소켓(20)으로부터 상기 연결몸체(30)가 예기치 않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결몸체(30)의 내부에는 도 2 또는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입수포트(34) 및 출수포트(35)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2)의 내부에는 입수포트(34)와 연통하는 제1원수공급통로(36) 및 상기 출수포트(35)와 연통하는 제1정수배수통로(37)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연결몸체(30)는 양측에 형성된 힌지돌기(31)를 통해 소켓(20)에 힌지 결합하게 되고, 필터(70)의 결합 또는 분리시에는 힌지홀(22)을 중심으로 전방 90°회동하여 상기 필터(70)의 교체에 필요한 정수기 내의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1)를 통해 정수기가 크기가 최소화되는 것은 상술한 연결몸체(30)가 소켓(20)의 힌지홀(22)을 중심으로 전방 회동하여 정수기의 전방 또는 측면에서 필터(70)를 분리하거나 결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되는 것 이다.
이러한 연결몸체(30)에는 전면이 필터(70)와 동일 곡률로 형성되고, 후방에는 연결몸체(30)에 걸림 고정되도록 걸림편(39)이 형성된 상부커버(38)가 장착되어 청결함이 극도로 요구되는 상기 연결몸체(30)의 내부에 오염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예방토록 하게 된다.
즉, 상기 상부커버(38)는 후방에 형성된 걸림편(39)을 통해 연결몸체(30)의 상부에 걸어서 장착되어 정수기 내부에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1)를 설치하는 과정이나 필터(70)의 교체시에 공기 중의 오염물질 등이 침투하여 오염시키는 것을 예방하고, 아울러 필터(70)와의 일체감을 통해 세련미를 느끼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호스(40)는 이와 같은 연결몸체(30)의 입수포트(34) 및 출수포트(35)에 연결되어 원수를 급수토록 하고, 정수는 배수토록 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연결호스(40)의 내부에는 수로(41)가 일직선상으로 마련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또한, 상기 연결호스(40)의 양단과 이 연결호스(40)가 연결되는 입수포트(34) 및 출수포트(35)에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각 고무링 등으로 대표되는 실링요소(42)를 체결하여 원수의 급수과정이나 정수의 배수과정에서 외부로 누수 되는 것을 예방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1)는 상기 연결호스(40)와 함께 보조연결호스(43)를 제공하여 수밀성의 저하를 극렬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결호스(40) 또는 이와 함께 사용되는 보조연결호 스(43)를 통해 각각의 연결몸체(30)가 연결됨에 따라 수로(41)를 공유하여 연결호스(40)에 급수된 원수는 입수포트(34)를 거쳐 제1원수공급통로(36)로 공급된 후 필터(70)로 경유하여 정수하게 되고, 여과된 정수는 제1정수배수통로(37)를 역류하여 출수포트(35)를 거쳐 연결호스(40)로 배수된다.
즉, 이러한 원수의 여과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원수에 함유된 각종 중금속과 불순물 등 유해성분이 각 필터(70)를 경유하면서 제거되어 최종적으로 여과된 정수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호스(40)를 통하여 각 연결몸체(30)의 연결이 완료되면 플레이트(10)에는 보조커버(14)(14a)가 장착되어 상기 연결호스(40) 및 연결몸체(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이물질 등의 침투를 예방하게 되며,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1)가 전체적으로 일체감이 있도록 하여 미감상승을 유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몸체(3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부(32)에는 보조연결부재(Inner-Pin)가 장착되어 필터(70)에 원수를 공급하는 것을 보조하게 되며,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보조연결부재(50)의 내부에는 제1원수공급통로(36)와 연통하는 제2원수공급통로(51) 및 제1정수배수통로(37)와 연통하는 제2정수배수통로(52)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부재(50)에는 금형 구조상 분리된 사출물인 체크-핀(Check-Pin)이 내장된 것을 보이고 있어 이 체크-핀(53)의 승, 하강을 통해 필터(70) 분리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체크-핀(53)이 제2원수공급통로(51)에 내장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터(70)의 교체를 위한 분리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70)의 장착시에는 체크-핀(53)이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제2원수공급통로(51)에서 상승하여 원수의 공급을 유도하고, 상기 필터(70)의 분리시에는 수압으로 인해 하강하여 제2원수공급통로(51)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70)의 분리과정에서 원수를 공급하는 외부밸브를 굳이 잠그지 않아도 체크-핀(53)에 의해 자동으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편의성과 함께 불필요한 원수의 낭비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하부뚜껑(60)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보조연결부재(50)를 감싸며 연결몸체(30)에 끼움 장착되도록 바닥판(61) 및 이를 감싸는 측벽부(62)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61)에는 필터(70)의 장착을 위한 유도장착구멍(63)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하부뚜껑(60)은 보조연결부재(50)와 필터(70)를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媒介)로써, 이러한 하부뚜껑(60)이 연결몸체(30)의 하부에 측벽부(62)를 통해 억지 끼움 장착됨에 따라 상기 보조연결부재(50)와 필터(70)의 연결을 유도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필터(70)에 원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하부뚜껑(60)에 장착되어 필터(70)를 결속하는 클립(64)은 상기 필터(70)가 하부뚜껑(60)에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유도하여 원수의 여과과정에서 필터(70)의 예기치 않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서 보인 것과 같이, 하부뚜껑(60)의 바닥판(61)에 클립(64)이 분할 설치되어 회동하고, 이 클 립(64)의 상부 바깥쪽에는 스프링(65)이 체결되어 상기 클립(64)을 안쪽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64)은 하부뚜껑(60)의 바닥판(61)에 형성된 유도장착구멍(63)과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도장착구멍(63)을 통하여 유도삽입된 필터(70)를 신속하게 결속하게 된다.
여기서, 이 클립(64)의 설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뚜껑(60)의 바닥판(61) 상면에는 한 쌍의 고정장홈(68) 및 고정평홈(68a)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64)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장홈(68) 및 고정평홈(68a)에 체결되는 고정돌기(67)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고정돌기(67)를 이용하여 하부몸체(60)의 내부에 설치된 클립(64)은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필터(70)의 장착 및 분리시 고정장홈(68)과 고정평홈(68a)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회동하여 벌어졌다가 스프링(65)에 의해 원상복귀된다.
이러한 클립(64)의 일면에는 하부뚜껑(60)에 필터(70)가 삽입될 경우 상기 필터(70)를 결속할 수 있도록 걸이홈(66)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홈(66)과 인접하게 장착돌기(69)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70)를 밀어서 장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클립(64)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필터(70)의 결속 과정에서 스프링(65)은 장착돌기(69)에 의해 벌어진 클립(64)을 원상복귀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65)은 클립(64)의 상부에 체결되어 탄력 지지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필터(7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부뚜껑(60)에 형성된 유도장착구멍(63)을 통과하여 클립(64)에 형성된 걸림홈(66)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71)가 형성되며, 상단 내부에는 체크-핀(53)을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7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72)를 사이에 두고 제3원수공급통로(73) 및 제3정수배수통로(74)가 형성되어 제공됨으로써, 제1원수공급통로(36)를 통해 급수된 원수는 보조연결부재(50)에 형성된 제2원수공급통로(51)를 거쳐 제3원수공급통로(73)로 공급되어 여과되고, 여과된 정수는 제3정수배수통로(74)를 역류하여 제2정수배수통로(52)를 거쳐 제1정수배수통로(37)로 배수된다.
이때, 상기 필터(70)의 내부에는 공지기술로써,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여과수단(미도시)이 내장되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한 사항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필터(70)를 하부뚜껑(60)에 걸림돌기(71)를 통하여 밀어서 장착하게 되면 도 4 내지 도 5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걸림돌기(71)는 클립(64)의 장착돌기(69)를 간섭하면서 걸이홈(66)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클립(64)은 걸림돌기(71)에 의한 간섭으로 고정장홈(68)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일시적으로 회동하여 벌어졌다가 스프링(65)에 의해 원상복귀하여 걸이홈(66)에 위치한 상기 걸림돌기(71)를 결속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필터(70)의 상단에 형성된 누름부(72)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제3원수공급통로(73)는 보조연결부재(50)에 형성된 제2원수공급통로(51)와 연통하고, 제3정수배수통로(74)는 제2정수배수통로(52)와 연통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70)의 분리는 연결몸체(60)를 이용하여 필터를 90°회동시킨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15°회전시켜 분리하는 것을 실시 예로 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클립(64)의 측면에는 보조돌기(69b)를 형성하되, 도면상 상기 클립(64)의 우측면에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필터(70)를 시계방향으로 약 15°회전시킬 경우에는 도 6에서 보인 것과 같이, 걸이홈(66)에 걸려 고정된 걸림돌기(71)가 회전과정에서 보조돌기(69b)를 간섭하게 되고, 상기 클립(64)은 고정장홈(68)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일시적으로 회동하여 벌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71)를 결속하고 있던 클립(64)의 결속력이 저하되어 손쉽게 필터(70)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로는 도 7에서 보인 것과 같이, 클립(64)에 결속된 필터(70)를 다시 밀어서 분리하게 되며, 이는 상기 필터(70)에 가압돌기(71a)를 형성하되, 인접 형성된 걸림돌기(71) 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하고, 그 상부는 경사지게 형성하게 된다.
또한, 클립(64)에는 상기 가압돌기(71a)에 간섭되는 접촉돌기(69a)를 상기 보조돌기(69b)의 반대편에 형성하여 걸림돌기(71)가 클립(64)에 결속된 상태에서 필터(70)를 다시 밀면 도 7에서 보인 것과 같이, 상기 가압돌기(71a)가 접촉돌기(69a)를 간섭하게 되고, 상기 클립(64)은 고정장홈(68)을 기준으로 도면상 좌측으로 회동하면서 일시적으로 벌려지게 되며, 이로 인해 필터(70)를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70)의 분리시 일시적으로 벌어졌던 클립(64)은 상부에 체결된 스프링(65)에 의해 원상복귀된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1)의 조립과정을 각 순서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레이트(10)의 전면에 형성된 소켓지지대(11)들에 소켓(20)이 배열되고, 이 소켓(20)에 형성된 힌지홀(22)에 연결몸체(30)가 힌지돌기(31)를 이용하여 힌지 결합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몸체(30)에는 상부커버(38)가 장착되어 이물질 등의 침투를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몸체(30)가 소켓(20)들에 장착 완료됨과 동시에 연결호스(40)가 각 연결몸체(30)의 입수포트(34)와 출수포트(35)를 연결하게 되고, 이 연결호스(40)의 연결이 완료되면 보조커버(14)를 플레이트(10)에 장착하여 상기 상부커버(38)와 함께 이물질의 침투를 극렬 방지하게 된다.
상기 소켓(20)을 통해 장착된 연결몸체(30)에는 체크-핀(53)이 내장된 보조연결부재(50)가 장착되어 원수의 필터(70) 공급을 유도하고, 상기 연결몸체(30)의 하부 연결부(32)에는 클립(64)이 설치된 하부뚜껑(60)이 장착되어 상기 보조연결부재(50)와 필터(70)의 연결을 도모하게 된다.
이러한 하부뚜껑(60)에는 필터(70)를 밀어서 끼움 장착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필터(70)는 보조연결부재(5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터장치(1)가 조립되어 정수기 내부의 벽면에 설치됨에 따라 급수된 원수는 필터(70)를 경유하면서 여과되고, 이를 반복 하는 과정 속에서 원수에 함유된 중금속 등이 제거되며, 최종적으로 여과된 정수는 배수되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반복적인 원수의 여과에 의해 여과성능이 저하된 필터(70)는 연결몸체(30)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90°회동시킨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약 15°회전시켜 분리하거나, 다시 밀어서 분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새로운 필터(70)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정수성능의 유지를 통한 원활한 정수공급을 도모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움직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용 필터장치의 연결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실시 예로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클립을 통한 필터의 장착상태를 보인 순차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회전하여 분리하는 것을 일부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필터를 밀어서 분리하는 것을 일부 확대하여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레이트 11 - 소켓지지대
12 - 걸림턱 20 - 소켓
21 - 체결돌기 22 - 힌지홀
30 - 연결몸체 31 - 힌지돌기
32 - 연결부 34 - 입수포트
35 - 출수포트 36 - 제1원수공급통로
37 - 제1정수배수통로 40 - 연결호스
41 - 수로 50 - 보조연결부재
51 - 제2원수공급통로 52 - 제2정수배수통로
53 - 체크-핀 60 - 하부뚜껑
61 - 바닥판 62 - 측벽부
63 - 유도장착구멍 64 - 클립
65 - 스프링 66 - 걸이홈
70 - 필터

Claims (5)

  1. 정수기의 내부에 장착되며, 전면에는 횡 방향으로 소켓지지대가 배열되고, 상기 소켓지지대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걸림턱을 통해 소켓지지대에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힌지홀이 뚫어진 소켓과;
    상기 힌지홀에 삽입되는 힌지돌기가 양측에 형성되어 회동하며, 하부에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힌지돌기를 관통하는 입수통로 및 출수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입수통로와 연통하는 제1원수공급통로 및 상기 출수통로와 연통하는 제1정수배수통로가 형성된 연결몸체와;
    상기 입수통로 및 출수통로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수로가 일직선상으로 마련되어 원수는 급수하고 정수는 배수하는 연결호스와;
    상기 연결부에 장착되며, 제1원수공급통로와 연통하는 제2원수공급통로 및 제1정수배수통로와 연통하는 제2정수배수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보조연결부재와;
    상기 제2원수공급통로에 내장되어 승, 하강하며, 수압에 의한 하강시 제2원수공급통로를 차단하는 체크-핀과;
    상기 연결몸체에 끼움 장착되도록 바닥판 및 이를 감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판에는 유도장착구멍이 형성된 하부뚜껑과;
    상기 하부뚜껑의 내부 바닥판에 분할 설치되어 회동하고, 일면에는 걸이홈 및 이 걸이홈과 인접하게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보조돌기가 형성되며, 상 부는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클립과;
    상기 연결부에 밀어서 끼움 장착되고, 회전 분리되도록 상단에 유도장착구멍을 통과하여 걸이홈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체크-핀을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가 형성되며, 이 누름부를 사이에 두고 제3원수공급통로 및 제3정수배수통로가 형성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홀의 내경과 힌지돌기의 외경에는 각각 고정돌기가 엇갈리게 대칭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에는 후방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상부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는 보조커버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에는 상부가 경사진 가압돌기가 형성되고, 클립에는 상기 가압돌기에 간섭되어 상기 클립을 벌리도록 하는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필터장치.
KR2020080003468U 2008-03-17 2008-03-17 정수기용 필터장치 KR200446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68U KR200446347Y1 (ko) 2008-03-17 2008-03-17 정수기용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68U KR200446347Y1 (ko) 2008-03-17 2008-03-17 정수기용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70U KR20090009470U (ko) 2009-09-22
KR200446347Y1 true KR200446347Y1 (ko) 2009-10-20

Family

ID=4153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468U KR200446347Y1 (ko) 2008-03-17 2008-03-17 정수기용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3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36B1 (ko) 2010-02-02 2011-10-05 임동원 이온수기용 필터의 어댑터 구조
KR101326805B1 (ko) 2012-11-30 2013-11-11 안광호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523B1 (ko) * 2010-07-06 2013-04-03 주식회사 진텍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교체 구조
KR101291981B1 (ko) * 2011-07-08 2013-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빌트인 정수기
KR101306776B1 (ko) * 2011-11-18 2013-09-10 (주)워피온 정수기 필터 조립체
KR101495900B1 (ko) * 2014-06-13 2015-02-27 (주)에코인토트 액체 분사장치
KR101788965B1 (ko) 2016-03-22 2017-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장치 및 정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983717B1 (ko) * 2018-09-04 2019-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57Y1 (ko) 2005-02-28 2005-05-16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200426288Y1 (ko) 2006-06-13 2006-09-14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커넥터와 필터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432225Y1 (ko) 2006-09-07 2006-11-3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557Y1 (ko) 2005-02-28 2005-05-16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200426288Y1 (ko) 2006-06-13 2006-09-14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필터용 커넥터와 필터하우징의 결합구조
KR200432225Y1 (ko) 2006-09-07 2006-11-30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736B1 (ko) 2010-02-02 2011-10-05 임동원 이온수기용 필터의 어댑터 구조
KR101326805B1 (ko) 2012-11-30 2013-11-11 안광호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70U (ko) 2009-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347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CN105983269B (zh) 过滤器组件
US11958003B2 (en) Push filter with floating key lock
KR100873294B1 (ko) 필터 조립체
KR200432225Y1 (ko) 정수시스템용 필터카트리지 고정장치
KR200384557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EP2802399B1 (en) Water purifying filter assembly module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WO2007117959A1 (en) Fluid filter element and bypass adaptor
JP2005106044A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フィルタアセンブリ
KR200408232Y1 (ko) 슬라이드 필터 교환 방식 정수기
KR200444480Y1 (ko) 정수장치의 필터 장착구조
KR101673707B1 (ko) 산업용 정수기 필터 고정장치
KR20160095215A (ko) 정수기 필터 브라켓
KR101398414B1 (ko) 개선된 커버체결구조가 적용된 액체 정밀 여과기
KR20110009947A (ko) 정수기용 필터케이스
KR101176315B1 (ko) 필터 유닛
KR101152749B1 (ko) 정수기용 필터카트리지의 피팅 구조
WO2015200130A1 (en) Gasket having an integral drain
CN212102262U (zh) 过滤组件及水净化装置
KR200202974Y1 (ko) 정수기의 휠터 카트리지 장착장치
KR100878896B1 (ko) 정수기용 필터 하우징
KR200454614Y1 (ko) 정수기의 필터 브라켓 조립체
CA3150375C (en) Filter base for electronic connection to mating filter housing assembly
KR101284444B1 (ko) 역삼투막 필터 유닛
CN112441632B (zh) 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