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0016Y1 - 스피커의 덕트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의 덕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0016Y1
KR200170016Y1 KR2019970015127U KR19970015127U KR200170016Y1 KR 200170016 Y1 KR200170016 Y1 KR 200170016Y1 KR 2019970015127 U KR2019970015127 U KR 2019970015127U KR 19970015127 U KR19970015127 U KR 19970015127U KR 200170016 Y1 KR200170016 Y1 KR 200170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onnector
speaker box
venturi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1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651U (ko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151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0016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0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0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15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ss reflex type
    • H04R1/2823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피커의 진동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스피커박스(1)의 전,후방 양측에 연결관 고정홈(2)(2`)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 고정홈(2)의 내측면에 프레임(3)과 자기회로부(4)가 일체로 연결되는 스피커(5)를 스크류 결합하며, 상기 스피커(5)의 외주연에 벤튜리형 연결관(7)의 일단을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8)에 의해 고정하여 그 타단을 연결관 고정홈(2`)에 결합하고, 상기연결관(7)의 일측단에 케이블 삽입부(9)를 형성하여 그 중앙의 벤튜리부 상,하측에 미세홀(10)을 형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스피커의 덕트장치
본 고안은 스피커를 스피커박스의 전,후방을 개방하여 그 일측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는 벤튜리(ventury)형 연결관을 결합하여 스피커박스의 저부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스피커박스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한 덕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스피커박스의 전,후방 양측에 연결관 고정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 고정홈의 내측면에 프레임과 자기회로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스피커를 결합하며, 상기 스피커의 외주연을 벤튜리형 연결관의 일측 개구에 고정하고, 상기덕트의 벤튜리부 상,하측에 미세홈을 형성하는 스피커의 덕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벤튜리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덕트장치의 제작 및 설치가 극히 용이하고, 연결관에 의해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연결관에 의해 저역 재생한계의 증대를 위한 스피커 박스의 용적확대가 필요없게 되어 스피커 박스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연결관을 통하여 스피커 박스의 진동에 의한 스피커의 후음 손실을 최소화하여 스피커의 음량을 완벽하게 재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스피커의 구조에 있어서는, 마그네트가 내장된 요크(YOKE)와 보이스 코일이 감겨진 보빈(BOBBIN)으로 구성된 자기회로부, 상기 자기회로부의 상단부 주연에 내주연이 연결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조정하는 댐퍼 및 댐퍼의 일단이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상단부 주연을 고정토록 하는 엣지로서 스피커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스피커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그네트가 내장된 요크및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으로 구성된 자기회로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진동플레이트가 보빈의 주연에 본딩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 주연이 엣지에 의해 프레임(51)에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51)의 상단이 스피커 박스(5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홀(53)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 박스(52)의 저면에 덕트(54)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상기 보이스 코일(37)에 전류가 인입되면 전류의 강약에 따라 자화된 보이스 코일(37)이 마그네트(31)와의 상호 반발작용으로 상,하 로 이동토록 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37)의 움직임에 의해 보이스 코일(37)이 권선되는 보빈이 그 주연에 일체로 본딩 연결되는 진동플레이트(39)을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플레이트(39)와 공기와의 압력 변화로 음압의 변화 즉 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스피커 박스(52)에서 프레임(51) 후방으로 배출되는 후음을 덕트(54)를 통하여 완벽하게 재생하지 못함은 물론 스피커박스(52)의 내측에서 반사 및 음의 흡수에 의하여 대부분 손실되어 원음의 재생이 힘들게 되고, 이에 따라 풍부한 저음의 재생이 힘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벤튜리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덕트장치의 제작 및 설치가 극히 용이하고, 연결관에 의해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연결관에 의해 저역 재생한계의 증대를 위한 스피커 박스의 용적확대가 필요없게 되어 스피커 박스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연결관을 통하여 스피커 박스의 진동에 의한 스피커의 후음 손실을 최소화하여 스피커의 음량을 완벽하게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피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스피커가 장착되는 스피커박스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박스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박스의 스피커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피커박스 2 : 연결관 고정홈
3 : 프레임 4 : 자기회로부
5 : 스피커 7 : 연결관
8 : 브라켓 9 : 케이블 삽입부
10 : 미세홈 11 : 단자
12 : 케이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인 구성은, 스피커박스의 전,후방 양측에 연결관 고정홈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 고정홈의 내측면에 프레임과 자기회로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스피커를 결합하며, 상기 스피커의 외주연에 벤튜리형 연결관의 일단을 고정하여 그 타단을 연결관 고정홈에 결합하고, 상기 덕트의 벤튜리부 상,하측에 미세홈을 형성하는 스피커의 덕트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박스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박스의 스피커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도로서 본 고안은, 스피커박스(1)의 전,후방 양측에 연결관 고정홈(2)(2`)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 고정홈(2)의 내측면에 프레임(3)과 자기회로부(4)가 일체로 연결되는 스피커(5)를 스크류 결합하며, 상기 스피커(5)의 후방부 외주연에 벤튜리형 연결관(7)의 일단을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8)에 의해 고정하여 그 타단을 연결관 고정홈(2`)에 결합하고, 상기 연결관(7)의 일측단에 케이블 삽입부(9)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7)의 중앙의 벤튜리부 상,하측에 미세홈(10)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인입되면 전류의 강약에 따라 자화된 보이스 코일이 자기회로부(4)의 마그네트와의 상호 반발작용으로 상,하 이동되어 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보이스코일을 상,하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의 움직임에 의해 진동플레이트를 진동시켜 이때 진동플레이트에 마찰되는 공기와의 압력 변화로 음압의 변화 즉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5)에서 방출되는 음은 스피키 박스(1)의 전방으로 방출토록 되며, 프레임(3)의 측면을 통하여 스피커박스(1)의 내측에 방출되는 후음은 상기 스피커(5)의 후방에 분리되어 장착되는 연결관(7)을 통하여 스피커박스(1)의 후방으로 대부분이 방출토록 되고, 상기 스피커(5)의 진동시 분리설치되는 연결관(7)의 진동을 최소화하여 공진을 방지함으로써 저역 재생을 증가시키게 된다.
계속하여, 스피커(5)는 스피커박스(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연결관 고정홈(2)의 일측인 연결관(7)의 일측 개구에 결합되어 그 외주연을 연결관(7)이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고, 이때 연결관(7)의 일측에 형성되는 케이블삽입부(9)를 통하여 프레임(3)의 단자판(11)에 연결되는 케이블(12)이 배출토록 되며, 상기 스피커(5)의 음은, 연결관(7)의 개구 일측에 고정되는 스피커(5)에 의하여 전방음은 일측 개구를 통하여 방출되고, 후음이 타측의 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어 스피커 박스내에서 음의 손실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연결관(7)은, 벤튜리 형으로 형성되어 속도를 극대화 함으로써 음의 손실을 최소화 하여 저음의 재생을 확실히 수행하고, 상기 벤튜리부에 형성되는 미세홈(10)에 의해 케이블 삽입부(9)등을 통하여 스피커 박스(1)에서 흡수되는 음의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 연결관(7)의 중앙에 형성되는 미세홈(10)은, 후음에 의한 연결관(7) 내측의 공기흐름시 연결관(7)과 스피커 박스(1) 내측의 압력차로써 케이블삽입부(9)나 연결관(7) 자체의 진동에 의해 스피커박스(1) 내측으로 유입되는 손실음이 연결관(7)으로 자동 흡수되어 후음과 함꼐 배출토록 됨으로써 후음손실을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덕트장치에 의하면,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벤튜리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덕트장치의 제작 및 설치가 극히 용이하고, 연결관에 의해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연결관에 의해 저역 재생한계의 증대를 위한 스피커 박스의 용적확대가 필요없게 되어 스피커 박스를 소형화 할 수 있으며, 연결관을 통하여 스피커 박스의 진동에 형성되는 미세홈에 의하여 스피커의 후음 손실을 최소화하여 스피커의 음량을 완벽하게 재생시킬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피커박스(1)에 형성되는 연결관 고정홈(2)(2`) 내측에 벤튜리형의 연결관(7)의 양단이 결합되는 스피커 덕트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7)의 일측이 결합되는 연결관 고정홈(2)에 연결관(7)의 내측에 위치토록 스피커(5)가 분리 결합되고, 상기 연결관(7)의 벤튜리부 중앙에 미세홈(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의 덕트장치.
KR2019970015127U 1997-06-20 1997-06-20 스피커의 덕트장치 KR200170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127U KR200170016Y1 (ko) 1997-06-20 1997-06-20 스피커의 덕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127U KR200170016Y1 (ko) 1997-06-20 1997-06-20 스피커의 덕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51U KR19990001651U (ko) 1999-01-15
KR200170016Y1 true KR200170016Y1 (ko) 2000-02-01

Family

ID=1950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127U KR200170016Y1 (ko) 1997-06-20 1997-06-20 스피커의 덕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00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51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58034A (ko) 카오디오의 투웨이 스피커 일체형 구조
KR200170016Y1 (ko) 스피커의 덕트장치
JPH11122560A (ja) スピーカー振動防止装置を有するテレビ
KR940002990Y1 (ko) Bias 스피커
KR19990001658U (ko)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
KR200374905Y1 (ko) 혼을 이용한 트위터 스피커
KR960003271Y1 (ko) 저음 전용 스피커
KR20000002761U (ko) 평면스피커의 진동플레이트 고정장치
JP3991520B2 (ja) スピーカ
KR19990010587U (ko) 동축형 멀티 웨이 스피커
KR100372265B1 (ko) 스피커
JP2000324592A (ja) スピーカ
KR0162208B1 (ko) 스피커장치
JP3696045B2 (ja) スピーカ装置
KR19990017758U (ko) 스피커 장치
KR20060017930A (ko) 통기공이 설치된 진동판
KR0135028Y1 (ko) 스피커용 가스켓 결합구조
KR19990037628U (ko) 우퍼를 갖는 평면스피커
KR200345539Y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에지
KR19990038987U (ko) 혼형 스피커 장치
JPH09187090A (ja) スピーカ装置
KR19980023261U (ko) 텔레비젼용 스피커의 진동방지장치
KR19990017750U (ko) 텔레비전용 스피커 장치
KR20000012138U (ko) 텔레비젼의 박막스피커 고정장치
KR19990041395A (ko) 텔레비젼용 슬림형 스피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