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567Y1 -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567Y1
KR200169567Y1 KR2019990018950U KR19990018950U KR200169567Y1 KR 200169567 Y1 KR200169567 Y1 KR 200169567Y1 KR 2019990018950 U KR2019990018950 U KR 2019990018950U KR 19990018950 U KR19990018950 U KR 19990018950U KR 200169567 Y1 KR200169567 Y1 KR 200169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upply lever
water
lev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89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89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5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67D2001/0087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 B67D2001/0089Dispensing valves being mounted on the dispenser housing operated by lev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설치되는 물 공급레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 공급레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장착이 용이한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레버는 물 공급레버의 상단 양측에 마련되는 회동축이 물 수납공간 내면에 형성된 축결합공에 신축하여서 끼워지도록 물 공급레버의 일단과 탄성편을 매개로 연결되며, 회동축을 지지하는 탄성편은 물 공급레버의 상단에서 나란히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재의 외면과 약간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되,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WATER SUPPLY LEVER OF REFRIGERATORS}
본 고안은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설치되는 물 공급레버에 관한 것으로 , 더욱 상세하게는 물 공급레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장착이 용이한 한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냉장고는 사용자가 본체의 외부에서 냉수를 얻을 수 있도록 도어의 전면에 냉수를 공급하는 물 공급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물 공급장치는 물은 외부 수도꼭지에서 공급되는 물이 본체 내부의 저장실 주위에 배치된 급수관을 따라 순회하면서 냉각이 된 후, 도어 전면의 출구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출구가 마련된 도어의 전면에는 물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물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물 수납공간 내부에는 물 공급을 조작하기 위한 물 공급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냉장고의 물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물 공급레버의 장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물 공급레버(1)는 판상으로 마련된 누름부(2)가 물 수납공간 내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누름부(2)의 상단에서 상방향으로 약간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부(3)를 구비하고, 이 결합부(3)의 양측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회동축(4)이 마련된다.
그리고 수납공간 내면(5)에는 물 공급레버(1)의 회동축(4)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전방이 개방된 홈을 갖는 축지부(6)가 마련되며, 이 축지부(6)에는 회동축(4)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클립(6a)이 고정나사(6b)를 통해 고정된다. 즉, 물 공급레버(1)의 회동축(4)은 축지부(6)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클립(6a)이 결합됨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물 공급레버(1)의 회동축(4)에는 사용자가 누름부(2)를 눌렀다가 놓으면, 물 공급레버(1)가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공급레버(1)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복원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8은 물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관이고, 9는 물 공급레버(1)를 누를 때 누름부(2)의 이면에 눌려서 물 공급을 제어하는 물 공급 제어스위치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는 물 공급레버(1)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4)이 레버(1)의 양측에 고정된 구조이기 때문에, 이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회동축(4)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고정클립(6a)이 마련되어야 하고, 이 고정클립(6a)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나사(6b)가 체결되어야 하는 등 물 공급레버(1)의 결합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물 수납공간의 내면에 결합되는 물 공급레버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물 공급레버가 손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냉장고 물 공급레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물 공급레버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 물 공급레버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냉동실,
12: 냉장실, 13: 구획벽,
14: 냉동실도어, 15: 물 수납공간,
16: 제어스위치, 17: 급수관,
19: 급수밸브, 20: 냉수저장통,
30: 물 공급레버, 31: 누름부,
32: 연결부재, 33: 탄성편,
34: 회동축, 35: 축지부,
36: 축결합공, 37: 복원스프링,
38: 스프링지지축, 39: 지지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는, 본체의 외면 일측에 마련된 물 수납공간과, 상기 물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되어 물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안내되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와, 상기 제어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물 수납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 공급레버와, 상기 물 공급레버의 복원을 위한 복원스프링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레버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물 공급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동축이 상기 수납공간 내면에 형성된 축결합공에 신축하여서 끼워지도록 탄성편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레버의 일단부에는 나란히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과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복원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지지축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장고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 냉동식품을 보관하는 냉동실(11)과 냉장식품을 보관하는 냉장실(12)이 구획벽(13)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그리고 냉동실(11)과 냉장실(12)의 전면에는 이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14)와 냉장실도어(미도시)가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냉동실(11)과 냉장실(12)에 냉기가 공급되도록 냉기를 생성시키는 냉각장치의 구성으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냉매 팽창장치 등이 설치되고, 냉동실(11) 및 냉장실(12)의 냉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 및 냉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덕트가 구비된다.
또한, 냉동실도어(14)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서도 시원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 공급장치가 설치되는데, 이 물 공급장치는 도어(14)의 전면에서 함몰된 물 수납공간(15)과, 물 수납공간(15) 내에 설치되어 물을 취출할 때 동작시키는 물 공급레버(30), 그리고 이 물 공급레버(30)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어스위치(16)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10) 및 냉동실도어(14)의 내부에는 외부의 수도꼭지(2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도어(14) 전면의 물 수납공간(15)으로 안내하는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 내부의 급수관(17)과 외부로 연장되는 외부급수관(18)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급수를 단속하는 급수밸브(19)가 설치되며, 이 급수밸브(19)는 물 공급레버(30)의 동작을 감지하는 제어스위치(16)의 신호로 동작된다. 이때,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급수관(17)은 물 수납공간(15)으로 공급되는 물이 시원하게 냉각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냉장실(12) 주위를 순회하여 설치된다. 또 급수관(17)의 중도에는 급수관(17)을 따라 흐르는 물이 냉장실(12) 주위에 머물면서 냉장실(12)의 냉기와 열교환을 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을 수용하는 냉수저장통(20)이 설치된다.
한편, 물 수납공간(15)의 내에 설치되는 물 공급레버(3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마련된 누름부(31)의 상단에 상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 한쌍의 연결부재(32)가 마련된다. 연결부재(32)의 양측에는 연결부재(32)와 약간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상단이 연결부재(32)의 상단과 연결되는 탄성편(33)이 구비된다. 또 탄성편(33)의 양측 외면 하단에는 물 공급레버(30)가 수납공간(15)의 내면(15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측방으로 돌출하는 회동축(34)이 마련된다. 그리고 물 공급레버(30)가 결합되는 수납공간(15)의 내면(15a)에는 회동축(34)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가로방향의 축결합공(36)을 갖는 축지부(35)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은 측방으로 돌출하는 회동축(34)이 그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축결합공(36)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레버(30)에는 사용자가 누름부(31)를 눌렀다가 놓으면, 누름부(31)가 그 후방에 설치된 제어스위치(16)와 이격되면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공급레버(30)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복원스프링(37)이 설치된다. 이때 복원스프링(37)은 두 연결부재(32)의 마주보는 내면 사이의 공간이 설치되고, 두 연결부재(32)의 내면에는 복귀스프링(37)이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된 스프링지지축(38)이 마련된다. 여기서 복원스프링(37)은 통상의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두 연결부재(32)의 내면에는 두 연결부재(32)를 연결시켜 강성을 보강하는 동시에 복원스프링(38)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39)가 마련된다. 이때 지지부재(39)는 복원스프링(38)을 끼우기 용이하도록 스프링지지축(38)과 약간 이격된 상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의 물 공급레버(30)를 제작할 때에는 연결부재(32), 탄성편(33), 회동축(34), 스프링지지축(38), 지지부재(39)가 누름부(3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물 공급레버(30)를 수납공간(15)의 내면(15a)에 결합시킬 때는 먼저 두 연결부재(32)사이의 스프링지지축(38)에 복원스프링(37)을 끼운 다음, 양측의 두 탄성편(33)을 연결부재(32) 쪽으로 휘어지도록 가압하여, 두 회동축(34)이 연결부재(32) 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축지부(35)의 축결합공(36)에 끼우면 된다. 이를 위해 탄성편(33)은 소정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눌렀다 놓았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을 가져야 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물 공급레버가 장착된 냉장고의 물 공급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물 공급레버(30)의 누름부(31)를 누르면, 누름부(31)의 후방에 설치된 제어스위치(16)가 감지되고, 이 제어스위치(16)의 감지신호는 급수밸브(19)로 전해져 급수관(17)을 열어준다. 이때,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은 냉장실(12)의 후면에 설치된 냉수저장통(20)의 입구측으로 유입되고, 냉수저장통(20)의 출구측에 저장되었던 차가운 물은 급수관(17)을 따라 물 수납공간(15)으로 연장된 급수관(17)의 의 출구로 공급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물 공급레버(30)의 누름을 해제하면, 복원스프링(37)의 탄성에 의해 물 공급레버(30)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제어스위치(16)의 누름이 해제되고, 이로써 급수밸브(19)가 다시 닫혀 물 공급이 중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는 물 공급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이 탄성편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물 공급레버를 물 수납공간의 내면에 결합시킬 때 탄성편을 누른 상태로 끼워주기만 하면 되므로,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의 외면 일측에 마련된 물 수납공간과, 상기 물 수납공간 내부로 연장되어 물 공급을 안내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을 통해 안내되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와, 상기 제어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상기 물 수납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 공급레버와, 상기 물 공급레버의 복원을 위한 복원스프링을 구비하는 냉장고의 물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레버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물 공급레버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이 구비되되, 상기 회동축이 상기 수납공간 내면에 형성된 축결합공에 신축하여서 끼워지도록 탄성편을 매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레버의 일단부에는 나란히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과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연결부재의 선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복원스프링을 결합하기 위한 스프링지지축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KR2019990018950U 1999-09-07 1999-09-07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KR200169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50U KR200169567Y1 (ko) 1999-09-07 1999-09-07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8950U KR200169567Y1 (ko) 1999-09-07 1999-09-07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567Y1 true KR200169567Y1 (ko) 2000-02-15

Family

ID=19587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8950U KR200169567Y1 (ko) 1999-09-07 1999-09-07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56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530A (en) Air-conditioning refrigerator
US9644887B2 (en) Heat exchanger assembly,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refrigerator
AU2017332968A1 (en) Air conditioner
CN101191690A (zh) 冰箱
KR20090012687A (ko) 제빙실에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
KR20170115319A (ko) 홈바를 구비한 냉장고 및 냉장고용 열풍유닛
US20230314067A1 (en) Refrigerator
JP2008096009A (ja) 冷却庫
KR200169567Y1 (ko)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KR20080055256A (ko) 냉장고의 냉기토출구조
WO2020121404A1 (ja) 冷蔵庫
KR100531318B1 (ko) 양문형 냉장고
KR100596524B1 (ko) 냉장고
KR0118043Y1 (ko) 냉장고의 야채실 레일장치
KR100360855B1 (ko) 냉장고의 배수 시스템
KR200184603Y1 (ko) 쇼케이스의 제상수 배수장치
KR100324517B1 (ko) 냉장고의 온도조절센서부 구조
KR200152135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0124288Y1 (ko) 냉장고의 증발접시
KR20060032479A (ko) 일체형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댐퍼개폐식 냉장고
KR960001982B1 (ko) 냉장고
KR0111187Y1 (ko) 전기 냉장고
KR100442277B1 (ko) 빌트인 냉장고
KR0125476Y1 (ko) 냉장고의 기계실 카바장치
KR840001553Y1 (ko) 냉장실이 폐쇄 가능한 냉동 냉장 겸용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