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135Y1 - 냉장고의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선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2135Y1 KR200152135Y1 KR2019960040702U KR19960040702U KR200152135Y1 KR 200152135 Y1 KR200152135 Y1 KR 200152135Y1 KR 2019960040702 U KR2019960040702 U KR 2019960040702U KR 19960040702 U KR19960040702 U KR 19960040702U KR 200152135 Y1 KR200152135 Y1 KR 2001521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roller
- refrigerator
- shaft
- rotar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18—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 A47F5/0025—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having separate display containers or trays on shelves or on racks
- A47F5/0037—Display racks with shelves or receptables having separate display containers or trays on shelves or on racks being rotatable or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장치는, 피물체를 수납하는 회전선반(220)이 보조선반(210)의 상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선반(220)과 보조선반(210)과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수단(300)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수단(300)은, 상기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축(310)과, 상기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상기 보조선반(2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도록 상기 롤러축(3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피물체중에서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으려고 할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치우지 않고도 회전선반(220)의 회전에 따라 안쪽에 수납된 피물체를 사용자의 앞쪽으로 오도록 할수 있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선반상의 무효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 회전선반(220)상에 무거운 피물체를 수납한 상태에서 회전선반(220)을 회전시킬 때 회전선반(220)과 보조선반(210)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선반(220)의 회전을 원활히 할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전체 단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댐퍼부재와 선반수단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3도는 선반수단이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4도는 선반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결합단면도.
제6도는 롤러축과 롤러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7도의 (a)(b)(c)도는 선반수단의 동작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a)도는 회전선반의 동작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b)도는 회전선반이 90°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c)도는 회전선반이 180°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8도 내지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2 내지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8도는 제2실시예의 롤러수단을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9도는 제3실시예의 롤러수단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10도는 제4실시예의 롤러수단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11도는 제5실시예의 롤러수단을 도시한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선반수단 210 : 보조선반
211 : 회전축홈 212 : 중심축홈
220 : 회전선반 221 : 회전축
222 : 중심축 224 : 수평홀
300 : 롤러수단 310 : 롤러축
311 : 외경부 312 : 단차부
313 : 걸림홈 314 : 핀고정홀
315 : 걸림턱 316 : 절결홈
317,318 : 암나사면 320 : 롤러
321 : 내경부 322 : 걸림돌기
330 : 고정핀 340 : 롤러결합볼트
350 : 체결나사
본 고안은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반의 안쪽(예컨대, 사용자의 중심에서 볼 때 냉장고의 내부 뒤쪽)에 있는 피물체(예컨대, 각종 저장용기나 또는 식품들)에 대한 수납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무효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내의 상,하측에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구획함과 동시에 증발기(40)를 내장하여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단열부재(50)와, 상기 단열부재(50)의 후측에 상기 증발기(40)에 의해 열교환된 차가운 냉기가 상기 단열부재(5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로 각각 순환되도록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냉기순환수단(60)과,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의 내부공간을 칸칸이 구획하여 피물체를 상부에 지지하도록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일정높이에 착탈가능케 고정된 다수개의 선반부재(70)와, 상기 단열부재(5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선반부재(70)에 의해 칸칸이 구획된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냉기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장착된 댐퍼부재(80)와,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각각 저장보관된 피물체를 인출하기 위하여 냉동 및 냉장실(20)(30)의 전면개구에 여닫이방식으로 개폐가능케 힌지결합된 냉동 및 냉장실도어(90)(91)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50)의 전측에는 상기 냉기순환수단(60)의 송풍력에 의해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형성된 냉기가 단열부재(50)내에 내장된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재차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되도록 상,하부에 냉기유입구(5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후측에는 상기 냉기순환수단(60)의 송풍력에 의해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기를 댐퍼부재(80)를 통해 냉동 및 냉장실(20)(30)내부로 토출시켜주도록 상,하부에 냉기출구(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기순환수단(60)은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사이에 장착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차가운 냉기를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각각 분배공급함과 동시에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냉기를 단열부재(50)의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6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반부재(70)는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내의 양측벽에 돌출형성된 안내턱(11)에 의해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소정높이에 안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80)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의 내부로 냉기가 분출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냉기토출구(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토출구(81)에는 냉기의 토출흐름을 안내함과 동시에 선반부재(70)상에 재치된 피물체에 의해 냉기토출구(8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안내리브(8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은 주응축기, 101은 보조응축기, 102는 압축기, 103은 제빙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의 냉동 및 냉장실(20)(30)이 소정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메인스위치(도시안됨)를 온 시켜 기계실(부호도시안됨)내에 장착된 압축기(102)를 가동시키면, 이 압축기(102)의 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가스가 냉매관(도시안됨)을 통하여 토출되어 보조응축기(101)를 통과함과 동시에 주응축기(100)를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응축기(10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냉장고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높은 온도의 고압액체냉매로 상변화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냉매는 증발기(40)를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저온 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증발하여 냉각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냉기순환수단(60)의 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해 송풍팬(62)이 회전하게 되면, 이 송풍팬(62)의 송풍력에 의해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공기가 단열부재(50)의 전측에 형성된 냉기유입구(51)로 유입되어 단열부재(50)내에 장착된 증발기(40)를 통과함으로써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되고, 이 차가운 냉기는 단열부재(50)의 후측에 형성된 냉기출구(52)를 통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송풍팬(62)의 송풍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양분되면서 댐퍼부재(80)의 안내를 받아 그 냉기토출구(81)를 통하여 냉동실(20)과 냉장실(30)측으로 각각 공급됨으로써 냉동 및 냉장실(20)(30) 내부에 다수개의 선반부재(70)를 매개로 일정높이에 저장된 각종 피물체를 냉동 및 냉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부재(70)는 냉장실(30)의 양내측벽에 돌설된 안내턱(11)에 의해서 일정높이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선반부재(70)에 의해 보관되는 피물체중에서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으려고 할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로 인하여 간섭을 받기 때문에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먼저 치우고나서 피물체를 수납하여야 하는 사용의 불편함과 번거로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의 회전에 따라 안쪽에 수납된 피물체가 사용자의 앞쪽으로 나오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무효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또 회전선반상에 무거운 피물체를 수납한 상태에서 회전선반을 회전시킬 때 회전선반과 보조선반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냉장고의 선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장치는, 피물체를 수납하는 회전선반이 보조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선반과 보조선반과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수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수단은, 상기 회전선반의 회전축과 중심축의 상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축과, 상기 회전선반이 회전될 때 상기 보조선반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도록 상기 롤러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0은 냉장고의 안쪽 공간으로 피물체를 넣거나 또는 꺼낼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치우지 않고서도 안쪽의 피물체가 앞쪽으로 위치이동되도록 일정거리 직선이동되면서 회전동작되는 선반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선반수단(200)은 상기 냉장고의 양내측벽에 돌설된 한쌍의 안내턱(11)에 의해 일정높이로 고정된 보조선반(210)과, 상기 보조선반(210)의 안내를 받아 회전되면서 그 상부에 얹혀진 피물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보조선반(21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선반(220)과, 상기 보조선반(210)에 회전선반(220)이 유동가능케 지지하면서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는 복수개의 고정너트(2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보조선반(210)에는 그 평탄부에 대하여 중앙에서 후방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회전축홈(211)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부에 대하여 중앙에서 전방 사이에 세로방향으로 직선형상을 가지도록 중심축홈(21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선반(220)에는 그 평탄부 저면에 대하여 일측단 중앙에 상기 보조선반(210)에 관통형성된 회전축홈(211)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회전축(221)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부 저면에 대하여 중앙에는 상기 보조선반(210)에 관통형성된 중심축홈(212)에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중심축(222)이 돌축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로측 양단에는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냉장고의 내부벽면에 부딪치지 않도록 완만한 곡선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하부단에는 상기 고정너트(230)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면(221a)(2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300은 상기 회전선반(220)이 보조선반(210)의 안내를 받아 회전될 때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마모 및 소음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회전선반(22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회전선반(220)과 보조선반(21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롤러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복수개의 롤러수단(300)은 상기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수평홀(224)에 양단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축(310)과, 상기 회전선반(220)가 회전될 때 상기 보조선반(2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도록 상기 롤러축(3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3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롤러축(310)의 외경부(311) 양측단에는 상기 롤러(320)가 회전가능케 끼워맞춤되어 소정위치에 결합되도록 외경부(311)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부(3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차부(312)의 외측 끝단에는 상기 롤러(320)가 걸림작용에 의해 결합되도록 단차부(312)의 직경보다 작은 걸림홈(31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320)의 내경부(321) 일측단에는 상기 롤러축(310)과 롤러(320)와의 결합시 상기 걸림홈(313)에 탄력적으로 걸리되도록 걸림돌기(322)가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롤러(320)는 구름운동시 마찰소음을 적고 밀착력이 높도록 고무나 또는 연성 합성수지재질 중에서 선택된 그 어느 일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돌기(322)는 상기 롤러(320)의 내경부(321)의 일측단 내주면에 대하여 적어도 3등분이상으로 분할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선반(210)과 회전선반(220)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부에 형성된 수평홀(224)속으로 롤러수단(300)의 롤러축(310)을 각각 삽입시키면, 이들 롤러축(310)의 양단은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을 중심으로 양측에 일정거리 돌출되게 된다.
이때, 복수개의 롤러축(310)의 양단을 통하여 그 외경부(311)에 롤러(320)를 각각 끼우게 되면, 롤러(320)의 내경부(321)가 롤러축(310)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부(312)에 안착됨과 동시에 내경부(321)에 돌설된 걸림돌기(322)가 단차부(312)에 형성된 걸림턱(313)에 탄력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롤러축(310)과 롤러(320)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조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보조선반(210)을 냉장고의 양내측벽에 돌설된 한쌍의 안내턱(11)의 상면에 안착시켜 냉장고의 소정높이에 설치한 후, 상기 회전선반(220)의 저면에 돌설된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이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킴과 동시에 그들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을 상기 보조선반(210)에 형성된 회전축홈(211)과 중심축홈(212)의 상부를 통하여 각각 삽입시키면, 회전선반(220)은 롤러수단(300)의 롤러(320)를 매개로 보조선반(21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놓이게 되고,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221a)(222a)는 회전축홈(211)과 중심축홈(212)을 각각 통과하여 보조선반(21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보조선반(210)의 하부에서 상기 나사부(221a)(222a)를 향해 고정너트(230)를 체결함으로써 제5도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진다.
다음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도어(91)를 열고서 회전선반(220)상에 얹혀져 보관되는 피물체(도시안됨) 중에서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기 위하여 회전선반(220)의 우측부분을 제7도의 (b)도와 같이 90°정도 앞으로 잡아당기면, 회전선반(220)에 돌설된 중심축(222)은 보조선반(210)에 형성된 중심축홈(212)의 안내를 받아 앞으로 직선이동되고, 회전선반(220)에 돌설된 회전축(221)은 보조선반(210)에 형성된 회전축홈(211)의 안내를 받아 좌측에서 중앙으로 곡선이동됨으로써 회전선반(220)은 제7도의 (a)도에서 (b)도와 같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선반(220)의 90°회전에 따라 제7도의 (a)도와 같이 후방에 위치된 안쪽부분(H1)의 1/2이 (b)도와 같이 전방 우측으로 나오게 됨으로써 그 안쪽 부분(H1)에 있는 피물체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 필요시에는 회전선반(220)을 제7도의 (c)도와 같이 180°로 회전시키면, 안쪽부분(H1)이 전부 전방으로 나오게 됨과 동시에 앞쪽부분(H2)이 전부 후방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그 앞쪽부분(H2)에 있는 피물체의 간섭을 받지않고도 안쪽부분(H1)에 있는 피물체를 소비자는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에 롤러축(310)을 매개로 회전가능케 설치된 다수개의 롤러(320)들은 보조선반(2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됨으로, 회전선반(220)상에 무거운 피물체를 수납한 상태에서 회전선반(220)을 회전시킬 때 회전선반(220)과 보조선반(210)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선반(220)이 보다 원활히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에서 롤러수단(300)의 롤러축(310)과 롤러(320)와의 결합시 롤러축(310)에 형성된 걸림홈(313)과 롤러(320)에 일체로 돌설된 걸림돌기(322)와의 걸림작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관하여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제2실시예로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축(310)의 단차부(312)의 외주면 끝단에는 핀고정홀(314)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핀고정홀(314)에 별도의 고정핀(330)의 일부분이 겹쳐져 탄력적으로 삽입되게 함으로써 상기 단차부(312)에 끼워맞춤된 롤러(320)의 좌우면이 외경부(311)의 측면과 고정핀(330)에 걸려 이탈되지 않고 단차부(312)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제3실시예로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축(310)의 단차부(312) 끝단에는 상기 롤러(320)의 내경부(321)의 직경보다 큰 원형상의 걸림턱(315)을 일체로 돌설하고, 상기 걸림턱(315)의 끝단에서 단차부(312)의 중간길이에 대하여 축방향 중앙에는 걸림턱(315)의 직경이 축소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확대되도록 절결홈(316)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단차부(312)에 끼워맞춤된 롤러(320)의 좌우면이 외경부(311)의 측면과 걸림턱(315)에 걸려 이탈되지 않고 단차부(312)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제4실시예로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축(310)의 외경부(311)양단에 단차부를 없앤상태에서 그 끝단에 축방향으로 암나사면(317)을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면(317)에 나사결합되어 연장돌출되는 롤러결합볼트(340)를 설치함으로써 롤러결합볼트(340)에 끼워맞춤된 롤러(320)의 좌우면이 외경부(311)의 측면과 롤러결합볼트(340)의 머리면에 각각 걸려 이탈되지 않고 롤러결합볼트(340)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제5실시예로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축(310)의 차단부(312) 끝단에 축방향으로 암나사면(318)을 일정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암나사면(318)에 체결나사(350)가 나사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단차부(312)에 끼워맞춤된 롤러(320)의 좌우면이 외경부(311)의 측면과 체결나사(350)의 머리면에 걸려 이탈되지 않고 단차부(312)내에서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의하면, 피물체를 상부에 얹혀서 냉장고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회전선반이 보조선반의 상부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물체중에서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으려고 할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치우지 않고도 회전선반의 회전에 따라 안쪽에 수납된 피물체를 사용자의 앞쪽으로 오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선반상의 무효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 회전선반상에 무거운 피물체를 수납한 상태에서 회전선반을 회전시킬 때 회전선반과 보조선반과의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선반의 회전을 원활히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피물체를 수납하는 회전선반이 보조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선반(220)과 보조선반(210)과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수단(300)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수단(300)은, 상기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축(310)과, 상기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상기 보조선반(2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도록 상기 롤러축(3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롤러(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310)과 롤러(320)는, 롤러축(310)의 단차부(312)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313)과, 상기 걸림턱(313)에 탄력적으로 걸리되도록 롤러(320)의 내경부(321)에 적어도 3등분이상으로 분할형성된 걸림돌기(322)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20)는, 구름운동시 마찰소음을 적고 밀착력이 높도록 고무나 또는 연성 합성수지재질 중에서 선택된 그 어느 일종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310)과 롤러(320)는, 롤러축(310)의 단차부(312)에 형성된 핀 고정홀(314)과, 상기 단차부(312)에 회전가능케 지지된 롤러(3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핀고정홀(314)에 일부분이 겹쳐져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고정핀(33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310)과 롤러(320)는, 상기 롤러축(310)의 단차부(312)에 회전 가능케 지지된 롤러(320)가 이탈되지 않도록 단차부(312)에 돌출형성된 걸림턱(315)과, 상기 걸림턱(315)의 직경이 축소 및 확대되도록 걸림턱(315)의 끝단에서 단차부(312)의 중간길이 사이에 형성된 절결홈(316)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310)과 롤러(320)는, 롤러축(310)의 외경부(311)에 형성된 암나사면(317), 상기 암나사면(317)에 나사결합되어 연장돌출되면서 롤러(320)를 회전가능케 지지하는 롤러결합볼트(34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축(310)과 롤러(320)는, 롤러축(310)의 단차부(312)에 형성된 암나사면(318)과, 상기 단차부(312)에 회전가능케 지지된 롤러(3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암나사면(318)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나사(350)에 의해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0702U KR200152135Y1 (ko) | 1996-11-19 | 1996-11-19 | 냉장고의 선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40702U KR200152135Y1 (ko) | 1996-11-19 | 1996-11-19 | 냉장고의 선반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7739U KR19980027739U (ko) | 1998-08-05 |
KR200152135Y1 true KR200152135Y1 (ko) | 1999-07-15 |
Family
ID=1947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40702U KR200152135Y1 (ko) | 1996-11-19 | 1996-11-19 | 냉장고의 선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2135Y1 (ko) |
-
1996
- 1996-11-19 KR KR2019960040702U patent/KR20015213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7739U (ko) | 1998-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20108B2 (en) | Refrigerator including ice maker | |
JPH10153382A (ja) | 冷蔵庫の棚装置 | |
KR200152135Y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46127Y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52134Y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46133Y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46129Y1 (ko) | 냉장고의 회전선반 멈춤장치 | |
KR200146126Y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46124Y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100225652B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46128Y1 (ko) | 냉장고의 회전선반 멈춤장치 | |
KR19980027736U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46125Y1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200146134Y1 (ko) | 냉장고의 야채실 습도조절장치 | |
KR19990034890A (ko) | 냉장고의 선반장치 | |
KR0115208Y1 (ko) | 냉장고 | |
KR100614315B1 (ko) | 냉장고 | |
KR200292001Y1 (ko) | 냉장고 냉기토출장치 | |
KR100218290B1 (ko) | 냉장고 | |
KR200220613Y1 (ko) | 냉장고의 제빙용기 냉기공급장치 | |
KR0118043Y1 (ko) | 냉장고의 야채실 레일장치 | |
KR20030088558A (ko) | 냉장고의 개폐장치 | |
KR200169567Y1 (ko) | 냉장고의 물 공급레버 | |
KR200197384Y1 (ko) | 회전선반을갖는냉장고 | |
KR19990032122U (ko) | 냉장고의 선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