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127Y1 - 냉장고의 선반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선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127Y1
KR200146127Y1 KR2019960040701U KR19960040701U KR200146127Y1 KR 200146127 Y1 KR200146127 Y1 KR 200146127Y1 KR 2019960040701 U KR2019960040701 U KR 2019960040701U KR 19960040701 U KR19960040701 U KR 19960040701U KR 200146127 Y1 KR200146127 Y1 KR 200146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otary
auxiliary
refrigerato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738U (ko
Inventor
김춘택
우현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40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12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1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9/00Revolving cabinets or racks; Cabinets or racks with revolving parts
    • A47B49/004Cabinets with compartments provided with trays revolving on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장치는, 피물체를 수납하는 회전선반이 보조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반(210)에 회전선반(22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보조선반(210)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면서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보조선반(210)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에 각각 결합되는 제2베어링(2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피물체중에서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으려고 할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치우지 않고도 회전선반(220)의 회전에 따라 안쪽에 수납된 피물체를 사용자의 앞쪽으로 오도록 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함이 있음 물론 선반상의 무효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회전선반(220)상에 얹혀진 피물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회전선반(220)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수평밸런스를 유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회전선반(220)이 보조선반(210)에 접촉되지 않고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줄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선반장치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를 도시한 전체 단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댐퍼부재와 선반수단의 결합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선반수단이 설치된 냉장고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선반수단 및 낙하방지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1 및 제2베어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6도의 (a)(b)(c)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반수단의 동작상태를 단계별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a)도는 회전선반의 동작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b)도는 회전선반이 90°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c)도는 회전선반이 180°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1 및 제2베어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선반수단 220 : 보조수단
220 : 회전선반 221 : 회전축
222 : 중심축 230,240 : 제1 및 제2베어링
231,241 : 케이지부재 232, 242 : 볼
본 고안은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반의 안쪽(예컨대, 사용자의 중심에서 볼 때 냉장고의 내부 뒤쪽)에 있는 피물체(예컨대, 각종 저장용기나 또는 식품들)에 대한 수납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무효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내의 상, 하측에 냉동실(20)과 냉장실(30)을 구획함과 동시에 증발기(40)를 내장하여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단열부재(50)와, 상기 단열부재(50)의 후측에 상기 증발기(40)에 의해 열교환된 차가운 냉기가 상기 단열부재(50)의 내부를 통하여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로 각각 순환되도록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냉기순환수단(60)과,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의 내부공간을 칸칸이 구획하여 피물체를 상부에 지지하도록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일정높이에 착탈가능케 고정된 다수개의 선반부재(70)와, 상기 단열부재(5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선반부재(70)에 의해 칸칸이 구획된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냉기의 공급을 안내하도록 장착된 댐퍼부재(80)와,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각각 저장보관된 피물체를 인출하기 위하여 냉동 및 냉장실(20)(30)의 전면개구에 여닫이방식으로 개폐가능케 힌지결합된 냉동 및 냉장실도어(90)(91)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50)의 전측에는 상기 냉기순환수단(60)의 송풍력에 의해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형성된 냉기가 단열부재(50)내에 내장된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재차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되도록 상, 하부에 냉기유입구(51)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후측에는 상기 냉기순환수단(60)의 송풍력에 의해 증발기(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냉기를 댐퍼부재(80)를 통해 냉동 및 냉장실(20)(30)내부로 토출시켜주도록 상, 하부에 냉기출구(5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냉기순환수단(60)은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의 사이에 장착되어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61)와, 상기 모터(6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차가운 냉기를 냉동 및 냉장실(20)(30)내에 각각 분배공급함과 동시에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냉기를 단열부재(50)의 내부로 흡입하는 송풍팬(6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선반부재(70)는 상기 냉동실(20)과 냉장실(30)내의 양측벽에 돌출형성된 안내턱(11)에 의해 상호 일정간격을 두고 소정높이에 안착 고정되어 있다.
상기 댐퍼부재(80)의 전면에는 상기 냉동 및 냉장실(20)(30)의 내부로 냉기가분출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냉기토출구(8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냉기토출구(81)에는 냉기의 토출흐름을 안내함과 동시에 선반부재(70)상에 재치된 피물체에, 의해 냉기토출구(8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수개의 안내리브(82)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00은 주응축기, 101은 보조응축기, 102는 압축기, 103은 제빙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냉장고의 냉동 및 냉장실(20)(30)이 소정의 설정온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메인스위치(도시안됨)를 온 시켜 기계실(부호도시안됨)내에 장착된 압축기(102)를 가동시키면, 이 압축기(102)의 압축작용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스가 냉매관(도시안됨)을 통하여 토출되어 보조응축기(101)를 통과함과 동시에 주응축기(100)를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응축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응축기(100)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냉장고의 주위온도인 실온보다 다소높은 온도의 고압액체냉매로 상변환되어 모세관(도시안됨)을 통과함으로써 감압되고, 이 감압된 액체냉매는 증발기(40)를 따라 흐르게 됨으로써 저온저압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증발하여 냉각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냉기순환수단(60)의 모터(61)의 구동력에 의해 송풍팬(62)이 회전하게 되면, 이 송풍팬(62)의 송풍력에 의해 냉동 및 냉장실(20)(30)내의 공기가 단열부재(50)의 전측에 형성된 냉기유입구(51)로 유입되어 단열부재(50)내에 장착된 증발기(40)를 통과함으로써 차가운 냉기로 열교환되고, 이 차가운 냉기는 단열부재(50)의 후측에 형성된 냉기출구(52)를 통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송풍팬(62)의 송풍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양분되면서 댐퍼부재(80)의 안내를 받아 그 냉기토출구(81)를 통하여 냉동실(20)과 냉장실(30)측으로 각각 공급됨으로써 냉동 및 냉장실(20)(30)내부에 다수개의 선반부재(70)를 매개로 일정높이에 저장된 각종 피물체를 냉동 및 냉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부재(70)는 냉장실(30)의 양내측벽에 돌설된 안내턱(11)에 의해 일정높이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선반부재(70)에 의해 보관되는 피물체중에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으려고 할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로 인하여 간섭을 받기 때문에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먼저 치우고나서 피물체를 수납하여야 하는 사용의 불편함과 번거로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반의 회전에 따라 안쪽에 수납된 피물체가 사용자의 앞쪽으로 나오게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무효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회전선반상에 얹혀진 피물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회전선반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항상 수평밸런수를 유지하면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한 냉장고의 선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장치는, 피물체를 수납하는 회전선반이 보조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반에 회전선반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선반이 회전될 때 보조선반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면서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보조선반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회전선반의 회전축과 중심축에 각각 결합되는 제2베어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 제3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0은 냉장고의 안쪽 공간으로 피물체를 넣거나 또는 꺼낼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치우지 않고서도 안쪽의 피물체가 앞쪽으로 위치이동하도록 일정거리 직선이동되면서 회전동력되는 선반수단을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선반수단(200)은, 상기 냉장고의 양내측벽에 돌성된 한쌍의 안내턱(11)에 의해 일정높이로 고정된 보조선반(210)과, 상기 보조선반(210)의 안내를 받아 회전되면서 그 상부에 얹혀진 피물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보조선반(210)의 상부에 설치된 회전선반(220)과, 상기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피물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상기 보조선반(210)과 마찰저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히 회전되도록 회전선반(220)과 보조선반(21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베어링(230)과, 상기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보조선반(210)과 마찰저항을 일으키지 않고 원활히 회전되면서 회전선반(220)을 보조선반(210)에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제2베어링(2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보조선반(210)에는 그 평탄부에 대하여 중앙에서 후방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원호형상을 가지도록 회전축홈(211)이 관통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부에 대하여 중앙에서 전방 사이에는 세로방향으로 직선형상을 가지도록 중심축홈(21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선반(220)에는 그 평탄부 저면에 대하여 일측단 중앙에 상기 보조선반(210)에 관통형성된 회전축홈(211)의 안내를 받아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회전축(221)이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부 저면에 대하여 중앙에는 상기 보조선반(210)에 관통형성된 중심축홈(212)의 안내를 받아 전후방향으로 직선이동되도록 중심축(222)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그 가로축 양단에는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냉장고의 내부벽면에 부딪치지 않도록 완만한 곡선부(223)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에는 그 하부단에 상기 제2베어링(240)이 나사결합되도록 제1수나사면(221a)(222a)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단에는 상기 제1베어링(230)이 나사결합되도록 제2수나사면(221b)(22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제1베어링(230)은 상기 보조선반(210)과 회전선반(220)이 상호 결합되기전에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2수나사면(221b)(222b)에 각각 나사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2베어링(240)은 상기 보조선반(210)에 회전선반(220)이 결합된 후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수나면(221a)(222a)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진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베어링(230)은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2수나면(221b)(222b)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케이지부재(231)와, 상기 보조선반(210)의 상면과 회전선반(220)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선반(220)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상기 케이지부재(231)에 구름운동가능케 각각 지지되는 다수개의 볼(2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베어링(240)은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수나사면(221a)(222a)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케이지부재(241)와, 상기 보조선반(210)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케이지부재(241)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케이지부재(241)에 구름운동가능케 각각 지지되는 다수개의 볼(24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케이지부재(231)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제2수나사면(221b)(222b)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면(23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단 코너에는 상기 볼(232)이 일부 관통하여 상기 보조선반(210)과 회전선반(220)에 동시 접촉되도록 볼지지홀(2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지부재(241)의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제1수나사면(221a)(222a)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면(241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단 코너에는 상기 볼(242)이 안착되어 상기 보조선반(210)의 하면에 접촉되도록 볼지지홈(241b)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선반(210)과 회전선반(220)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소정위치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조선반(210)을 냉장고의 양내측벽에 돌설된 한쌍의 안내턱(11)의 상면에 안착시켜 냉장고의 소정높이에 설치한다.
또, 복수개의 제1베어링(230)의 케이지부재(231)에 각각 형성된 암나사면(231a)을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에 삽입시킴과 동시에 그들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단에 각각 형성된 제2수나사면(221b)(222b)과 상기 암나사면(231a)을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회전선반(22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제1베어링(230)을 각각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회전선반(220)의 저면에 돌설된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이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시킴과 동시에 그들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을 상기 보조선반(210)에 형성된 회전축홈(211)과 중심축홈(212)의 상부를 통하여 각각 삽입시킴으로써 회전선반(220)은 복수개의 제1베어링(230)을 매개로 보조선반(210)의 상부에 겹쳐진 상태로 놓이게 되고,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하단에 형성된 제1수나사면(221a)(222a)은 회전축홈(211)과 중심축홈(212)을 각각 통과하여 보조선반(21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복수개의 제2베어링(240)의 케이지부재(241)에 형성된 암나사면(241a)을 보조선반(210)의 하부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제1수나사면(221a)(222a)에 각각 체결함으로써 보조선반(210)과 회전선반(220)과의 조립을 완료한다.
따라서, 보조선반(210)과 회전선반(220)과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제1베어링(230)의 다수개의 볼(232)들은 케이지부재(231)에 의해 지지되어 구름운동되어 보조선반(210)과 회전선반(220)의 상면과 하면에 동시 접촉됨으로써 회전선반(220)상에 얹혀진 피물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회전선반(220)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수평밸런스를 유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회전선반(220)이 보조선반(210)에 접촉되지 않고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마찰저항을 감소시켜주게 된다.
상기 제2베어링(240)의 다수개의 볼(242)들은 케이지부재(241)에 안착됨과 동시에 보조선반(210)의 하면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됨으로써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케이지부재(241)의 상면과 보조선반(210)의 하면과의 마찰저항을 없애어 줄 뿐만 아니라, 회전선반(220)의 회전이 보다 원활하도록 유도하여 주게 된다.
다음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도어(91)를 열고서 회전선반(220)상에 얹혀져 보관되는 피물체(도시안됨) 중에서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기 위하여 회전선반(220)의 우측부분을 제6(b)도와 같이 90°정도 앞으로 잡아당기면, 회전선반(220)에 돌설된 중심축(222)은 보조선반(210)에 형성된 중심축홈(212)의 안내를 받아 앞으로 직선이동하고, 회전선반(220)에 돌설된 회전축(221)은 보조선반(210)에 형성된 회전축홈(211)의 안내를 받아 좌측에서 중앙으로 곡선이동됨으로써 회전선반(220)은 제6도의 (a)도에서 (b)도와 같이 회전된다.
이때, 회전선반(220)의 90°회전에 따라 제6(a)도와 같이 후방에 위치된 안쪽부분(H1)의 1/2이 (b)도와 같이 전방 우측으로 나오게 함으로써 그 안쪽부분(H1)에 있는 피물체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다.
또, 필요시에는 회전선반(220)을 제6(c)도와 같이 180°로 회전시키면, 안쪽부분(H1)이 전부 전방으로 나오게 됨과 동시에 앞쪽부분(H2)이 전부 후방으로 들어가게 됨으로써 그 앞쪽부분(H2)에 있는 피물체에 간섭을 받지않고도 안쪽부분(H1)에 있는 피물체를 소바자는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에서 회전선반(220)의 하면에 회전축(221)과 중심축(2220이 일체로 돌설되면서 그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상단부에 제2수나사면(221b)(222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수나사면(221b)(222b)에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제1베어링(230)이 각각 나사결합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관하여 일례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로서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선반(220)의 소정위치에 회전축고정홀(224)과 중심축고정홀(225)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이들 회전축고정홀(224)과 중심축고정홀(225)의 상부를 통하여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회전축부재(250)와 중심축부재(260)를 각각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재(250)와 중심축부재(260)은 그들 상단에 상기 회전축고정홀(224)과 중심축고정홀(225)의 상면 가장자리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면(226)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251)(261)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들 플랜지부(251)(261)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고정홀(224)과 중심축고정홀(225)을 관통하여 상기 제2베어링(240)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단부에 제3수나사면(252a)(262a)을 가진 축부(252)(262)가 일체로 각각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고정홀(224)과 중심축고정홀(225)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보조선반(210)에 접촉되지 않고 원활히 회전되도록 제3베어링(27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3베어링(270)은 상기 회전축고정홀(224)과 중심축고정홀(225)의 하부 가장자리에 일체로 돌설된 케이지부(271)와, 상기 케이지부(271)의 가장자리에 상기 보조선반(210)의 상면과 상기 플랜지부(251)(261)의 하면에 각각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도록 설치되는 볼(27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지부(271)에는 그 가장자리 코너부분에 상기 다수개의 볼(272)이 각각 삽입 안착되도록 다수개의 볼지지홀(271a)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선반(220)에 회전축부재(250)와 회전축부재(260)가 별도로 결합되고, 회전선반(220)에 제3베어링(270)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의하면, 피물체를 상부에 얹혀서 냉장고의 내부에 수납시키는 회전선반이 보조선반의 상부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피물체중에서 안쪽에 보관되는 피물체를 꺼내거나 또는 안쪽에 있는 공간에 피물체를 넣으려고 할 때 사용자의 앞쪽에 있는 피물체를 치우지 않고도 회전선반의 회전에 따라 안쪽에 수납된 피물체를 사용자의 앞쪽으로 오도록 할수 있어,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선반상의 무효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회전선반상에 얹혀진 피물체의 무게중심에 의해 회전선반이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항상 수평밸런스를 유지하면서 원활히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피물체를 수납하는 회전선반이 보조선반의 상부에 회전가능케 설치된 냉장고의 선반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선반(210)에 회전선반(220)을 결합시킴과 동시에 회전선반(220)이 회전될 때 보조선반(210)에 접촉되어 구름운동되면서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키도록 보조선반(210)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된 회전선반(220)의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에 각각 결합되는 제2베어링(2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어링(240)은 상기 회전축(221)과 중심축(222)의 하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케이지부재(241)와, 상기 보조선반(210)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케이지부재(241)의 회전운동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케이지부재(241)에 구름운동가능케 각각 지지되는 다수개의 볼(2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19960040701U 1996-11-19 1996-11-19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0146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01U KR200146127Y1 (ko) 1996-11-19 1996-11-19 냉장고의 선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701U KR200146127Y1 (ko) 1996-11-19 1996-11-19 냉장고의 선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38U KR19980027738U (ko) 1998-08-05
KR200146127Y1 true KR200146127Y1 (ko) 1999-06-15

Family

ID=1947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701U KR200146127Y1 (ko) 1996-11-19 1996-11-19 냉장고의 선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1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1854A (zh) * 2017-09-01 2020-04-17 保罗海蒂诗有限及两合公司 储存架底座和家具或家用电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1854A (zh) * 2017-09-01 2020-04-17 保罗海蒂诗有限及两合公司 储存架底座和家具或家用电器
CN111031854B (zh) * 2017-09-01 2021-10-12 保罗海蒂诗有限及两合公司 储存架底座和家具或家用电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38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119B1 (ko) 냉장고
US20080202149A1 (en) Refrigerator
CN101191690A (zh) 冰箱
JPH10153382A (ja) 冷蔵庫の棚装置
US20190331395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0146127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US20190331396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0146133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0146129Y1 (ko) 냉장고의 회전선반 멈춤장치
KR200146126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0152135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0152134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19980027736U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100225652B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0146124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0146128Y1 (ko) 냉장고의 회전선반 멈춤장치
KR0153725B1 (ko) 회전식 원형냉장고
KR200146125Y1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0125477Y1 (ko) 냉장고의 서랍식 레일장치
KR19990034890A (ko) 냉장고의 선반장치
KR200146134Y1 (ko) 냉장고의 야채실 습도조절장치
KR0115208Y1 (ko) 냉장고
KR100884955B1 (ko) 용적 가변형 냉장고
KR20030088558A (ko) 냉장고의 개폐장치
KR0118043Y1 (ko) 냉장고의 야채실 레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