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424Y1 - 양방향 진공 부착구 - Google Patents

양방향 진공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424Y1
KR200169424Y1 KR2019990017488U KR19990017488U KR200169424Y1 KR 200169424 Y1 KR200169424 Y1 KR 200169424Y1 KR 2019990017488 U KR2019990017488 U KR 2019990017488U KR 19990017488 U KR19990017488 U KR 19990017488U KR 200169424 Y1 KR200169424 Y1 KR 200169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glass
attached
smooth surface
bidire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중근
Original Assignee
임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중근 filed Critical 임중근
Priority to KR2019990017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4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4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진공을 이용하여 유리나 비닐과 같은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다른 물건을 부착하기 위한 진공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진공에 의하여 유리나 거울등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수지재 접시형 진공부재(12)(14)를 일체로 대칭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 부착구를 제공함으로써, 유리나 비닐과 같은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이와 동일한 표면을 갖는 다른 물건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진공 부착구{FIXING INSTRUMET WITH VACUUM}
본 고안은 진공을 이용하여 유리나 비닐과 같은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다른 물건을 부착하기 위한 진공 부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부착구의 진공부재를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유리나 비닐과 같은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이와 동일한 표면을 갖는 다른 물건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진공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중이 작은 인형이나 악세사리등을 유리나 거울등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하여 유리나 거울등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체에 부착되는 진공부재가 부착된 진공 부착구가 인형이나 악세사리등에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진공 부착구를 유리등에 부착할 경우 진공부재가 일측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대측에는 다른 물건을 부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었다.
그리고, 유리나 거울등에 표면이 메끄러운 물건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부착후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분리되었을 경우에도 접착제가 남게되어 외관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진공부착구의 진공부재를 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유리나 비닐과 같은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이와 동일하 다른 물건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진공 부착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진공 부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진공 부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진공 부착구 12, 14 : 진공부재
16 : 축 20 : 창문
30 : 유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진공 부착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진공 부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진공 부착구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에 의하여 유리나 거울등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수지재 접시형 진공부재(12)(14)를 소정길이의 축(16)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일체로 대칭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 2a및 도 2b를 참조하여 살펴보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창문(20)에 작은 유리 혹은 코팅물(이하 유리라 함; 30)을 부착하는 것을 예로 살펴보나, 유리와 같은 표면을 갖는 다른 물거의 경우의 실시 예도 이와 동일하다.
우선 상기 양방향 진공 부착구(10)의 일측 진공부재(12)를 도 2a및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창문(20)에 진공을 이용하여 부착한 후, 상기 양방향 진공 부착구(10)의 타측 진공부재(14)에 유리(30)를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한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고리가 부착된 물건을 창문(20)에 더 부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진공부재(12)(14)를 연결하는 축(16)에 상기 고리를 걸면 하나의 부착구로 복수개의 물건을 창문(20)에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리나 거울등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체에 이와 동일한 표면을 갖는 다른 물체를 양방향 진공 부착구(10)를 사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게 되며, 동시에 복수개의 물건을 하나의 진공 부착구(10)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진공 부착재에 의하면 유리나 거울등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체에 이와 동일한 표면을 갖는 다른 물체를 양방향 진공 부착구를 사용하여 부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유리등에 다른 유리등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되어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복수개의 물건을 하나의 진공 부착구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진공을 이용하여 유리나 비닐과 같은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다른 물건을 부착하기 위한 진공 부착구에 있어서,
    진공에 의하여 유리나 거울등 메끄러운 표면을 갖는 물건에 부착되는 복수개의 수지재 접시형 진공부재(12)(14)를 일체로 대칭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진공 부착구.
KR2019990017488U 1999-08-23 1999-08-23 양방향 진공 부착구 KR200169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88U KR200169424Y1 (ko) 1999-08-23 1999-08-23 양방향 진공 부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88U KR200169424Y1 (ko) 1999-08-23 1999-08-23 양방향 진공 부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424Y1 true KR200169424Y1 (ko) 2000-02-15

Family

ID=19585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488U KR200169424Y1 (ko) 1999-08-23 1999-08-23 양방향 진공 부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4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0413A (en) Hanger assembly
US20050044673A1 (en) Multi-function hanging and fastening device
WO2002066292A3 (en) Running board mounting bracket
USD420569S (en) Attachment clip
US5524857A (en) Multi use flag holder apparatus
CA2308079A1 (en) Vehicle lamp housing having multiple mounting means,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169424Y1 (ko) 양방향 진공 부착구
JP2593746B2 (ja) 自動車用物品の取着装置
JPS59106661A (ja) タイル役物
CN210662572U (zh) 一种灯具装饰件安装结构及吊灯
KR200233533Y1 (ko) 흡착구를 이용한 장식용 벽걸이구조
JPH0728755Y2 (ja) 外装パネル取付構造
JPH08150010A (ja) 電子機器筐体と可搬バンドの結合具
JPS6019290Y2 (ja) シャンデリアの飾体の取付構造
JPH0512888Y2 (ko)
KR200299569Y1 (ko) 벨크로테이프 한짝이 접착된 면을 구비한 흡착구
KR200322448Y1 (ko) 물품 부착용 보조구
KR910002592Y1 (ko) 부채걸이구
KR200294156Y1 (ko) 사진 등을 결착할 수 있는 액자
JPH0453999Y2 (ko)
KR200224159Y1 (ko) 액세서리용 보조장식부재 부착구조
JPH0136219Y2 (ko)
JPS5918712Y2 (ja) 電線束クランプ
JP2754321B2 (ja) 物掛け具
KR200151146Y1 (ko) 버스용 실링파이프의 상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