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330Y1 - 모니터용 선반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330Y1
KR200169330Y1 KR2019990017495U KR19990017495U KR200169330Y1 KR 200169330 Y1 KR200169330 Y1 KR 200169330Y1 KR 2019990017495 U KR2019990017495 U KR 2019990017495U KR 19990017495 U KR19990017495 U KR 19990017495U KR 200169330 Y1 KR200169330 Y1 KR 2001693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helf
flat plate
bol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19990017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3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3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3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 상에 설치하여 책이나 문구류 등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므로 써 모니터 상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니터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모니터 상부공간을 활용할 방안이 없었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은 소정 넓이의 평판, 평판 저면 전반부에 설치된 접착부 및 평판 저면 후반부에 설치되어 평판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모니터 상부공간에 선반을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사무용품이나 책 등 비교적 가볍고 부피가 작은 물건을 올려둘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니터용 선반{A shelf for monitor}
본 고안은 모니터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니터 상에 설치하여 책이나 문구류 등을 올려둘 수 있도록 하므로 써 모니터 상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니터용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의 상면은 앞쪽이 높고 뒤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고, 또 모델에 따라 제조회사에 따라 그 상면의 형태와 경사도가 다르게 되어 있다. 이러한 모니터의 상면에는 내부기판과 코일 등에서 발생되는 열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모니터의 상면에는 필요한 물건을 얹어두기에 부적합하다. 즉, 모니터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얹어둔 물건이 쉽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열이 발산되는 구멍이 막혀 모니터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사정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모니터 상부공간을 활용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 상부공간에 선반을 마련하여 필요한 물건을 얹어둘 수 있도록 하므로 써 모니터 상부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니터용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 모니터용 선반을 상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의 저면 모습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 다리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니터 100 : 모니터용 선반
110 : 평판 112 : 테두리
120 : 접착부 130 : 다리
131 :평판부착구 131a : 안내공
131b : 리브 131c : 플랜지
132 : 나사못 133 : 볼트
133a : 머리 133b : 나선
135 : 너트 137 : 높이조절봉
137a : 암나사부 137b : 홈
139 : 경사받침대 139a : 구형부
139b : 받침부
본 고안의 목적은 모니터 상에 설치하여 필요한 물품을 얹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니터용 선반에 있어서, 소정 넓이의 평판, 평판 저면 전반부에 설치된 접착부 및 평판 저면 후반부에 설치되어 평판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선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평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접착부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되고, 다리는 평판 저면에 부착되고 소정 경로를 따라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부착구와 안내공에 삽입되어 필요한 위치로 이동 가능한 볼트와 볼트에 결합되어 볼트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여주는 너트와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하단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여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높이조절봉과 홈에 결합되는 구형부와 구형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구비하여 필요한 각도로 경사 가능한 경사받침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 모니터용 선반을 상면에서 보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의 저면모습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100)은 소정 넓이의 평판(1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평판(110)은 필요한 물건을 얹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도 3에 나타낸 형태 외에 여타의 다른 모양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원형의 것, 육각형의 것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평판(11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위쪽으로 돌출된 테두리(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테두리(112)는 평판(110) 상에 얹어놓은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110) 저면 전반부에는 접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착부(120)는 모니터(10)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 양면테이프를 소정 간격으로 3개 정도 설치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100)은 다리(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다리(130)는 평판(110)의 후반부를 지지하여주는 것으로, 2개 정도를 양측 모서리 부근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 다리(130)는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부분으로 경사면에서의 지지에 적합하고 또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다리(130)는 평판부착구(131)와 볼트(133)와 너트(135)와 높이조절봉(137)과 경사받침대(139)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다리의 자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즉, 접착부(120)를 모니터(10) 상면 앞쪽 끝단에 부착하고, 뒤쪽에서는 너트(135)를 풀어 볼트(133)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너트(135)를 잠가 볼트(133)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높이조절봉(137)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각각 회동시켜 다리(130)의 높이를 조절하여 평판(110)의 상면이 대략 평면을 이루도록 조정하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즉,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모니터(10) 상에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100)을 설치하여두고, 그 위에 필요한 책이나 사무용품 등을 올려두면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 다리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130)는 평판(110) 저면에 부착되고 소정 경로를 따라 안내공(131a)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부착구(1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평판부착구(131)는 나사못(132)을 통해 평판(110)의 저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안내공(131a) 위쪽으로는 리브(131b)와 플랜지(131c)를 각각 형성하여 볼트(133)가 안내공(131a)을 따라 이동할 때 볼트(133) 머리(133a)가 아래쪽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물론, 중앙부근의 구멍(131d)은 볼트(133) 머리(133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130)는 볼트(13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볼트(133)는 안내공(131a)에 삽입되어 필요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것으로, 그 머리(133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것, 육각의 것 등 필요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볼트(133)는 안내공(13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으며, 머리 아래쪽 외주면으로는 나선(133b)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100)의 다리(130)는 너트(1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너트(135)는 볼트(133)에 결합되어 볼트(133)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너트(135) 아래쪽으로 높이조절봉(137)이 결합된다. 높이조절봉(137)은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부(137a)와 하단에 형성된 홈(137b)을 구비하고 있으며, 볼트(133)에의 결합정도에 따라 다리(130) 높이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높이조절봉(137)의 하부 홈(137b)에는 경사받침대(139)가 결합된다. 이 경사받침대(139)는 홈(137b)에 결합되어 회동 가능한 구형부(139a)와 구형부(139a)를 받쳐주는 받침부(139b)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니터(10)의 경사진 상면에서 평판(110)을 수평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경사받침대(139)의 저면은 모니터(10) 상면의 경사각도에 맞추어 경사지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볼트(133) 머리(133a)를 중앙의 구멍(131d)으로 통과시켜 안내홈(131a)을 따라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너트(135)를 잠그면 볼트(133) 머리(133a) 저면과 너트(135) 상면 사이의 플랜지(131c)에 볼트(133)가 고정된다. 그 상태에서 다시 높이조절봉(137)을 볼트(133)에 결합하여 다리(130)를 적절한 높이로 조정한다. 그리고, 높이조절봉(137)의 저면에는 경사받침대(139)를 결합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용 선반을 이용하는 경우 모니터 상부공간에 선반을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사무용품이나 책 등 비교적 가볍고 부피가 작은 물건을 올려둘 수 있다.

Claims (2)

  1. 모니터 상에 설치하여 필요한 물품을 얹어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모니터용 선반에 있어서,
    소정 넓이의 평판;
    상기 평판 저면 전반부에 설치된 접착부; 및
    상기 평판 저면 후반부에 설치되어 평판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착부는 양면테이프로 구성되고, 상기 다리는 상기 평판 저면에 부착되고 소정 경로를 따라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평판부착구와 상기 안내공에 삽입되어 필요한 위치로 이동 가능한 볼트와 상기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볼트를 필요한 위치에 고정하여주는 너트와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하단에 형성된 홈을 구비하여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높이조절봉과 상기 홈에 결합되는 구형부와 구형부를 받쳐주는 받침부를 구비하여 필요한 각도로 경사 가능한 경사받침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용 선반.
KR2019990017495U 1999-08-23 1999-08-23 모니터용 선반 KR2001693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95U KR200169330Y1 (ko) 1999-08-23 1999-08-23 모니터용 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495U KR200169330Y1 (ko) 1999-08-23 1999-08-23 모니터용 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330Y1 true KR200169330Y1 (ko) 2000-02-15

Family

ID=1958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495U KR200169330Y1 (ko) 1999-08-23 1999-08-23 모니터용 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3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443A (ko) * 2001-07-09 2003-01-23 하현승 음극선관 모니터
KR100751499B1 (ko) * 2006-05-25 2007-08-23 김성진 영상표시장치용 선반
KR20200000797U (ko) 2018-10-11 2020-04-21 김용태 모니터용 선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443A (ko) * 2001-07-09 2003-01-23 하현승 음극선관 모니터
KR100751499B1 (ko) * 2006-05-25 2007-08-23 김성진 영상표시장치용 선반
KR20200000797U (ko) 2018-10-11 2020-04-21 김용태 모니터용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6245B2 (en) Stability support TV anti-tip device
US5794545A (en) Linkable modular table system
US7367279B2 (en) Stackable support shock absorbing platform
US7450371B2 (en) Computer stability system
US20030034717A1 (en) Computer case with an adjustable space
KR20100102602A (ko) 테이블
US5848497A (en) Cluster desk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KR200169330Y1 (ko) 모니터용 선반
US20030189306A1 (en) Wheelchair having foldable backrest module and seat module
JP3035474B2 (ja) アジャスタボルト装置
US6536858B1 (en) Elevated binder bin
GB2050152A (en) Adjustable feet for cupboards, cabinets or the like
US6003962A (en) Height-controllable desk
US5918300A (en) Device for locating and adjusting a set of cymbals
JP2006212106A (ja) 学習家具
JP3690515B2 (ja) 物品収納什器
JP3856254B2 (ja) 机上棚装置
KR200175150Y1 (ko) 모니터용기능성선반
JP3065859U (ja) 物置棚
KR20190127189A (ko) 다과상 등의 다기능으로 사용가능한 독서대
US5567913A (en) Electrical box mounting stand
JP3211107U (ja) 角度調整可能な分離机
KR960003136Y1 (ko) 가구수평 조절용 받침구
JP3038334U (ja) テレビ載置用脚付きボード
JP3059797U (ja) モニター上部用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