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169Y1 - 시멘트운반용탱크커버의체결구 - Google Patents

시멘트운반용탱크커버의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169Y1
KR200169169Y1 KR2019990014116U KR19990014116U KR200169169Y1 KR 200169169 Y1 KR200169169 Y1 KR 200169169Y1 KR 2019990014116 U KR2019990014116 U KR 2019990014116U KR 19990014116 U KR19990014116 U KR 19990014116U KR 200169169 Y1 KR200169169 Y1 KR 200169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ement
fastening nut
screwed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태
Original Assignee
김선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태 filed Critical 김선태
Priority to KR2019990014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mixed concrete, e.g. having rotatable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05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Arrangements of access openings or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멘트를 수송하는 시멘트 운반용 탱크에 있어 탱크안에 시멘트를 투입하거나 또는 탱크안의 시멘트를 목적지에 운반한 후 반출할 때 개폐하는 탱크커버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시멘트 운반용 탱크커버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탱크본체(10) 상부에 뚫린 시멘트 투입구 주변에 부착된 체결브라켓(11)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그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볼트(20)와, 상기 체결볼트(2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돌출되는 핸들(40)과, 상기 체결너트(30) 상단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보호캡(5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연부 하부에는 공간부(32)가 형성되게 직경이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20)의 상단부(22)가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멘트 운반용 탱크커버의 체결구{A Device for connecting Tank Cover with tank body}
본 고안은 시멘트를 수송하는 시멘트 운반용 탱크에 있어 탱크안에 시멘트를 투입하거나 또는 탱크안의 시멘트를 목적지에 운반한 후 반출할 때 개폐하는 탱크커버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시멘트 운반용 탱크커버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멘트 운반용 탱크커버의 체결구는 국내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95-3042호 및 도1,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본체(10) 상부에 뚫린 시멘트 투입구 주변에 부착된 체결브라켓(11)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그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볼트(20)와, 상기 체결볼트(20)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돌출되는 핸들(40)과, 상기 체결너트(30) 상단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보호캡(50)으로 구성하되,
상기 체결너트(30)의 하부 내주연부에 나사부(31a)가 형성되고, 그 상부 내주연에는 공간부(32a)가 형성되게 직경이 그 하부보다 크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20)의 나사부 하단부(21)와 체결너트(30)의 하부 내주연이 상호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체결구는 체결볼트(20)의 하단부를 체결브라켓(11)에 축결합하여 상부로 젖히되, 체결너트(30)의 하단면이 탱크커버(12)의 외측 테두리에 돌출된 걸림턱(12a)에 걸쳐지게 위로 젖힌 후, 핸들(40)로 체결너트(30)를 조이면 탱크커버(12)를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체결구는 1개 탱크커버(12)당 6개의 체결구를 체결하게 되어 있고, 1량에 3개의 탱크커버(12)가 있다. 따라서 시멘트 운반용 열차 1대당 10량으로 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 열차 1대당 체결구를 모두 합산하면 자그마치 180개의 체결구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구들을 견고하게 체결하게 될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으나, 이 많은 체결구들을 일일이 손으로 핸들을 돌려서 체결하게 됨으로써 견고하게 체결하지 못하고 느슨하게 체결하게 마련이다. 한편, 시멘트 운반용 열차가 정차하는 정거장에는 대체로 전기적 시설이 미비하므로 체결볼트를 전기를 이용한 기계적장치로 조이는 것이 어렵고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열차가 달리는 도중 심한 진동에 의해서 느슨하게 체결된 체결구들의 체결볼트(20)가 체결너트(30)로부터 풀려지게 된다. 이 풀려진 체결볼트(20)는 탱크커버(12)의 외측 테두리에 돌출된 걸림턱(12a)에 부딪혀서 나사부가 심하게 망가지게 된다. 이처럼 나사부가 망가진 체결볼트(20)는 더 이상 체결너트(30)에 결합할 수가 없어서 고철로 폐기처분할 수밖에 없다.
이때, 체결볼트(20)만 분리해서 버리는 것이 아니고 체결구 전체를 버리게 된다. 왜냐하면 체결볼트(20)를 체결너트(30) 및 보호캡(50)을 모두 나사돌림하여 해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 해체하는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귀찮기 때문에, 아예 브라켓 축 하나만 간단히 분리해 내서 체결구 전체를 통체로 버리게 된다. 따라서 체결구 전체를 몽땅 버리게 되므로 자제비용이 만만치 않았다. 실지로 현장에서는 체결구를 2년마다 정기적으로 모조리 교체하는 것으로 아예 규정하고 있다.
또한, 체결볼트(20)의 나사부가 망가지게 되는 다른 이유는 체결볼트를 포함하여 모든 구조부에 시멘트가 덕지덕지 달라붙어 굳어있다. 이러한 달라붙은 시멘트를 떼어 내기 위해 망치 등으로 타격을 가할 때 나사부가 심하게 망가진다.
한편, 종래의 체결구는 체결볼트(20)의 나사부가 망가지는 부위는 주로 나사부의 하단부(21)가 된다. 그리고 체결너트(30) 나사부의 하단부(21)가 체결너트(30)의 내주면 하부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체결볼트(20) 나사부 하단부(21)가 체결너트(30)의 내주면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31a)에 나사결합되므로 체결볼트(20) 나사부의 하단부(21)가 망가지면 결합이 곤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볼트가 느슨하게 체결되어 열차의 진동에 의해 풀려서 탱크커버의 걸림턱에 부딪히더라도 나사부에 영향을 받지않고 체결이 가능하게 하는 시멘트 운반용 열차의 탱크커버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체결볼트를 교체하지 아니하고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제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는 시멘트 운반용 열차의 탱크커버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탱크커버의 체결구들이 탱크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2는 종래의 탱크커버의 체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탱크커버의 체결구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탱크커버의 체결구 결합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탱크커버의 체결구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체결구 10:탱크본체
11:체결브라켓 12:탱크커버
12a:걸림턱 20:체결볼트
21:나사부의 하단부 22:나사부의 상단부
30:체결너트 31:나사부
32:공간부 40:핸들
50:보호캡 51:급유공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시멘트 운반용 열차의 탱크커버 체결구는 탱크본체 상부에 뚫린 시멘트 투입구 주변에 부착된 체결브라켓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그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와, 상기 체결너트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돌출되는 핸들부와, 상기 체결너트 상단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보호캡으로 구성되는 점에서는 종래의 기술적 개념과 별 다를 바가 없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체결너트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연부 하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직경이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의 상단부가 체결너트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들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의 체결구(1)도, 도1, 도3, 도4 및 도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본체(10) 상부에 뚫린 시멘트 투입구 주변에 부착된 체결브라켓(11)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그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볼트(20)와, 상기 체결볼트(2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돌출되는 핸들(40)과, 상기 체결너트(30) 상단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보호캡(5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30)의 상부 내주연부에 나사부(31)가 형성되고, 그 하부 내주연에는 공간부(32)가 형성되게 직경이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게 하여 상기 체결볼트(20)의 상단부(22)가 체결너트(30)의 상부 내주연의 나사부(31)에 나사결합되게 한다는 점에서 상기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체결너트의 내주연부 하부에 나사부(31a)가 형성되어 체결볼트의 하부와 나사결합되었던 종래의 것과는 달리,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부(31)를 형성하여 체결볼트(20)의 상단부(22)와 나사결합 됨으로써, 결합되는 위치가 서로 상반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여기에서,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부(31)를 형성하여 체결볼트(20)의 상단부(22)와 나사결합하는 이유는, 체결볼트(20)가 어느정도 풀려져 탱크커버(12)의 걸림턱(12a)에 부딪히더라도 나사부의 하단부(21)에 부딪히게 함으로써, 체결너트(30)의 나사부(31)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20)의 상단부(22)와는 무관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고안 체결구(1)를 느슨하게 체결할 경우에 체결볼트(20)가 체결너트(30)로부터 어느정도 풀려서 탱크커버(12)의 걸림턱(12a)에 부딪혀 나사부 하단부(21)가 심하게 망가지더라도 체결볼트 상단부(22)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나사결합에는 전혀 장애를 주지 않는다. 그래서 체결구를 교체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교체하는데 소요되는 자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볼트(20)의 나사부 하단부(21)에도 나사산을 형성시킨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나사부의 하단부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으므로 나사산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본 고안은 도5에서와 같이, 보호캡(50)의 상단부에 급유공(51)을 뚫어서 필요할 때마다 급유를 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급유를 할 때 보호캡(50)을 열지 아니하고 급유를 할 수 있게 되므로 급유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고안의 도면부호와 종래의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부여 했으며, 또한 각 구조부는 종래의 것과 별 다를 바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시멘트 운반용 열차의 탱크커버 체결구는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하부에 나사부(31a)를 형성하여 체결볼트(20)의 하단부(21)와 나사결합했던 종래의 것과는 상반되도록,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부(31)를 형성하여 체결볼트(20)의 상단부(22)와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체결볼트(20)의 나사부 하단부(21)가 탱크커버의 걸림턱(12a)에 부딪혀 망가지더라도 그 상단부(22)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되므로써, 체결볼트(20)와 체결너트(30)의 나사결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체결구(1)를 교체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제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2)

  1. 탱크본체(10) 상부에 뚫린 시멘트 투입구 주변에 부착된 체결브라켓(11)에 상하 회전이 가능하게 그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그 상단부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체결볼트(20)와, 상기 체결볼트(2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30)와, 상기 체결너트(3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돌출되는 핸들(40)과, 상기 체결너트(30) 상단부 외주연에 나사결합되는 보호캡(5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내주연부 하부에는 공간부(32)가 형성되게 직경이 상부보다 크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체결볼트(20)의 상단부(22)가 체결너트(30)의 내주연부 상부에 나사결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운반용 열차의 탱크커버 체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50)의 상부 일정위치에 급유공(51)이 뚫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멘트 운반용 열차의 탱크커버 체결구.
KR2019990014116U 1999-07-16 1999-07-16 시멘트운반용탱크커버의체결구 KR200169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116U KR200169169Y1 (ko) 1999-07-16 1999-07-16 시멘트운반용탱크커버의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116U KR200169169Y1 (ko) 1999-07-16 1999-07-16 시멘트운반용탱크커버의체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551 Division 1999-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169Y1 true KR200169169Y1 (ko) 2000-02-15

Family

ID=1958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116U KR200169169Y1 (ko) 1999-07-16 1999-07-16 시멘트운반용탱크커버의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1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3866A (en) Manhole cover locking bolt construction
US5222851A (en) Closet bolt assembly
US3803972A (en) Fasteners
US7927049B2 (en) Wheel lug nut management device
CA2002993C (en) Fluid conduit coupling device
KR200169169Y1 (ko) 시멘트운반용탱크커버의체결구
US4576308A (en) Tank hatch opening obstructing construction
EP1795441B1 (en) Detachable fastening apparatus for front fork accessories of bicycles
CN108561399A (zh) 一种防松动紧固装置
JP4817558B2 (ja) ガスメーター接続部配管の保護カバー
CN201535310U (zh) 防盗螺纹联接装置
TW200628692A (en) Throttle body fastening structure
CN2291526Y (zh) 防脱落紧固件
CN220227458U (zh) 一种便于维护的紧固件
WO2009024093A1 (fr) Dispositif de fixation sous forme de boulon verrouillable et antirouille
CN110094406A (zh) 一种防螺帽滑脱螺杆
JPH08159129A (ja) ナットおよびその締結用工具
CN216895296U (zh) 一种组合型螺栓紧固件
KR200203589Y1 (ko) 보조핸들이 부착된 핸들커버
EP1332294B1 (en) Fastening device
JPS6332973Y2 (ko)
CN207578278U (zh) 一种铁路防盗螺栓用电动扳手
JP3104843U (ja) 回転締結金具用弛緩防止具
JPH028704Y2 (ko)
CN206869904U (zh) 圆管拉紧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