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107Y1 - 스로틀 바디구조 - Google Patents

스로틀 바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107Y1
KR200169107Y1 KR2019950046797U KR19950046797U KR200169107Y1 KR 200169107 Y1 KR200169107 Y1 KR 200169107Y1 KR 2019950046797 U KR2019950046797 U KR 2019950046797U KR 19950046797 U KR19950046797 U KR 19950046797U KR 200169107 Y1 KR200169107 Y1 KR 200169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throttle body
boss
body structure
throttl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6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250U (ko
Inventor
김형익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6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107Y1/ko
Publication of KR9700412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2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00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 F02M1/08Carburettors with means for facilitating engine's starting or its idling below operational temperatures the means to facilitate starting or idling becoming operative or inoperative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1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carburettor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1/00 - F02M17/00
    • F02M19/12External control gear, e.g. having dash-pots
    • F02M19/128Reserve throttle idle return spring, e.g. for use upon failure of the main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의 보스와 축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스로틀 바디구조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스로틀 바디에 있어서,
가속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스로틀 레버와, 이 스로틀 레버가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설치되어 스로틀 바디의 통로를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가 개도하도록 지지하는 보스부와, 이 보스에 개재되어 회전이 슬립링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압입 설치된 부싱과, 이 부싱이 압입된 보스부에 설치되어 스로틀 레버가 리턴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Description

스로틀 바디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로틀 바디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 측면도.
제3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로틀 바디구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와이어 24 : 스로틀 레버
25 : 지지축 26 : 스로틀 바디
27 : 통로 28 :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
29 : 보스부 30 : 슬립링
31 : 부싱 33 : 탄성부재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로틀 바디의 보스와 축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스로틀 바디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로틀 바디구조를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데, 스로틀 바디구조(1)는 스로틀 바디(2)의 통로(3)에 설치되어 흡기량 제어시 개도되는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4)와, 이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4)가 설치된 축(5)이 보스(6)로 거치되면서 양측의 베어링(7)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도록 개재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베어링(7)은 일측에 역시 개재될 부싱(8)에 의해 지지 설치되어 마찰과 마모를 저감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 베어링(7)으로 지지되는 일측에 스로틀 레버(9)를 설치하여 가속페달과 연동하도록 와이어(10)로 연결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또, 상기한 스로틀 바디(2)에 설치된 축(5)의 일측에만 스로틀 레버(9)를 설치하고 있어 하중이 편중되어 스로틀 레버(9)로만 하중이 집중되어 마모가 발생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은 스로틀 바디의 보스와 축이 마모되어 아이들시 흡기의 누설로 아이들이 조정이 불량해지고 측면에 설치된 스로틀 포지션 센서의 감지실패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스로틀 바디의 보스와 축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스로틀 바디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에 있어서,
가속페달과 와이어로 연결되는 스로틀 레버와, 이 스로틀 레버가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에 설치되어 스로틀 바디의 통로를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가 개도하도록 지지하는 보스부와, 이 보스에 개재되어 회전이 슬립링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압입 설치된 부싱과, 이 부싱이 압입된 보스부에 설치되어 스로틀 레버가 리턴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로틀 바디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스로틀 바디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부호(20)는 스로틀 바디구조를 지칭한다.
상기한 스로틀 바디구조(20)는 가속페달과 와이어(23)로 연결되는 스로틀 레버(24)와, 이 스로틀 레버(24)가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하는 지지축(25)과, 이 지지축(25)에 설치되어 스로틀 바디(26)의 통로(27)를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28)가 개도하도록 지지하는 보스부(29)와, 이 보스(29)에 개재되어 회전이 슬립링(30)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압입 설치된 부싱(31)과, 이 부싱(31)이 압입된 보스부(29)에 설치되어 스로틀 레버(32)가 리턴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은 사용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와이어(23)가 당겨지면, 이 와이어(23)가 당겨진만큼 스로틀 레버(24)가 회전하게 되므로 지지축(25)에 형성되어 있는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28) 역시 상기 스로틀 레버(24)가 회전한 만큼 회전하여 스로틀 바디(26)의 통로(27)를 개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로틀 레버(24)의 회전각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90°가 되도록 설정한다.
스로틀 레버(24)의 회전각이 90°를 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대부분의 스로틀 밸브의 최대 회전각이 90°이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스로틀 레버(24)로 지지축(25)에 고정 설치하고 가속페달과 연결된 와이어(23)는 스로틀 레버(24)의 중간에 연결하므로서 하중이 지지축(25)의 양단을 통해 균등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스로틀 바디(26)의 보스부(29)에 내장되던 베어링을 삭제하고, 슬립링(30)과, 부싱(31)등 만으로 내구성이 충분히 유지되는 고안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로틀 바디에 전달되던 하중을 스로틀 레버의 중간을 통해 전달되도록 하므로서 균등한 하중의 전달로 축의 내구성이 도모되며, 베어링 개재를 삭제하므로서 원가절감의 효과도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스로틀 바디에 있어서,
    가속페달과 와이어(23)로 연결되는 스로틀 레버(24)와, 이 스로틀 레버(24)가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하는 지지축(25)과, 이 지지축(25)에 설치되어 스로틀 바디(26)의 통로(27)를 스로틀 밸브 플레이트(28)가 개도하도록 지지하는 보스부(29)와, 이 보스부(29)에 개재되어 회전이 슬립링(30)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압입 설치된 부싱(31)과, 이 부싱(31)이 압입된 보스부(29)에 설치되어 스로틀 레버(24)가 리턴되도록 하는 탄성부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로틀 바디구조.
KR2019950046797U 1995-12-23 1995-12-23 스로틀 바디구조 KR200169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797U KR200169107Y1 (ko) 1995-12-23 1995-12-23 스로틀 바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6797U KR200169107Y1 (ko) 1995-12-23 1995-12-23 스로틀 바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250U KR970041250U (ko) 1997-07-29
KR200169107Y1 true KR200169107Y1 (ko) 2000-03-02

Family

ID=1943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6797U KR200169107Y1 (ko) 1995-12-23 1995-12-23 스로틀 바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10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960B1 (ko) * 2006-11-21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로틀 바디에 채용된 스로틀레버 보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250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350E1 (en) Fail safe throttle positioning system
EP1170487B1 (en) Electronic throttle control mechanism with reduced friction and wear
EP0828067A3 (en) A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8240123A (ja) 吸込みシステム
US7490589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throttle valve unit
JPH0311132A (ja) 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US5762044A (en) Throttle valve return mechanism for engine throttle valve
KR200169107Y1 (ko) 스로틀 바디구조
CA2228111A1 (en) Throttle lever device in a small-sized vehicle
US20030047167A1 (en) Tandem valve type throttle body
CA1290203C (en) Control device for throttle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763805B2 (en) Intake air throttle valve device
US5699768A (en) Throttle control device
JPH0196435A (ja) 機関の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EP1063410A3 (en) Carburetor with adjustable flow rate throttle lever
JPS6487838A (en)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60007881Y1 (ko) 전자제어 기화기
JPS6371529A (ja) ガソリン機関の吸気絞り弁構造
JPS57198334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intake air throttle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3186924A (ja) 気化器のスロツトルリンク機構
JPH0514544U (ja) 負圧制御弁
JPS5833240Y2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用エンジンの気化器絞弁制御装置
JPS641442Y2 (ko)
JPS5833241Y2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用エンジンの気化器絞弁制御装置
JP3026343B2 (ja) 内燃機関のスロットルバルブ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