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9036Y1 -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9036Y1
KR200169036Y1 KR2019990014471U KR19990014471U KR200169036Y1 KR 200169036 Y1 KR200169036 Y1 KR 200169036Y1 KR 2019990014471 U KR2019990014471 U KR 2019990014471U KR 19990014471 U KR19990014471 U KR 19990014471U KR 200169036 Y1 KR200169036 Y1 KR 200169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ide wall
container
attached
corrugated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우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우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우정공
Priority to KR2019990014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90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9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90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0Large containers rigid parallelepiped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6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ith detachabl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1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aerating by ambient air through openings in th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본체(10)의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조립체(20)와, 이 베이스조립체(20)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측벽조립체(30), 상기 측벽조립체(30)의 상부면을 덮는 루프조립체(40) 및, 상기 측벽조립체(30) 후면에 힌지연결되어 후방을 개폐하는 도어조립체(50)로 구성된 컨테이너에서, 상기 측벽조립체(30)와 도어조립체(50)는 볼록부(32a,52a)와 오목부(32b,52b)가 교대로 형성된 다수개의 파형패널(32,52)과, 상하부를 단지게 절곡성형된 가로대(34,54)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대(34,54)의 양선단이 인접하는 파형패널(32,52) 각각에 부착되어 부착면 사이로 다수개의 통기구(36,36)가 형성되어, 컨테이너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통기가 원할하게 이루어져 농산물 등을 신선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A container }
본 고안은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판조립체와 도어조립체에 외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우천시에도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내부에 공기가 원할하게 유출입되게 할 수 있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는 많은 양의 화물을 규칙적으로 적재하여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이송용 화물보관함이다.
통상, 컨테이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조립체(102)와 루프조립체(104) 사이에 다수의 측면조립체(106)가 각각 부착설치되고, 상기 측면조립체
(108) 후면으로 분할 개폐가능한 도어조립체(110)가 설치되어 육면체의 본체(100)을 이루고, 본체(100)의 내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컨테이너에는 환기를 위한 통풍구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루프조립체(104)와 측면조립체(108)가 만나는 부분에만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100)의 내부에서 통풍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농산물 등을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컨테이너 내부에 통풍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송도중 농산물이 신선도를 잃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통풍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다른 컨테이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베이스조립체(202)와 루프조립체(204) 사이에 다수의 수평/수직프레임(206,208)을 매개로 망사형 철망(210)을 씌워 측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체(200)의 후면에는 힌지식으로 개폐되는 도어조립체(2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컨테이너는 본체(200)에 형성된 철망(210) 사이로 공기가 자유로이 출입되므로 농산물을 신선하게 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철망(210)의 표면이 날카로와 농산물이 접촉될 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컨테이너는빗물이 직접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우천시에는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컨테이너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측벽을 따라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통기가 원할하게 이루어져 농산물 등을 신선하게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화물이나 농산물 등이 손상되지 않고 운송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우천시에도 컨테이너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으면서 통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의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조립체와, 이 베이스조립체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측벽조립체, 상기 측벽조립체의 상부면을 덮는 루프조립체 및, 상기 측벽조립체에 힌지연결되어 후방을 개폐하는 도어조립체로 구성된 컨테이너에서, 상기 측벽조립체와 도어조립체는 볼록부와 오목부가 교대로 절곡성형된 다수개의 파형패널과, 상하부를 단지게 절곡성형된 가로대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대의 양선단이 인접하는 파형패널각각에 부착되어 부착면 사이로 다수개의 통기구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로대의 위쪽 선단이 상부 파형패널의 내측 오목부에 부착되고, 아래쪽 선단이 하부 파형패널의 외측 볼록부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고안의 컨테이너는, 측벽조립체와 도어조립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구로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로 통기가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측벽조립체와 도어조립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구가 외부에서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우천시에도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의 베이스조립체를 부분 절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의 측벽조립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절치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의 루프조립체를 부분 절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베이스조립체
22 : 형틀프레임 24 : 바닥판
26 : 통기공 30 : 측벽조립체
32 : 파형패널 32a : 볼록부
32b : 오목부 34 : 가로대
40 : 루프조립체 42 : 형틀프레임
44 : 철판 46 : 단열재
48 : 마감재 50 : 도어조립체
52 : 파형패널 54 : 가로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의 베이스조립체를 부분 절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조립체(20)와, 이 베이스조립체(20)에 다수의 파형패널(32)과 가로대(34)가 차례로 부착되어 부착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36)를 형성한 측벽조립체(30), 상기 측벽조립체(30)의 상부면을 덮는 루프조립체(40) 및, 상기 측벽조립체(40)에 힌지연결되어 후방을 개폐하는 도어조립체(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조립체(50)는 측벽조립체(40)와 마찬가지로 파형패널(52)과 가로대(54)가 차례로 부착되어 있고, 부착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56)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조립체(20)는 형틀프레임(22) 위쪽에 철재질의 바닥판(24)이 부착설치되어 있고, 상기 바닥판(24)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열로 통기공(2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조립체(20)는 바닥판(24)의 통기공(26)을 통해서 아래쪽으로부터 공기가 유출입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측벽조립체(3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측벽조립체(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볼록부(32a)와 오목부(32b)가 교대로 절곡형성된 다수의 파형패널(32)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다수개 배치되고, 서로 인접하는 1쌍의 파형패널(32)마다 가로대(34)가 접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대(34)는 상하부가 절곡성형되어 위쪽 선단이 상부 파형패널(32)의 내측 오목부(32b)에 부착되고, 아래쪽 선단이 하부 파형패널(32)의 외측 볼록부(32a)에 부착된다. 여기서, 가로대(34)의 위쪽선단과 상부 파형패널(32)의 볼록부(32a) 사이와, 가로대(34)의 아래쪽선단과 하부 파형패널(32)의 오목부(32b) 사이로 통기구(36)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통기구(36)의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되어 우천시에도 통기구(36)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루프조립체(4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형틀프레임(42)을 매개로 외측에서 내측면으로 철판(44)과 단열재(46) 및 마감재(48)가 차례로 부착설치되어 있다.
즉 루프조립체(40)는 형틀프레임(42) 상단에 철판(44)이 용접부착되어 있고, 상기 형틀프레임(42) 사이에 스틸로폼 재질의 단열재(46)가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형틀프레임(42) 아래쪽면에 합판 재질의 마감재(48)가 부착되어 위쪽으로부터의 열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으로 돌아가서 도어조립체(50)를 설명하면, 도어조립체(50)는 도어가 양측에서 개폐되도록 되어 있고, 도어는 파형패널(52)과 가로대(54)가 차례로 부착되어 있고, 부착면을 따라 다수개의 통기구(5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파형패널(52)은 볼록부(52a)와 오목부(52a)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52b)가 가로대(54)의 위쪽선단에 부착되는 한편, 볼록부(52a)가 가로대(54)의 아래쪽 선단에 부착되어 부착면을 따라 통기구(56)가 형성되게 된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조립체(20)의 바닥판(24)에 통기공(26)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조립체(30)와 도어조립체(50)에 통기구(36,56)로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로 통기가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루프조립체(40)에 단열재(44)가 구비되어 위쪽으로부터의 열을 차단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벽조립체와 도어조립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구가 외부에서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우천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컨테이너에 의하면, 베이스조립체와 측벽조립체 및 도어조립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과 통기구로 공기가 유출입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로 통기가 원할하게 이루어져 농산물 등을 신선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조립체와 도어조립체의 통기구가 외부에서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고 통기되는 구조로 되어 우천시에도 화물 또는 농산물 등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본체(10)의 바닥을 이루는 베이스조립체(20)와, 이 베이스조립체(20)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측벽조립체(30), 상기 측벽조립체(30)의 상부면을 덮는 루프조립체(40) 및, 상기 측벽조립체(30) 후면에 힌지연결되어 후방을 개폐하는 도어조립체(50)로 구성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측벽조립체(30)와 도어조립체(50)는 볼록부(32a,52a)와 오목부(32b,52b)가 교대로 형성된 다수개의 파형패널(32,52)과, 상하부를 단지게 절곡성형된 가로대(34,54)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대(34,54)의 양선단이 인접하는 파형패널(32,52) 각각에 부착되어 부착면 사이로 다수개의 통기구(36,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34,54)의 위쪽 선단이 상부 파형패널(32,52)의 내측 오목부(32b,52b)에 부착되고, 아래쪽 선단이 하부 파형패널(32,52)의 외측 볼록부(32a,52a)에 부착되어 외부에서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KR2019990014471U 1999-07-21 1999-07-21 컨테이너 KR200169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471U KR200169036Y1 (ko) 1999-07-21 1999-07-21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471U KR200169036Y1 (ko) 1999-07-21 1999-07-21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9036Y1 true KR200169036Y1 (ko) 2000-02-15

Family

ID=1958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471U KR200169036Y1 (ko) 1999-07-21 1999-07-21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90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9737A (en) Corrugated air return bulkhead
CN102111993B (zh) 具有丝网顶部的宠物箱
US3224500A (en) Perimeter cooled cargo container
US4625630A (en) Roof v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9980063688A (ko) 대형 공간 냉동 컨테이너
KR200169036Y1 (ko) 컨테이너
ITRM970205A1 (it) Vano portaoggetti centrale per veicoli con box di alloggiamento
US6257651B1 (en) Hatchback door for a motor vehicle
KR200469666Y1 (ko)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CA2089865A1 (en) Large cubic volume cargo container
US4087125A (en) Cargo vehicle
ITMI932664A1 (it)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il collegamento di almeno due elementi
US6007419A (en)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climate control
CA2132373A1 (en) Container
EP1010847B1 (en) Container with a door which can be opened 270 degrees
NL8200984A (nl) Vrachtschip voor koellading.
KR200490936Y1 (ko) 탑차용 코너 프레임
KR200425011Y1 (ko) 통기구가 구비된 컨테이너 박스
RU2002129095A (ru) Грузово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воздушных перевозок
KR870002341Y1 (ko) 통풍 콘테이너의 통풍기구
CN211282234U (zh) 集装箱
US790851A (en) Fruit, produce, and refrigerator car.
KR200365312Y1 (ko) 차량 적재함 커버
JP4398745B2 (ja) 保冷車両の冷気流出防止構造
US11858464B2 (en) Cargo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