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885Y1 - 휴대용 침술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침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885Y1
KR200168885Y1 KR2019990017309U KR19990017309U KR200168885Y1 KR 200168885 Y1 KR200168885 Y1 KR 200168885Y1 KR 2019990017309 U KR2019990017309 U KR 2019990017309U KR 19990017309 U KR19990017309 U KR 19990017309U KR 200168885 Y1 KR200168885 Y1 KR 200168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upuncture
skin
needle
housing
nee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3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국
강인찬
Original Assignee
박노국
강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국, 강인찬 filed Critical 박노국
Priority to KR20199900173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8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침술 부위를 적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침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침술기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가열 기능이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침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환자가 움직이기 어려울 때 한의사가 용이하게 왕진등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침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에 피부(S)와 접촉된 상태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확장부(1)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에서 상기한 확장부(1)까지 관통되도록 관통공(2)이 형성된 하우징(3)과, 상기한 관통공(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일단에 침(4)이 설치된 침봉(6)과, 상기한 침봉(6)이 피부(S) 대향측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확장부(1) 내부에 수납되도록 설치된 탄성 수단과, 상기한 하우징(3) 타단에 결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침봉(6)의 종단이 돌출되도록 이동공(7)이 형성된 커버(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침술기{PORTABLE ACUPUNCTURE DEVICE}
본 고안은 침술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침술 부위를 적정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침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침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방에서는 침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침 놓는 부위에 쑥뜸을 하거나 침술 부위의 경혈을 자극하게 된다.
즉, 침을 놓는 부위를 쑥뜸으로 따뜻하게 함으로써 피부의 모공을 이완시킴과 아울러 찜질 효과를 나타내도록 하거나, 침술용 저주파 치료기로 경혈을 자극하여 침술 효과를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저주파 치료기를 사용하면서 침을 맞기 위해서는, 저주파 치료기가 설치되어 있는 한의원등과 같은 진료 장소에 직접 가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침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쑥뜸을 침 놓는 부위에 놓게 되면, 쑥이 타는 냄새와 연기가 심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해 환자와 의사가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침술용 저주파 치료기만을 사용하여 경혈을 자극하게 되면, 저주파 치료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으로 침이 진동하면서 경혈을 자극하는 효과밖에는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침술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저주파 치료기가 설치되어 있는 한의원등을 직접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가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쑥뜸은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이 균일하지 않게 됨으로써 피부로의 열전도가 매우 불균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침술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 가열 기능이 설치된 상태에서 휴대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침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환자가 움직이기 어려울 때 한의사가 용이하게 왕진등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침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에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확장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에서 상기한 확장부까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한 관통공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일단에 침이 설치된 침봉과, 상기한 침봉이 피부 대향측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확장부 내부에 수납되도록 설치된 탄성 수단과, 상기한 하우징 타단에 결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침봉의 종단이 돌출되도록 이동공이 형성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침술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2는 도1의 조립 단면도,
도3은 도2에서 A-A 선 단면도,
도4는 도1에서 커버에 설치된 단자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확장부 2: 관통공
3: 하우징 4: 침
5: 플레이트 6: 침봉
7: 이동공 8: 커버
9: 플랜지 10: 챔버
11: 스프링 12: 건전지
13: 끼움홈 14: 히이터
15: 전선 16: 제1전극판
17: 연결 배선 18: 제2전극판
19: 스위치 20: 작동 돌기
21: 결합홈 22: 결합 돌기
도1과 도2와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침술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와 조립 단면도와 도2의 A-A 선 단면도로서, 일단에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확장부(1)가 형성됨과 아울러 중앙 부분에 관통공(2)이 형성된 하우징(3)과, 상기한 관통공(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일단에 침(4)이 다수 설치된 플레이트(5)가 결합된 침봉(6)과, 상기한 침봉(6)이 피부 대향측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된 탄성 수단과, 상기한 하우징(3) 타단에 결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침봉(6)의 종단이 돌출되도록 이동공(7)이 형성된 커버(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탄성 수단은 침봉(6)의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커버(8)에 형성된 이동공(7)으로 침봉(6)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플랜지(9)와, 상기한 플랜지(9)가 하우징(3)과 커버(8)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10)와, 상기한 플랜지(9)가 커버(8)측으로 밀리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1)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하우징(3)에는 침봉(6)에 설치된 침(4)으로 시술할 때 근처의 피부(S)를 일정 온도로 따뜻하게 하도록, 가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는 하우징(3)에 수납된 다수의 건전지(12)와, 상기한 확장부(1)의 내면 둘레에 형성된 끼움홈(13)과, 상기한 끼움홈(13)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한 건전지(12)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설치된 히이터(14)와, 상기한 침봉(6)의 이동에 따라 히이터(14)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연결하도록 설치된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침봉(6)을 일정 이상 누르면 스위치 수단이 히이터(14)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한 히이터(14)가 피부(S)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따뜻하게 한 후 상기한 침(5)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건전지(12)의 +, - 단자는, 하우징(3)에 설치됨과 아울러 전선(15)으로 히이터(14)와 연결된 제1전극판(16)과, 상기한 커버(8)에 설치됨과 아울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배선(17)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판(18)과 접촉되어 있는 바, 이를 통해 히이터(14)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상기한 스위치 수단은 챔버(10) 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이터(14)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19)와, 상기한 스위치(19)를 동작시키도록 플랜지(9) 측면에 설치된 작동 돌기(20)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한 커버(8)와 하우징(3)은 간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바, 커버(8)의 내부면에 형성된 결합홈(21)과, 상기한 결합홈(21)에 끼워지도록 하우징(3) 일단의 외주변에 형성된 결합 돌기(22)로 구성되어, 상기한 결합돌기(22)와 결합홈(21)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분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한의사등과 같이 침술을 시술할 수 있는 사용자가 왕진 가방등과 같은 장소에 휴대하다가, 침술을 시술하게 되면, 상기한 확장부(1)를 환자의 피부(S)에 밀착시키게 된다.
환자의 피부(S)에 확장부(1)가 밀착되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4)과 피부(S)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되는 바,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8)에서 돌출된 침봉(6) 종단을 일정 거리 누르게 된다.
침봉(6)을 누르게 되면, 상기한 플랜지(9)의 작동 돌기(20)가 하향되면서 상기한 스위치(19)를 온(ON) 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스위치(19)의 온에 의하여 건전지(12)로부터의 전류가 전선(15) 및 제1, 2전극판(16, 18)을 통해 히이터(14)에 공급된다.
전류가 히이터(14)에 공급되면 히이터(14)가 발열하게 되는 바, 상기한 히이터(14)의 발열에 의해 상기한 확장부(1)에 감싸여진 피부(S)(침이 시술되는 부분)가 일정 온도로 가열된다.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피부(S)가 일정 온도로 가열되면 상기한 침봉(6)을 더 깊이 누르게 되고, 상기한 침봉(6)의 종단에 설치된 침(4)을 피부(S)에 꽂게 된다.
침(4)이 피부(S)를 가압하면서 꽂히게 되면, 침 시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사용자가 침봉(6)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하여 침봉(6)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히이터(14)에 의해 피부가 일정 온도로 가열되면, 종래 쑥뜸과 같이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도 침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침봉(6)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 상기한 스위치(19)가 오프(OFF)됨과 동시에 침(4)이 피부(S)에서 이탈되면서, 히이터(14)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침(4)이 피부(S)에서 이탈되면서 침 시술이 완료되는 것이다.
즉, 시술자가 침(4) 및 피부(S) 가열을 위한 장치(히이터)를 휴대하면서 침술을 시술할 때, 별도의 쑥뜸을 놓을 필요가 없게 되는 바, 침 시술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히이터(14)와 피부(S)의 거리는 히이터(14) 발열 시 침(4)을 시술하기 전에 피부(S)가 화상등을 입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휴대용 침술기에 피부를 가열할 수 있는 히이터를 내장함으로써, 침술기를 휴대하여 왕진등을 할 경우 매우 간편하게 침을 시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매우 단순한 구성만으로 피부를 가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침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일단에 피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공간을 형성하도록 확장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에서 상기한 확장부까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한 관통공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일단에 침이 설치된 침봉과, 상기한 침봉이 피부 대향측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되어 확장부 내부에 수납되도록 설치된 탄성 수단과, 상기한 하우징 타단에 결합 수단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한 침봉의 종단이 돌출되도록 이동공이 형성된 커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침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 수단은 침봉의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커버에 형성된 이동공으로 침봉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 플랜지와, 상기한 플랜지가 하우징과 커버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챔버와, 상기한 플랜지가 커버측으로 밀리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침술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에 설치됨과 아울러 침 시술 시 근처의 피부를 일정 온도로 따뜻하게 하도록 구성된 가열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침술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열 수단은 하우징에 수납된 다수의 건전지와, 상기한 확장부의 내면 둘레에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한 끼움홈에 끼워짐과 아울러 상기한 건전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설치된 히이터와, 상기한 침봉의 이동에 따라 히이터에 전원의 공급을 차단/연결하도록 설치된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침술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위치 수단은 챔버 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히이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손할 수 있는 스위치와, 상기한 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플랜지 측면에 설치된 작동 돌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침술기.
KR2019990017309U 1999-08-20 1999-08-20 휴대용 침술기 KR200168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309U KR200168885Y1 (ko) 1999-08-20 1999-08-20 휴대용 침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309U KR200168885Y1 (ko) 1999-08-20 1999-08-20 휴대용 침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885Y1 true KR200168885Y1 (ko) 2000-02-15

Family

ID=1958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309U KR200168885Y1 (ko) 1999-08-20 1999-08-20 휴대용 침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88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676Y1 (ko) 2012-07-30 2012-09-27 이하경 휴대용 수지침용 지압기구
KR200463332Y1 (ko) 2012-07-16 2012-11-05 이영현 휴대용 수지침용 지압기
CN115869187A (zh) * 2023-01-07 2023-03-31 田中华 一种电子针灸仪行针装置
CN116807883A (zh) * 2023-08-25 2023-09-29 北京好中医医疗信息有限公司 一种热疗针灸治疗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3332Y1 (ko) 2012-07-16 2012-11-05 이영현 휴대용 수지침용 지압기
KR200462676Y1 (ko) 2012-07-30 2012-09-27 이하경 휴대용 수지침용 지압기구
CN115869187A (zh) * 2023-01-07 2023-03-31 田中华 一种电子针灸仪行针装置
CN115869187B (zh) * 2023-01-07 2024-04-26 田中华 一种电子针灸仪行针装置
CN116807883A (zh) * 2023-08-25 2023-09-29 北京好中医医疗信息有限公司 一种热疗针灸治疗装置
CN116807883B (zh) * 2023-08-25 2023-12-15 北京好中医医疗信息有限公司 一种热疗针灸治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780B1 (ko) 근적외선 온열 저주파 진동 마사지기
KR200168885Y1 (ko) 휴대용 침술기
KR20180022146A (ko) 온열 밴드
KR200410306Y1 (ko) 온열치료기
KR20150145848A (ko) 온구도자 및 이를 이용한 온구지압과 경락파동장치
CN211934855U (zh) 艾条悬置支撑装置
KR100787926B1 (ko) 휴대용 안마기
CN110192971B (zh) 温热治疗仪
US20150011971A1 (en) Anti-nociceptive apparatus
KR20090077596A (ko) 의료용 온열기
JP6496152B2 (ja) 温熱付与装置
CN204840238U (zh) 一种带磁疗功能的温灸器
KR200462639Y1 (ko) 전기 뜸 장갑
JPS6063041A (ja) 遠赤外線健康器具
CN219127394U (zh) 一种艾灸仪以及充电机构
CN219001151U (zh) 一种腹部艾灸仪
KR100424775B1 (ko) 슬라이드식 온열장치와 그 사용방법
KR100746356B1 (ko) 무선 온열 치료기
CN219071158U (zh) 一种按摩腰带
CN213373709U (zh) 一种电热艾灸笔
KR200242230Y1 (ko)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CN215460037U (zh) 一种太赫兹理疗仪器
US12005017B2 (en) Thermo-therapeutic apparatus
CN210020311U (zh) 一种艾灸盒
CN210409007U (zh) 一种功能便于切换的按摩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