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230Y1 -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230Y1
KR200242230Y1 KR2019990010389U KR19990010389U KR200242230Y1 KR 200242230 Y1 KR200242230 Y1 KR 200242230Y1 KR 2019990010389 U KR2019990010389 U KR 2019990010389U KR 19990010389 U KR19990010389 U KR 19990010389U KR 200242230 Y1 KR200242230 Y1 KR 200242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main body
thermal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0496U (ko
Inventor
백규석
Original Assignee
백규석
조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규석, 조승현 filed Critical 백규석
Priority to KR2019990010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230Y1/ko
Publication of KR20010000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0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230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저주파치료기 및 온열치료기의 기능을 하나의 본체내에 구성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기기를 소형화시켜 휴대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함은 물론 구입비를 절감시켜 경제성이 탁월한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하나의 기기로 두가지의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기기의 소형화시켜 보관 및 휴대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기로 2가지의 기능을 사용하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나의 본체에 구성된 제어회로로 온열제어 및 저주파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제조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A medical apparatus for using both as low-frequency and heat cure}
본 고안은 저주파 및 온열로 각종 질병을 치료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주파치료기 및 온열치료기의 기능을 하나의 본체내에 구성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기기를 소형화시켜 휴대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함은 물론 가격을 낮춰 경제성을 배가한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에는 여러개의 경혈들이 있는 데, 이러한 경혈점에 지압 및 맛사지를 하게 되면 그 압박부위에서 세포가 이에 대한 방어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열을 발산하여 노폐물이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경혈점이 뚫리게 되어 치료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신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면 체온을 상승시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고 세포의 조직이나 기관에서도 변화를 유발하여 생리적변화를 나타내는 온열작용이 있으며, 비성장 아동이나 청소년들의 성장을 촉진시켜 주는 숙성작용도 갖고 있으며, 이온작용으로 체내에 칼슘 및 철분의 균형을 유도하여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자정작용도 가지며, 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수분을 유지하는 건습작용 및,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하고 체취를 중화시켜 주는 중화작용 및, 인체세포의 원자를 진동시켜 체력을 유지시켜 주는 공명작용등의 효능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본인이 직접 지압 및 원적외선을 신체에제공할 수 있는 온열치료기가 개발되어 개인건강에 한 몫을 하고 있다. 이러한 온열치료기는 경혈을 압압하며 적외선을 방출하여 지압효과와 열로 인한 지온효과 및 적외선효과를 유발하는 구형상의 다수의 지압봉들이 구비된 치료도자와, 이 치료도자에 전기를 공급하는 한편 온도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부가 구비된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에는 통상 본체와 별개로 구성된 치료도자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별도의 가방등에 넣거나 가방형상의 틀내에 본체 및 치료도자를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종래의 기술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7-56908호에 개시되어 있는 데, 이 기술에서는 가방의 뚜껑내면부에 컨트롤박스(본체)를 고정하고, 가방내에 치료도자들을 수납하여 휴대사용이 간편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치료도자와 본체 이외에 별도의 가방을 제작하여야 하는 제조공정의 복잡화로 생산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작비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열치료장치를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기출원한 바 있다. 이 온열치료장치는 다수의 온열치료도자(10)들을 본체(2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후 보관 및 휴대이동이 용이하도록 본체(20)의 배면부에 치료도자장착부(21)를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치료도자(10)의 사용후 본체(20)의 배면부에 형성된 장착부(21)에 장착하여 보관하면 되므로 치료도자들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휴대도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최근들어 온열치료와 더불어 전기치료법이 개발되면서 인체에 저주파를 주사하여 치료를 행하는 의학기술도 급속이 발전하고 있다. 그 일예로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공보 제91-15084호에는 신체중 발바닥의 오목한 부분을 자극하는 저주파치료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절연성의 기본받침대 상면에 한쌍의 도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곳에 사용자의 양발을 가지런히 올려놓아 발바닥이 도전부상에 안착되게 한다. 물론, 이 도전부에 인가되는 저주파전류의 주파수나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작기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저주파치료기에서는 통상 조작기가 코드를 통해서 기본 받침대에 대해 접속되어 있어서, 사용시에는 조작기를 손에 들고 조작하였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조작기가 거추장스러운 폐단이 있었다. 그래서, 조작기를 기본 받침대에 일체화시키는 것이 고려된 바 있으나, 이 경우에는 기본받침대측이 대형화되거나 조작이 불편해진다는 또다른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그러므로,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96-21070호에서는 본체와 코드로 연결된 조작기를 손에 들고 사용하다가,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본체에 간편하게 수납되도록 구성하여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 실용신안에서도 본체에 형성된 발안착용 도전판들이 발의 형상에 적합하게 제작되지 않음으로써 발바닥으로 침투되는 저주파의 침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의 기술은 조작기가 코드로 본체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시 코드가 바닥에 늘어져 지저분할 뿐만 아니라, 코드길이에 제한이 있어 조작사용이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발바닥치료용 저주파치료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2에도시한 바와 같은 저주파치료기를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기출원하였다. 이 장치는 본체(30)를 리모콘에 의해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아니라, 발안착용 도전판들(31a,31b)이 발의 형상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감을 주었다.
이상에서 기설명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온열치료기와 저주파치료기는 각각의 분리된 장치이어서 두 가지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장비를 2개나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컸었다. 또한, 2개의 개별적인 제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휴대이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점유공간도 많이 차지하여 사용후 보관 및 관리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저주파치료기 및 온열치료기의 기능을 하나의 본체내에 구성하여 일체화시킴으로써 기기를 소형화시켜 휴대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함은 물론 구입비를 절감시켜 경제성이 월등한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온열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저주파치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의 저주파치료판부를 본체에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장치의 본체에서 저주파치료판부가 절접되는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0 : 본체 41 : 제어버튼
42a,42b : 콘텍터 43 : 치료도자장착부
44 : 중앙축지지부 50 : 저주파치료판
51,52 : 양측축지지부 53a,53b : 발바닥도전판
60,70 : 온열치료도자 61,71 : 연결잭
80 : 고정축 91 : 금속편
92 : 자석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는 저주파 및 온열치료기기에 있어서, 제어버튼 및 콘넥터들을 표면부에 마련하고, 제어회로를 내장한 본체; 상기 본체에 선회절접되게 고정된 저주파치료판; 및 상기 본체의 콘넥터들에 접속되는 온열치료도자들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의 접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의 저주파치료판부를 본체에서 펼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는 표면부에 제어버튼(41)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에 제어회로가 내장된 본체(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본체(40)에 선회가능케 고정되어 본체로 절접되는 저주파치료판(50)도 구비되어 있다.
본체(40)에 내장된 제어회로(CPU)는 저주파치료기와 온열치료기의 제어시스템에 병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체(40)의 표면에 마련된 제어버튼(41)을 선택하여 저주파치료모드와 온열치료모드를 선택절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시간조절모드 등도 동일한 제어버튼(41)을 사용하여 통합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회로와 제어버튼을 저주파치료모드와 온열모드에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본체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 또한 저렴화할 수 있다. 본체(40)의 양측면에는 저주파치료도자(70)와 온열치료도자(60)들을 꽂아 연결하기 위한 콘넥터(42b,42a)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각 치료도자(60,70)들의 연결잭(61,71)을 이곳에 접속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의 우측면에 형성된 3개의 콘넥터(42a)는 온열치료도자(60)들을 접속하기 위한 콘넥터이고, 좌측에 돌출된 2개의 콘넥터(42b)는 로울러형 맛사지기기와 포인트전극, 접착패드형도전판들을 접속시켜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물론,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콘넥터(42a,42b)는 그 접속도자들(60,70)의 갯수나 용도에 대응하는 갯수와 적절한 형상을 갖도록 구현할 수 있다. 게다가, 본체(40)의 배면에는 치료도자(60)들을 창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치료도자장착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 다수의 치료도자(60)들을 삽입시켜 보관하거나, 그로부터 탈거하여 사용하게 된다.
저주파치료판(50)은 본체(40)에 고정축(80)으로 선회가능케 고정되어 있는 데, 이를 위해 본체(40)의 하단중심에는 중앙축지지부(44)가 그리고 양측에는 저주파치료판(5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좌우양측축지지부(51,5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양측축지지부(51,52)에 삽입설치된 고정축(80)상에서 양측축지지부(51,52)가 선회되어 본체(40)에서 저주파치료판(50)이 선회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본체(40)에서 선회되어 펼쳐서 사용하는 저주파치료판(5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일측면부에 발바닥도전판(53a,53b)들이 구성되어 발바닥에 저주파를 방사하여 치료로 행하게 된다. 이 발바닥도전판(53a,53b)들은 통전(通電)플라스틱재질로써 형성된다. 종래에는 이 발바닥도전판(53a,53b)이 통전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불쾌한 냄새가 풍겨나고, 흡착,발생되는 먼지가 많아 청결을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통전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된 발바닥도전판(53a,53b)은 상기 단점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저주파치료판(50)은 본체(40)에서 선회되어 펼쳐질 때 일정위치에서 다단계(2단)로 걸리도록 하여 바닥이 그가 안착되는 면과 충돌하여 파손되거나 고장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한 구조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이 저주파치료판(50)의 사용후에는 도 3과 같이 다시 원상태로 선회시켜 본체(40)로 접어서 보관하게 되는 데, 이때 본체(40)의 상단과 그와 대응하는 저주파치료판(50)의 대응부위에 잠금수단을 구성하여 저주파치료판(50)이 본체(40)에서 헛동선회되지 않게 잠금작동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잠금수단으로는 본체(40)와 그와 대응되는 저주파치료판(50)에 각각 고정된 금속편(91)과 자석(92)이 사용된다.
도 5a는 본 장치의 본체에서 저주파치료판부가 절접되는 회전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축지지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저주파치료판이 선회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특히, 도 5a에서 좌측은 저주파치료판(5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좌측축지지부(51)를 그리고 우측은 본체(40)의 하단에 형성된 중앙축지지부(44)의 대면부위를 알기 쉽도록 도시한 것으로, 좌측축지지부(51)의 대응측면부에는 일정각을 이격하여 제 1걸림돌기(51a)들이 돌설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 환형의 제 1수용홈(5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축지지부(44)의 대응면부에도 일정각을 이격하여 제 2걸림돌기(44a)들이 돌출되어 있고, 그 주위를 원형의 제 2수용홈(44b)이 포위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제 1걸림돌기(51a)는 제 2수용홈(44b)내로 삽입수용되고, 제 2걸림돌기(44a)는 반대로 제 1수용홈(51b)내에 삽입되게 된다. 그러면, 본체(40)의 중앙축지지부(44)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저주파치료판(50)의 좌측축지지부(51)가 선회될 때 제 1걸림돌기(51a)는 일정각도에서 제 2걸림돌기(44a)와 걸리게 되어 저주파치료판(50)이 본체(50)에서 한번에 완전히 펼쳐지지 않고 일단 한번 일정각도에서 걸리게 된다. 그런다음, 다시 힘을 주어 저주파치료판(50)을 선회시키면 제 1걸림돌기(51a)가 제 2걸림돌기(44a)를 지나쳐 다른 제 2걸림돌기(44a)와 걸려 고정되게 된다. 이 제 1,제 2걸림돌기들(51a,44a)은 저주파치료판(50)이 본체(40)에서 어느정도의 각도에서 몇번이나 걸림작동이 수행되는 가에 따라 그 개수 및 이격각도를 조절하여 정하게 된다.
이제,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본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저주파치료판(50)을 본체(40)로부터 선회시켜 도 4와 같이 펼치게 된다. 이때, 저주파치료판(50)은 그 하단부에 형성된 좌우측축지지부(51,52)의 제 1걸림돌기(51a)들이 본체(40)의 중앙축지지부(44)에 돌설된 제 2걸림돌기(44a)들과 걸리면서 한번에 급격히 선회하지 않고 부드럽게 선회하며 본 치료장치가 지지되는 바닥면에 안착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도 4에서처럼 완전히 저주파치료판(50)이 선회되어 안착바닥면에 고정되면 저주파치료판(50)의 상면부에 구성된 발바닥도전판(53)에 발을 올려놓고 기기를 작동시켜 저주파를 양발에 방사하여 치료하게 된다.
또한, 로울러형맛사지기 등 저주파치료도자(70)들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본체(40)의 좌측면에 형성된 콘넥터(42b)에 필요한 저주파치료도자(70)들의 연결잭(71)을 접속시켜 저주파치료를 수행한다.
또한, 온열치료를 행하고자 할 때에는 본체(40)의 우측면에 형성된 콘넥터(42a,42b)에 온열치료도자(60)들의 연결잭(61,71)을 꽂아 연결한다. 그 다음, 필요한 제어버튼(41)을 조작하여 온열치료도자들(60)이 열기를 발생하게 한다. 이 온열치료도자들(60)을 환부에 접근시켜 열기를 방사시킴으로써 온열치료를 수행한다.
물론, 치료가 끝나면 저주파치료판(50)은 원상태로 선회시켜 잠금장치로 본체(40)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온열치료도자(60)들도 본체(40)의 배면부에 마련된 치료도자장착부(43)에 삽입장착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치료장치를 보관하거나 휴대이동하면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는 하나의 기기로 두가지의 기능을 통합함으로써 기기의 소형화시켜 보관 및 휴대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기기로 2가지의 기능을 사용하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하나의 본체에 구성된 제어회로로 온열제어 및 저주파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제조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8)

  1. 저주파 및 온열치료기기에 있어서,
    제어버튼 및 콘넥터들을 표면부에 마련하고, 제어회로를 내장한 본체;
    상기 본체에 선회절접되게 고정된 저주파치료판; 및
    상기 본체의 콘넥터들에 접속되는 온열치료도자들을 포함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들은 상기 좌측의 온열치료도자들과 우측의 저주파전극의 갯수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치료판은 그 일측면부에 발바닥이 안착되어 저주파를 발사하여 치료하는 통전플라스틱의 발바닥도전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중앙축지지부가 형성되는 한편, 그의 양측에는 상기 저주파치료판의 하단부에 형성된 좌우양측축지지부가 밀착되어 고정축으로 회전가능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축지지부와 좌우양측축지지부의 대응측면부에는각각 일정각을 이격하여 형성된 제 1걸림돌기들과 제 2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저주파치료판이 선회시 일정각도에서 걸림작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단부와 이와 대응되는 상기 저주파치료판부에는 상기 저주파치료판이 상기 본체에서 비사용시 펼쳐지지 않도록 잠금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본체와 상기 저주파치료판의 대응부위에 각각 고정된 자석과 금속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 및 제어버튼들은 상기 저주파모드 및 온열모드에서 공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KR2019990010389U 1999-06-11 1999-06-11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KR200242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389U KR200242230Y1 (ko) 1999-06-11 1999-06-11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389U KR200242230Y1 (ko) 1999-06-11 1999-06-11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96U KR20010000496U (ko) 2001-01-05
KR200242230Y1 true KR200242230Y1 (ko) 2001-09-25

Family

ID=5476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389U KR200242230Y1 (ko) 1999-06-11 1999-06-11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2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807B1 (ko) * 2008-10-30 2009-12-07 주식회사 듀죤의료기 스탠드가 구비된 체형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0496U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04864A (ja) 脚のマッサージ機
KR101531338B1 (ko) 손발 마사지 장치
KR200242230Y1 (ko) 저주파/온열겸용치료장치
KR20150001870U (ko) 다기능 온열 저주파 치료기
KR200410307Y1 (ko) 황토욕 족욕기
JP3185452U (ja) マッサージ装置
CN101444341A (zh) 一种多功能水疗鞋
KR100393885B1 (ko) 저주파 치료 장치
JP2003210548A (ja) 赤外線ランプ付足浴器
KR20070000962A (ko) 황토욕 족욕기
JP2004329606A (ja) 足裏治療装置
KR100503673B1 (ko) 적외선 조사기 겸용 저주파 치료기
KR200197270Y1 (ko) 온열치료장치
CN107456385B (zh) 负离子生物频谱脚灸仪
JP2011250819A (ja) 下肢用マッサージ機
CN201356113Y (zh) 一种多功能水疗鞋
KR200170079Y1 (ko) 치료도자수납보관이 용이한 온열치료기본체
KR20150091755A (ko) 다기능 웰빙 발 안마 및 찜질기
KR20080040254A (ko) 족열 찜질기
TWM580423U (zh) Foot massage device with massage function
KR200314435Y1 (ko) 적외선 조사기 겸용 저주파 치료기
KR200168328Y1 (ko) 발바닥일치형 저주파치료기
JPH11178878A (ja) マッサージ機
KR100679249B1 (ko) 저주파 물리치료 장치
JPS64276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