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747Y1 -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 Google Patents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747Y1
KR200168747Y1 KR2019970039370U KR19970039370U KR200168747Y1 KR 200168747 Y1 KR200168747 Y1 KR 200168747Y1 KR 2019970039370 U KR2019970039370 U KR 2019970039370U KR 19970039370 U KR19970039370 U KR 19970039370U KR 200168747 Y1 KR200168747 Y1 KR 200168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lider
gear
actuator
m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3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614U (ko
Inventor
최학구
Original Assignee
최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학구 filed Critical 최학구
Priority to KR20199700393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74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6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6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7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속이 빈 내부로 각 기구물을 수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부터 노출되어 신체 등을 향해 설치되는 때밀이부(20)와;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의 단부에 축 설치되는 작동체(40)와; 상기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에 원웨이베어링(51)으로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몸체(10)에 피봇핀(52)을 축으로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50)와; 상기 작동체(40)에 편심핀(61)을 통해 편심되게 결합되며, 선단에는 소정의 타이밍을 갖는 기어(62)가 축 결합되는 구동축(60)과; 동력전달수단(7)을 통해 상기 구동축(6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70)와; 상기 작동체(40) 상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핀(81)이 돌출되는 슬라이더(80)와; 상기 몸체(10)의 후방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90)와; 상기 슬라이더(80)의 힌지핀(81)에 힌지 결합되며 포스트(90)의 안내로 슬라이더(80)와 함께 상하 승강되는 이동부재(10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축핀(112)이 축공(111)으로 끼워져 축핀(112)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110)와; 상기 작동레버(110)의 단부 양측으로 부터 슬라이더(80)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여 작동레버(110)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더(80) 및 이동부재(1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릴리스케이블(120)(130)과; 상기 몸체(10)의 상방부에서 기기본체에 축지되는 아이들축(150)과; 상기 몸체(10)가 가이드봉(140)을 따라 승하강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모터(160)와; 상기 모터(160)가 회전운동을할시 몸체(10)가 가이드봉(14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하는 타이밍밸트(180)로 구성하므로써, 등부분 전체에 걸쳐 골고루 닦을 수 있어 보다 세척 및 맛사지효과가 우수하고, 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접촉상태가 가변되며 골고루 세척 및 맛사지를 할 수 있으며, 조작이 간편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때밀이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본 고안은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선택에 따라 때밀이부의 운동이 변환하도록 하여 맛사지와 때밀이 기능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때밀이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등부분은 손이 닿지 안는다.
따라서, 혼자서는 정상적으로 때를 세척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어, 대부분 타인에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공보 제 92-2814호에서와 같이 등때밀이장치에 의해 등을 닦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때밀이기는 링크구성에 의해 때밀이부가 상하 요동하는 것에 의해 신체 등부분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하 직선부의 위치로만 세척이 이루어 진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세척위치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 사용자의 신체 조건과 무관하게 일정한 행정으로만 때밀이부가 상하 승강되므로, 전체적이로 골고루 신체를 세척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맛사지의 기능은 가질 수 없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의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96-27385호에서 때밀이부의 운동상태를 변환하도록 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종래, 본원 고안인의 선출원 고안에 의하면 나름대로 신체를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운동의 변환을 위한 조작이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등부분 전체에 걸쳐 골고루 닦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세척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를 제공하는 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의 두번째 목적은 맛사지의 기능으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세번째 목적은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도록 제작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네번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때밀이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기기본체내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한쌍의 가이드봉이 끼워지는 구멍이 천공된 상태로 양측의 상하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지지축을 구비하고 속이 빈 내부로 각 기구물을 수용함과 동시에 모터의 회전방향 및 그 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을 승하강 이동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로 부터 노출되어 신체 등을 향해 설치되는 작동축의 그 단부에 쿠숀부재가 구비되며 세척수 공급호스가 접속되어 작동축의 통로를 통해 쿠숀부재를 향해 분출되며 회동하는 때밀이부와; 상기 때밀이부의 작동축의 단부에 축 설치되는 작동체와; 상기 때밀이부의 작동축에 원웨이베어링으로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몸체에 피봇핀을 축으로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와; 상기 작동체에 편심되게 결합된 볼트를 통해 축지되며, 선단에는 타이밍기어가 축결합되는 구동축과;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구동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작동체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핀이 돌출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몸체의 후방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슬라이더의 힌지핀에 힌지 결합되며 포스트의 안내로 슬라이더와 함께 상하 승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축핀이 축공으로 끼워져 축핀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의 단부 양측으로 부터 슬라이더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여 작동레버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더 및 이동부재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릴리스케이블와; 양측에 타이밍기어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상방부에서 기기본체에 축지되는 아이들축과; 축상에 타이밍기어가 축지된 상태로 몸체의 저부에서 기기본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몸체가 승하강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두 타이밍기어를 감쌓은 체 양단부가 몸체의 배면 상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가 회전운동을할시 몸체가 가이드봉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하는 타이밍밸트로 구성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때밀이부의 운동상태를 변환시켜 등부분 전체에 걸쳐 골고루 닦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사지기의 기능으로도 겸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그 조작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일부절결 측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도
도 8은 때밀이부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중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 중 작동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동력전달수단 10 - 본체
20 - 때밀이부 21 - 작동축
23 - 쿠숀부재 25 - 볼죠인트
30 - 공급호스 40 - 작동체
50 - 링크부재 60 - 구동축
61 - 편심핀 70 - 구동모터
80 - 슬라이더 90 - 포스트
100 - 이동부재 110 - 작동레버
120,130 - 릴리스케이블 140 - 가이드봉
150 - 아이들축 160 - 모터
170 - 아이들기어 180 - 타이밍밸트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일부절결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때밀이부(20) 동작상태가 변환되는 구조를 각 실시예로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기기본체내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수직하게 세워진 가이드봉(140)이 끼워지는 구멍이 천공된 상태로 양측의 상하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지지구(11)을 구비하고 속이 빈 내부로 각 기구물을 수용함과 동시에 모터(160)의 회전방향 및 그 량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140)을 승하강 이동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부터 노출되어 신체 등을 향해 설치되는 작동축(21)의 그 단부에 쿠숀부재(23)가 구비되며 세척수 공급호스(30)가 접속되어 작동축(21)의 통로(22)를 통해 쿠숀부재(23)를 향해 분출되며 회동하는 때밀이부(20)와;
상기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의 단부에 축 설치되는 작동체(40)와;
상기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에 원웨이베어링(51)으로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몸체(10)에 피봇핀(52)을 축으로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50)와;
상기 작동체(40)에 편심핀(61)을 통해 편심되게 결합되며, 선단에는 소정의 타이밍을 갖는 기어(62)가 축 결합되는 구동축(60)과;
동력전달수단(7)을 통해 상기 구동축(6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70)와;
상기 작동체(40) 상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핀(81)이 돌출되는 슬라이더(80)와;
상기 몸체(10)의 후방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90)와;
상기 슬라이더(80)의 힌지핀(81)에 힌지 결합되며 포스트(90)의 안내로 슬라이더(80)와 함께 상하 승강되는 이동부재(10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축핀(112)이 축공(111)으로 끼워져 축핀(112)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110)와;
상기 작동레버(110)의 단부 양측으로 부터 슬라이더(80)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여 작동레버(110)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더(80) 및 이동부재(1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릴리스케이블(120)(130)과;
양측에 타이밍기어(151)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상방부에서 기기본체에 축지되는 아이들축(150)과;
축상에 타이밍기어(161)가 축지된 상태로 몸체(10)의 저부에서 기기본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몸체(10)가 가이드봉(140)을 따라 승하강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때밀이부(20)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모터(160)와;
상기 타이밍기어(151)(161)를 감쌓은 체 양단부가 상기 몸체(10)의 배면 상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160)가 회전운동을할시 몸체(10)가 가이드봉(14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하는 타이밍밸트(180)로 구성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에 있어서 소정의 타이밍을 갖는 기어(62)는 동력전달수단(7)의 구성에 따라 헬리컬기어 또는 타이밍기어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기어(62)가 헬리컬기어인 경우 상기 동력전달수단(7)은 일 실시예(도 1 내지 도 4 참조)와 같이 구동모터(70)의 축상에는 헬리컬기어(73)를 형성시키고, 몸체(10)상에는 구동모터(70)의 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기어(62) 즉, 헬리컬기어에 전달하기 위해 잇수가 서로 다른 두개의 헬리컬기어(171)(172)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된 아이들기어(170)를 축지시켜 주면된다.
그러나, 상기 기어(62)가 타이밍기어인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70)의 축에 타이밍기어(71)를 설치하여 구동축(60)상의 기어(62) 즉, 타이밍기어와 상기 구동모터(70) 축상의 기어(62) 사이에 타이밍밸트(72)를 설치하여 주면된다.
또한, 상기 작동체(4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일자형으로 성형할수도 있고, 또 도 10과 같이 "∪"자형으로 성형할 수도 있는데, 전자의 경우는 상기 작동체(40)의 전방 양측부에 가이드홈(42)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체(40) 상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80)는 "⊃"자형으로 형성시켜 그 단부에 지지편(82)을 볼트(83)로 고정시켜 상기 지지편(82)이 가이드홈(42)에 위치되도록 하면 되고, 후자의 경우는 상기 작동축(21)의 저단부에서 상방으로 "」"형상의 가이더(41)를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슬라이더(80)는 "日"자형 형상으로 성형시켜 상기 가이더(41)가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기본체내부에는 소정거리를 두고 가이드봉(140)을 수직하게 설치하고, 또 상기 몸체(10)는 속이 빈 내부로 각 기구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되, 양측의 상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140)이 끼워지는 구멍이 천공된 지지구(11)을 일체로 돌출 형성한 것으로, 이 몸체(10)의 내부로 부터 사용자가 위치되는 신체의 등을 향해 작동축(21)의 단부에 쿠숀부재(23)가 구비된 상태로 때밀이부(20)가 노출된다.
이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은 속이 빈 중공형으로 통로(22)가 형성되어 선단측으로 통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축(21)에 접속되는 세척수 공급호스(30)로 부터 온수 및 기타 맛사지에 필요한 오일이나 우유등이 공급될 때 분출공(23a)들이 다수 뚫어진 쿠숀부재(23)를 통해 신체 사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공급호스(30)는 삼방밸브(33)에 의해 2개의 니플(31)(32)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의 방향을 제어하여 때밀이부(20)의 선단으로 공급되게 하는 데, 이 니플(31)(32)은 예로서 어느 하나는 온수가, 그리고 나머지는 맛사지에 필요한 우유나 기타 맛사지용 오일등이 공급되도록 각각 저장 탱크등으로 부터 접속되게 한다.
한편, 작동축(21)은 도 4에서와 같이 2개조로 분할하여 그 사이에 스프링(28)을 탄력 설치하여 탄력적으로 신체에 접하도록 함과 아울러, 부드러운 쿠숀역할을 갖도록 한다.
또, 선단에는 신체의 굴곡에 따라 자유롭게 접촉상태를 변환하기 위해 볼죠인트(25)를 결합하여 360°무방향으로 도 4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구름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볼죠인트(25)상에는 키홈(251)을 형성하고 큐션부재(23)의 후방부에 형성된 접속구(231)에는 상기 키홈(251)에 끼워지는 위치확정돌기(232)가 설치됨과 동시에 작동축(21)의 축방향과 어긋난 상태로 쿠숀부재(23)가 위치된 상태에서 정상상태를 복귀시키기 위해 수곳에 핀(26)이 설치됨은 물론 상기 핀(26)의 복귀를 위한 O링(27) 및 쿠숀링(29)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위치확정돌기(232)와 키홈(251)에 의해 큐션부재(23)가 볼죠인트(25)에 정확히 결합됨과 동시에 일정한 탄성력을 갖는 O링(27)에 의해 핀(26)이 쿠숀부재(23)를 탄력 지지하여 볼죠인트(25)에 의해 굴곡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될 때 신속이 그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에는 단부에 작동체(40)가 구름 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 작동체(40)가 일 실시예(도 1 내지 도 4 참조)와 같이 일자형으로 성형된 경우 전방 양측부에 가이드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체(40)에 결합된 슬라이더(80)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단부에 지지편(82)이 볼트(83)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더(80)가 일자형의 작동체(4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고, 또 상기 작동체(40)의 후단부에 "」"자형의 가이더(41)가 성형되어 전체적으로 "∪"형상을 갖는 경우(도 10 참조) 상기 슬라이더(80)는 "日"자형상으로 성형시키므로써 상기 슬라이더(80)가 작동체(40)의 가이더(41)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에는 링크부재(50)의 일단이 원웨이베어링(51)을 사이에 두고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몸체(10)에 피봇핀(52)을 축으로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몸체(10)의 피봇핀(52)을 중심으로 작동축(21)의 운동변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40)에는 구동축(60)의 편심핀(61)이 편심위치로 결합되며, 기어(62)가 동력전달수단(7)을 통해 구동모터(70)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축(60)의 회전에 대해 편심핀(61)이 결합된 작동체(40)가 때밀이부(20)와 함께 상하로 승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어(62)는 동력전달수단(7)의 구성에 따라 헬리컬기어 또는 타이밍기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기어(62)가 헬리컬기어인 경우 상기 동력전달수단(7)은 도 1 내지 도 4 참조와 같이 구동모터(70)의 축상에는 헬리컬기어(73)가 형성되고, 몸체(10)상에는 구동모터(70)의 동력을 감속시켜 상기 기어(62)에 전달하는 아이들기어(170)가 축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모터(70)의 동력이 아이들기어(170)와 구동축(60)을 통해 작동체(40)에 전달되고, 또 상기 기어(62)가 타이밍기어인 경우 동력전달수단(7)은 도 9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70)의 축에는 타이밍기어(71)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60)상의 기어(62) 즉, 타이밍기어와 구동모터(70) 축상의 타이밍기어(71) 사이에는 타이밍밸트(7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모터(70)의 동력이 기어(62)(71)와 타이밍밸트(72) 및 구동축(60)을 통해 작동체(40)에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80) 및 이동부재(100)의 위치에 따라 때밀이부(20)의 운동상태가 변환된다.
즉, 상기 구동모터(70)의 구동으로 동력전달수단(7)을 통해 구동축(60)의 기어(62)를 회동시켜 구동축(60)에 편심된 편심핀(61)이 편심운동하며 작동체(40)를 상하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체(40) 자체 또는 그의 후방부에 설치된 가이더(41)에는 슬라이더(80)가 결합된 상태에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80)는 이동부재(100)에 힌지핀(81)으로 유동 가능하게 축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힌지핀(81)을 중심으로 슬라이더(80)와 작동체(40) 및 때밀이부(20)가 상하 운동을 전달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레버(110)의 위치 선택에 따라 손잡이를 도 5에서와 같이 가장 높은 위치로 위치로 선택할 경우, 몸체(10)의 외측에 축핀(112)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110)의 단부에 결합된 릴리스케이블(120)(130)이 상기 슬라이더(80)를 작동체(40) 자체 또는 작동체(40)의 가이더(41) 최상단으로 위치시킨다.
즉, 상기 슬라이더(80)는 힌지핀(81)에 의해 이동부재(100)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작동체(40) 자체 또는 작동체(40)의 가이더(41)와 포스트(90)의 안내로 함께 상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80)의 힌지핀(81) 위치가 가장 상측으로 위치되는 결과로 상기 편심핀(61)이 편심 운동할 때 때밀이부(20)의 중심위치와 힌지핀(81)의 중심이 일치되므로 때밀이부(20)와 슬라이더(80) 및 이동부재(100)는 좌우 폭방향으로는 전혀 유동되지 않고 단지 편심핀(61)의 편심운동으로 상하 승강작동만이 이루어진다.
또, 도 6에서와 같이 작동레버(110)를 대략 수평한 상태로 선택할 경우, 릴리스케이블(120)(130)이 상기 슬라이더(8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부재(100)와 함께 중간위치로 상승시킨다.
이 경우 슬라이더(80)는 힌지핀(81)에 의해 이동부재(100)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포스트(90)와 상기 작동체(40) 자체 또는 작동체(40)의 가이더(41)의 안내로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어 대략 중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슬라이더(80)의 힌지핀(81) 위치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결과로 상기 편심핀(61)이 편심 운동할 때 힌지핀(81)과의 거리가 떨어지는 관계로 때밀이부(20)를 고정하는 작동체(40) 및 슬라이더(80)는 힌지핀(81)을 중심으로 그 상측에 위치되는 때밀이부(20)는 그 좌우 유동폭이 축소된상태로 타원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작동레버(110)의 손잡이를 가장 하측으로 선택할 경우, 몸체(10)의 외측에 축핀(112)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110)의 단부에 결합된 릴리스케이블(120)(130)이 상기 슬라이더(80)를 가장 하측으로 위치시킨다.
이 경우 슬라이더(80)는 힌지핀(81)에 의해 이동부재(100)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포스트(90)의 안내로 상기 작동체(40) 자체 또는 작동체(40)의 가이더(41)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슬라이더(80)의 힌지핀(81) 위치가 가장 하측으로 위치되는 결과로 상기 편심핀(61)이 편심 운동할 때 때밀이부(20)를 고정하는 작동체(40) 및 슬라이더(80)는 힌지핀(81)의 중심이 일치되므로 그 상하에 위치되는 때밀이부(20)는 원운동을 수행한다.
이와같이 작동레버(110)의 위치 선택에 따라 때밀이부(20)의 운동상태를 직선운동과 타원운동, 그리고 원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으로 신체 조건에 따라 알맞은 때밀이부(20)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과 링크부재(50)의 결합부에는 일방향으로만 구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웨이베어링(5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편심핀(61)의 편심운동으로 작동축(21)이 직선운동과 타운운동 및 원운동할 때 링크부재(50)가 피봇핀(52)을 축으로 링크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작동축(21)은 미끄러지는데, 이때 상기 원웨이베어링(51)이 그 회전을 억제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축(21)이 자전운동을 미세하게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때밀이부(20)는 원운동에 의한 공전(空轉)운동과, 원웨이베어링(51)에 의한 자전(自轉)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므로 때밀이 효과 및 맛사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때밀이부(20)의 쿠숀부재(23)에는 때밀이용으로 사용할 경우 때밀이타올부재(24)를 그 외측으로 커버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때밀이부(20)의 쿠숀부재(23)에는 맛사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도시하지 않은 맛사지돌기가 다수 일정간격 돌출되는 맛사지부재를 그 외측으로 커버하는 것이 좋다.
한편, 기기본체의 내부에서 몸체(10)의 상방부에는 양측에 타이밍기어(151)가 설치된 아이들축(150)이 축지되어 있고, 또 상기 몸체(10)의 하방부에는 축상에 타이밍기어(161)가 설치된 모터(16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타이밍기어(151)(161)와 몸체(10)의 상하단부 사이에는 타이밍밸트(18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업/다운 스위치를 조작하면 상기 모터(16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되므로 타이밍밸트(180) 및 타이밍기어(151)(161)들이 회전하게 되어 상기 몸체(10)가 가이드봉(140)을 따라 도 3의 가상선과 같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업/다운 스위치를 적절히 조작하는 동작만으로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는 위치로 때밀이부(20)를 자유롭게 이동시킨 후 때밀이 또는 맞사지에 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등부분 전체에 걸쳐 골고루 닦을 수 있어 보다 세척 및 맛사지효과가 우수하다.
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접촉상태가 가변되며 골고루 세척 및 맛사지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이 간편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때밀이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0)

  1. 기기본체내에서 소정거리를 두고 수직하게 세워진 가이드봉(140)이 끼워지는 구멍이 천공된 상태로 양측의 상하부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지지구(11)을 구비하고 속이 빈 내부로 각 기구물을 수용함과 동시에 모터(160)의 회전방향 및 그 량에 부응하여 상기 가이드봉(140)을 소정거리내에서 승하강 이동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부터 노출되어 신체 등을 향해 설치되는 작동축(21)의 그 단부에 쿠숀부재(23)가 구비되며 세척수 공급호스(30)가 접속되어 작동축(21)의 통로(22)를 통해 쿠숀부재(23)를 향해 분출되며 회동하는 때밀이부(20)와;
    상기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의 단부에 축 설치되는 작동체(40)와;
    상기 때밀이부(20)의 작동축(21)에 원웨이베어링(51)으로 구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몸체(10)에 피봇핀(52)을 축으로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50)와;
    상기 작동체(40)에 편심핀(61)을 통해 편심되게 결합되며, 선단에는 소정의 타이밍을 갖는 기어(62)가 축 결합되는 구동축(60)과;
    동력전달수단(7)을 통해 상기 구동축(6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70)와;
    상기 작동체(40) 상에서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핀(81)이 돌출되는 슬라이더(80)와;
    상기 몸체(10)의 후방 중앙부에 수직하게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90)와;
    상기 슬라이더(80)의 힌지핀(81)에 힌지 결합되며 포스트(90)의 안내로 슬라이더(80)와 함께 상하 승강되는 이동부재(100)와;
    상기 몸체(10)의 외측에 축핀(112)이 축공(111)으로 끼워져 축핀(112)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작동레버(110)와;
    상기 작동레버(110)의 단부 양측으로 부터 슬라이더(80)의 상하부를 각각 연결하여 작동레버(110)의 회동에 따라 슬라이더(80) 및 이동부재(10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릴리스케이블(120)(130)과;
    양측에 타이밍기어(151)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몸체(10)의 상방부에서 기기본체에 축지되는 아이들축(150)과;
    축상에 타이밍기어(161)가 축지된 상태로 몸체(10)의 저부에서 기기본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몸체(10)가 가이드봉(140)을 따라 승하강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때밀이부(20)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하는 모터(160)와;
    상기 타이밍기어(151)(161)를 감쌓은 체 양단부가 상기 몸체(10)의 배면 상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모터(160)가 회전운동을할시 몸체(10)가 가이드봉(14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하는 타이밍밸트(1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부(20)의 쿠숀부재(23)에는 때밀이용으로 사용할 경우 때밀이타올부재(24)를 그 외측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부(20)의 쿠숀부재(23)에는 맛사지용으로 사용할 경우 도시하지 않은 맛사지돌기가 다수 일정간격 돌출되는 맛사지부재를 그 외측으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40)는 2개조로 분할하여 그 사이에 스프링(28)을 탄력 설치하여 탄력적으로 신축되게 하고, 그 선단에는 볼죠인트(25)를 결합하여 핀(26)을 수곳에서 탄력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40)의 전방 양측부에 가이드홈(42)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체(40) 상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80)는 "⊃"자형으로 형성시켜 그 단부에 지지편(82)을 볼트(83)로 고정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40)의 저단부에서 상방으로 "」"형상의 가이더(41)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80)는 "日"자형 형상으로 성형시켜 상기 가이더(41)가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62)는 헬리컬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62)는 타이밍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9. 청구항 1 및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상기 동력전달수단(7)은 구동모터(70)의 축상에는 헬리컬기어(73)를 형성시키고, 몸체(10)상에는 구동모터(70)의 동력을 감속시켜 구동축(60)상의 기어(62)에 전달하기 위해 잇수가 서로 다른 두개의 헬리컬기어(171)(172)가 일체로 형성된 아이들기어(170)를 축지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10. 청구항 1 및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7)은 구동모터(70)의 축에 타이밍기어(71)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축(60)상의 기어(62)와 상기 구동모터(70) 축상의 타이밍기어(71) 사이에 타이밍밸트(72)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KR2019970039370U 1996-12-31 1997-12-20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KR200168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370U KR200168747Y1 (ko) 1996-12-31 1997-12-20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60067986 1996-12-31
KR2019960067986 1996-12-31
KR67986 1996-12-31
KR2019970039370U KR200168747Y1 (ko) 1996-12-31 1997-12-20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14U KR19980055614U (ko) 1998-10-07
KR200168747Y1 true KR200168747Y1 (ko) 2000-02-01

Family

ID=6952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370U KR200168747Y1 (ko) 1996-12-31 1997-12-20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74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900B1 (ko) * 2002-09-19 2005-04-29 제우전자 주식회사 신체하부 마사지장치를 구비한 마사지의자
KR100771559B1 (ko) * 2006-12-15 2007-10-30 김영환 전동식 때밀이 장치
CN109620028B (zh) * 2019-01-03 2023-12-12 戎俊全 一种搓背器
KR102267084B1 (ko) * 2021-04-02 2021-06-17 최광민 개인용 등밀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14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399Y1 (ko) 치아용 브러쉬 장치
CN2936094Y (zh) 仿生式自动洗澡搓背器
CN100455242C (zh) 多功能自动人体搓澡机
CN108714018B (zh) 一种自动擦鞋机
JP3165079B2 (ja) シャワー装置
KR200168747Y1 (ko) 맛사지를 겸한 전동식 때밀이기
CN108742251B (zh) 一种清洁器及配备该清洁器的沐浴装置
CN109310252A (zh) 具有清洁辊子的湿式清洁设备
KR20010107865A (ko) 자동 신발세척기
CN207898190U (zh) 一种卫浴用浴缸全方位清洁装置
CN1327822C (zh) 按摩器
KR101726703B1 (ko) 자동 회전형 걸레 청소기
CN104814694B (zh) 往复式自动搓澡机
CN108713988A (zh) 一种花式搓背机
KR200420257Y1 (ko) 전동수세미겸용때밀이장치
KR20100079264A (ko) 좌변기용 비데
JPH0653138B2 (ja) マッサージ機
CN216135741U (zh) 一种多功能搓抓按摩手
KR200306799Y1 (ko) 때밀이 기구
KR100196787B1 (ko) 다용도 자동 청정장치
KR200267771Y1 (ko) 허리운동의자
CN220938496U (zh) 一种按摩结构、洗护按摩装置以及可储水移动式洗护车
JP3246234U (ja) 肩首マッサージ器
CN212015413U (zh) 一种可翻转的背部搓洗按摩装置
CN217537222U (zh) 一种喷洗装置及智能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