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701Y1 -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 Google Patents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701Y1
KR200168701Y1 KR2019970032021U KR19970032021U KR200168701Y1 KR 200168701 Y1 KR200168701 Y1 KR 200168701Y1 KR 2019970032021 U KR2019970032021 U KR 2019970032021U KR 19970032021 U KR19970032021 U KR 19970032021U KR 200168701 Y1 KR200168701 Y1 KR 200168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handle
ring
inlet
inn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736U (ko
Inventor
최병호
Original Assignee
최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호 filed Critical 최병호
Priority to KR2019970032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701Y1/ko
Publication of KR19990018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7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7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수용 물통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구부의 직경이 비교적 큰 물통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손잡이는 물통의 입구부 외주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탄력있는 "C"자형의 터진 고리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어 물통의 운반 도중 물통의 입구부가 결합부의 터진 부분으로 빠져나가 제멋대로 이탈되어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파지부(1)와 결합부(2)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결합부(2)를 원형의 폐색 고리(21)로 형성시키되, 고리(21)의 내경을 물통(10)의 입구부(11) 외경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고리(21)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는 내경축소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손잡이를 물통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일을 용이하게 하며, 물통과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게 하고, 그리하여 물통(10)의 입구부(11)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게 하여 물통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본 고안은 생수용 물통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구부의 직경이 비교적 큰 물통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생수용 물통은 그 입구부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어 물통을 운반할 경우에는 길고 직경이 작게 형성된 입구부를 손으로 잡고 운반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물통은 물통의 입구부 직경이 작아 그 내부의 청소가 곤란한 결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입구부의 직경을 확대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이와같이 물통의 입구부 직경을 크게 확장시키면 이러한 물통은 이를 한손으로 잡고 운반할 수가 없으므로 결국 물통의 한손 파지 운반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별도의 손잡이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입구부의 직경이 큰 물통에 사용되는 손잡이로서는 일본국 공개 실용신안공고 소62-152924호와 본 고안자의 선출원 고안인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제218402호가 알려진 바 있다. 그런데 이들은 물통의 입구부 외주부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탄력있는 "C"자형의 터진 고리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C"자형의 터진 고리 양단을 벌리어 입구부 외주에 결합하게 되면 고리의 탄력으로 결합부가 물통의 입구부에 결합되고, 물통으로부터 손잡이를 해탈시키려 하면 "C"자형 고리의 터진 양단 부분을 강제로 벌려야 했던 것이다. 그러나 생수용 물통은 그 무게가 20Kg정도이어서 무거울 뿐 아니라 물통의 취급은 비교적 거칠 수 밖에 없어 물통의 운반 도중 물통의 입구부가 결합부의 터진 부분으로 빠져나가 제멋대로 이탈되어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없는 결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물통의 무게가 아무리 무겁고 또 그 취급을 아무리 거칠게 하더라도 손잡이가 물통으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는 손잡이를 제공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는 파지부와 결합부로 구성되며, 결합부는 물통의 입구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결합부를 양단이 터진 "C"자형으로 형성시키므로서 터진 부분을 통하여 결합하고 해탈시키도록 구성시켰던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C"자로된 결합부는 그 취약성을 면치 못함을 알게된 본 고안자는, 결합부를 물통의 입구부 외경보다 큰 직경의 원형의 폐색 고리 모양으로 형성시키되, 결합부를 일단 물통의 입구부에 끼운 후에는 결합부의 내경을 축소시키는 내경 축소수단을 결합하므로서 결합부가 입구부로부터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구성시켰는 바,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지부 2 : 결합부
21 : 고리 22 : 결합홈
3 : 쐐기
본 고안은 파지부(1)와 결합부(2)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결합부(2)를 원형의 폐색 고리(21)로 형성시키되, 고리(21)의 내경을 물통(10)의 입구부(11) 외경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고리(21)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는 내경축소수단을 결합시킨다. 내경축소수단은 고리(21)의 내측에 형성시킨 대략 반달형의 결합홈(22)과 결합홈(22)에 결합 해탈이 자재로운 반달형의 쐐기(3)로 구성시킨다. 결합홈(22)이나 쐐기(3)는 반원을 초과하는 크기로 형성시키므로서 쐐기(3)가 자의로 이탈되지 아니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물통(10)의 입구부(11)의 외경보다 고리(21)의 내경을 크게 형성시켰으므로, 고리(21)를 물통(10)의 입구부(11)에 끼우는 일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고리(21)를 입구부(11)에 끼운 후에는 고리(21)가 입구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리(21)에 설치된 결합홈(22)에 쐐기(3)를 결합하므로서 고리(21)의 내경을 감소시킨다. 이와같이 고리(21)의 내경이 감소되면 쐐기(3)를 떼어내지 아니하는 한 고리(21)가 입구부(11)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따라서 파지부(1)를 잡고 물통을 쉽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고리(21)로부터 쐐기(3)를 분리하면 고리(21)의 내경이 확장되어 확장된 고리(21)의 내부로 물통(10)의 입구부(11)를 끼울 수 있게 되며, 고리(21)를 입구부(11)에 끼워 결합한 후 다시 쐐기를 결합시키어 고리(21)의 내경을 축소시키면, 종래에 있어서와 같이 고리(21)의 일부가 터져 개방되어 있지 아니하고 고리(21)가 폐색되어 있어, 그 일부가 벌어져 자의로 입구부(11)로부터 이탈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극히 용이하게 고리(21)의 내경을 축소 확장할 수 있게 하므로서 손잡이를 물통에 결합하고 분리하는 일을 용이하게 하며, 물통과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공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물통(10)의 입구부(11) 직경을 확장시킬 수 있어 물통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파지부(1)와 결합부(2)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결합부(2)를 원형의 폐색 고리(21)로 형성시키되, 고리(21)의 내경을 물통(10)의 입구부(11) 외경보다 크게 형성시키고, 고리(21)에 내경축소수단을 결합시키며, 내경축소수단은 고리(21)의 내측에 형성시킨 대략 반달형의 결합홈(22)과 결합홈(22)에의 결합 해탈이 자재로운 반달형의 쐐기(3)로 구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KR2019970032021U 1997-11-13 1997-11-13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KR200168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21U KR200168701Y1 (ko) 1997-11-13 1997-11-13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021U KR200168701Y1 (ko) 1997-11-13 1997-11-13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36U KR19990018736U (ko) 1999-06-05
KR200168701Y1 true KR200168701Y1 (ko) 2000-03-02

Family

ID=1951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021U KR200168701Y1 (ko) 1997-11-13 1997-11-13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7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736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52370A (en) Pressure vessel valve housing
MY134777A (en) Drink dispenser assembly and container for drink, in particular carbonated drink, and drink dispensing line for use in such an assembly
JPS5841561A (ja) 医療用液体容器の接続装置
KR20060043778A (ko) 마개 분실방지 용기
KR200168701Y1 (ko) 생수용 물통의 손잡이
US20060180567A1 (en) Bottle tote
EP1461263B1 (fr) Dispositif de bouchage
JP3875717B1 (ja) 袋内内容物排出用の着脱可能な開閉型キャップ
US6595551B2 (en) Break-away lock for a fire hydrant water meter
JPH08324571A (ja) 壜運搬用提げ手
KR20090056033A (ko) 비닐봉투
JP5272316B2 (ja) 包装チューブ
CA2452591A1 (en) Reconstitution package
TW201231353A (en) Tight head plastics drum bung closure system with safety cap
CN207049612U (zh) 一次性使用的燃气罐充气嘴密封盖
CN217245079U (zh) 便于清洗的造口袋
BE1005567A3 (fr) Douche autonome, portable, sterile, pour le lavage des parties du corps humain ou animal agressees notamment par des produits chimiques.
JP2005145555A (ja) ねじ込み分離式の開栓構造を持つボトルキャップの開栓時における固定方式および装置
JP2000328612A (ja) スタンドパイプ
JP3647661B2 (ja) ペットボトル用携帯具
KR200280817Y1 (ko) 포장용 용기
CN201215187Y (zh) 一种陶瓷密封直通阀
KR200258609Y1 (ko) 뚜껑 걸이대가 형성된 용기
WO2001005663A3 (en) Opening assembly
KR200261637Y1 (ko) 위조방지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