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452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452Y1
KR200168452Y1 KR2019990016987U KR19990016987U KR200168452Y1 KR 200168452 Y1 KR200168452 Y1 KR 200168452Y1 KR 2019990016987 U KR2019990016987 U KR 2019990016987U KR 19990016987 U KR19990016987 U KR 19990016987U KR 200168452 Y1 KR200168452 Y1 KR 2001684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reverse osmosis
downstream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동
Original Assignee
양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동 filed Critical 양원동
Priority to KR20199900169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4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4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4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0Brush filters ; Rotary brush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용수나 조리수, 특히 탕약을 달이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탕전수를 생성하는 역삼투막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정수기는 원수에 함유된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침전필터(11), 상기 침전필터(11)에서 얻어진 정수 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프리카본필터(12) 및 포스트카본필터(13), 상기 프리카본필터(12) 및 포스트카본필터(13)의 하류측에 설치된 역삼투필터(14), 이 역삼투필터(14)의 하류측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조(16) 및 오존 살균조(17), 상기 살균조(16)(17)로부터 얻어진 순수로부터 불쾌한 맛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살균조(16)(17)의 하류측에 배치한 후처리필터(18), 상기 후처리필터(18)의 하류측에 배치된 순수저수용 저수조(19), 및 상기 역삼투필터(14)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침전필터(11)로 재순환하는 분기관(37) 상에 배치된 농축수 재생조(2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수기{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본 고안은 음용수나 조리수, 특히 탕약을 달이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한 탕전수를 생성하는 역삼투막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음용수는 위생상 일정 정도 이상의 수질이 요구된다. 즉, 물 이외의 혼입물인 흙 기타 미립자나 수용성 오염물질, 세균 등의 미생물의 양이 매우 제한되고, 또 수도수에 반드시 혼입되어 있는 염소 등도 저농도일 것이 요구된다. 특히, 한의원 등에서는 식물성 약재를 이용하여 탕약을 달이고 있는데, 이때 사용하는 탕전수의 정화상태는 약의 효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반에 공급되고 있는 수도수에는 공장배수나 농약, 생활잡배수에 의한 오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한 염소 등의 약품류가 일정량 잔류하여 포함되어 있고, 또 노후된 수도설비로터 혼입된 녹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같은 원인에서 탕전용으로 수도수를 그대로 사용하면 약의 효능이 손상되므로 위생적이고 안전한 정수를 얻기 위한 다양한 정수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정수기는 전문적으로 탕약을 달이는 한의원 등에서 사용하기에는 그 저수용량이 너무 작고, 필터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고, 음용수를 제공하는 설비인 냉온수기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부피가 클 뿐 아니라 전기의 소모량이 크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정수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풍부한 저수용량을 구비함으로써 정수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한의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적시에 필터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는 탕전수만을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 음용수를 제공하는 설비인 별체의 냉온수기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완벽한 살균 및 정수능력을 가진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정수기는 원수에 함유된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침전필터, 상기 침전필터에서 얻어진 정수 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프리카본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 상기 프리카본필터 및 포스트카본필터의 하류측에 설치된 역삼투필터, 이 역삼투필터의 하류측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조 및 오존 살균조, 상기 살균조로부터 얻어진 순수로부터 불쾌한 맛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살균조의 하류측에 배치한 후처리필터, 상기 후처리필터의 하류측에 배치된 순수저수용 저수조, 및 상기 역삼투필터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침전필터로 재순환하는 분기관 상에 배치된 농축수 재생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수기의 구성 및 급수의 흐름을 보이는 블록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의 저수조 및 탕전기 사이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입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정수기의 구성 및 급수의 흐름을 보이는 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수조 및 탕전기 사이의 연결관계를 보이는 입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정수기(10)는 원수(수도수 등)에 함유된 0.10마이크론 이상의 고형물질(흙, 모래, 녹 등)을 걸러주는 침전필터(11)와 이 침전필터(11)에서 얻어진 정수 내에 함유된 유해물질(발암물질, 화학물질, 방사능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프리카본필터(12) 및 포스트카본필터(13)를 구비한다. 상기 침전필터(11) 및 포스트카본필터(13)에는 각각 수압측정용 수압계(11a)(13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수압계(11a)(13a)에 의해 측정된 수압이 일정치에 도달하면 도시를 생략한 제어스위치에 의해 정수작용이 일시 중단된다.
또, 상기 프리카본필터(12) 및 포스트카본필터(13)의 하류측에는 이들 카본필터(12)(13)로부터 얻어진 정수를 역삼투막을 통해 중금속, 이온, 기타 세균류 등을 제거하여 순수를 얻는 역삼투필터(14) 및 이 역삼투필터(14)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멈춤밸브(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자동멈춤밸브(15)의 하류측에는 역류방지용 제1체크밸브(32)를 개재하여 송수된 순수 내에 함유된 세균류를 살균하기 위한 자외선 살균조(16) 및 오존 살균조(17)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살균조 (16)(17)의 하류측에는 살균조(16)(17)로부터 얻어진 순수로부터 불쾌한 맛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필터(18) 및 수압조절스위치(36)를 경유하여 송수된 순수를 저수하는 저수조(19)가 설치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후처리필터(18) 및 압력조절스위치(36)의 하류측에 상기 저수조(19)와 별체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온수기(22)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삼투필터(14)의 수압조절용 자동멈춤밸브(15)는 농축수 배수밸브(34)를 경유하여 농축수 재생조(24)에 연통하는 분기관(37)을 구비한다. 상기 농축수 재생조(24)의 상하류측에는 농축수내의 고형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고형물 측정기(23)(25)가 배치되어 있고, 하류측 고형물 측정기(25)의 하류측에는 침전필터(11)로 재순환하는 재생수가 농축수 재생조(24)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35)가 배치된다.
도 2의 저수조(19)는 바이오세라믹, 예로서 순도 99.9%의 27종 스텐레스, 또는 동으로 제작한 용기를 사용하고, 용량은 40리터 내지 1000리터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조(19)의 하류측에는 제2급수펌프(33), 후처리필터(20), 및 탕전기 (21)에 순수를 공급하는 급수노즐(20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노즐(20b)은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량조절기를 구비하고, 또 급수노즐(20b)의 작업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제작된 호스(20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량조절기를 구비한 급수노즐(20b)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주유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과 유사한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저수조(19)를 일정 높이의 받침대(19e) 상에 지지함으로써 그 높이가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제2급수펌프(33)를 생략하여도 급수노즐(20b)을 통해서 만족스러운 급수압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저수조(19)의 외측에는 저수조(19) 내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나 투명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상하단부가 저수조(19) 내의 순수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수량표시기(19a)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저수조(19)의 내측에는 저수조(19) 내에 순수가 충만되었을 때 정수작용을 일시 중지하도록 하는 수위조절밸브(19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위조절밸브(19b)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는 부력에 의해 급수를 단속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수조(19)의 저면에는 살균능력 또는 정수능력이 있는 광석(맥반석, 제오라이트원석, 게르마늄, 옥, 은, 동 등)을 깔아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저수조(19)의 하측의 외부에는 필요시 저수조(19) 내의 순수를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급수전(19d)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는 풍부한 저수용량을 구비하므로 전문적으로 탕약을 달이는 한의원 등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필터의 오염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으므로 적기에 필터교체가 가능할 뿐 아니라 자외선, 오존 및 기타 정화능이 있는 광석을 사용함으로서 정화능이 향상되고, 음용수를 제공하는 설비인 냉온수기를 별체로 구성함으로써 그 공간배치가 자유로울 뿐 아니라 전기의 소모량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원수에 함유된 고형물질을 걸러주는 침전필터(11), 상기 침전필터(11)에서 얻어진 정수 내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흡착 제거하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프리카본필터(12) 및 포스트카본필터(13), 상기 프리카본필터(12) 및 포스트카본필터(13)의 하류측에 설치된 역삼투필터(14), 이 역삼투필터(14)의 하류측에 설치된 자외선 살균조(16) 및 오존 살균조(17), 상기 살균조(16)(17)로부터 얻어진 순수로부터 불쾌한 맛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살균조(16)(17)의 하류측에 배치한 후처리필터(18), 상기 후처리필터(18)의 하류측에 배치된 순수저수용 저수조(19), 및 상기 역삼투필터(14)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침전필터(11)로 재순환하는 분기관(37) 상에 배치된 농축수 재생조(2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필터(11) 및 포스트카본필터(13)에는 각각 수압측정용 수압계(11a)(13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필터(14)의 하류측에 수압조절용 자동멈춤밸브 (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필터(18) 및 압력조절스위치(36)의 하류측에 상기 저수조(19)와 별체로 음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온수기(2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 재생조(24)의 상하류측에는 농축수내의 고형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고형물 측정기(23)(25)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9)는 바이오세라믹, 스텐레스, 또는 동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9)의 하류측에는 제2급수펌프(33), 후처리필터(20), 및 탕전기(21)에 순수를 공급하는 급수노즐(20b)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노즐(20b)은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량조절기를 구비하고, 또 급수노즐(20b)의 작업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가요성 재질로 제작된 호스(20a)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9)는 소정 높이의 받침대(19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9)의 외측에는 저수조(19)내의 수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량표시기(19a)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9)의 내측에는 저수조(19) 내에 순수가 충만되었을 때 정수작용을 일시 중지하도록 하는 수위조절밸브(19b)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밸브(19b)는 부력에 의해 급수를 단속하는 형식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1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19)의 저면에 살균능력 또는 정수능력이 있는 광석을 깔아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2019990016987U 1999-08-17 1999-08-17 정수기 KR2001684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87U KR200168452Y1 (ko) 1999-08-17 1999-08-17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87U KR200168452Y1 (ko) 1999-08-17 1999-08-17 정수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949A Division KR20020093663A (ko) 2002-10-01 2002-10-01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452Y1 true KR200168452Y1 (ko) 2000-02-15

Family

ID=1958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87U KR200168452Y1 (ko) 1999-08-17 1999-08-17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4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427A (ko) * 2000-09-08 2002-03-15 송 재 식 한외 여과막과 소형펌프를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0427A (ko) * 2000-09-08 2002-03-15 송 재 식 한외 여과막과 소형펌프를 구비한 역삼투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4710B (zh) 一种净水制备的膜分离结构优化系统
JPH0228364B2 (ko)
CN103771644A (zh) 一种多功能净水装置
JPS60220107A (ja) 浄水器
CN205773828U (zh) 一种新型的农村净水机
CN201614328U (zh) 净水制备的膜分离结构优化系统
KR20020093663A (ko) 정수기
CN209507869U (zh) 用于水净化设备的混合水箱以及水净化设备
KR200168452Y1 (ko) 정수기
CN111675376A (zh) 一种一体化集约式分布的饮用水净化供水工艺及装置
CN205442920U (zh) 一种净水设备
CN209128236U (zh) 水净化设备
CN113087209A (zh) 一种带调节口感的净水设备
CN109368898A (zh) 水净化设备
RU139197U1 (ru) Автомат для получения очищенной питьевой воды
KR20090013556A (ko) 고탁도 필터
CN2160654Y (zh) 一种反渗透自动纯水机
JP3069019U (ja) 活性常水製造装置
WO2007072127A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treatment of drinking water and process therefor
CN209128226U (zh) 具有灭菌系统的水净化设备
CN209259870U (zh) 具有自动排水系统的水净化设备
CN203999241U (zh) 一种多功能净水装置
CN2362834Y (zh) 滤水消毒罐
JP2709700B2 (ja) 飲料水用ミネラル水の生成装置及びその生成方法
CN217297562U (zh) 一种泉水直饮工程净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