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397Y1 - 필름 삽입형 키패드 - Google Patents

필름 삽입형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397Y1
KR200168397Y1 KR2019970040688U KR19970040688U KR200168397Y1 KR 200168397 Y1 KR200168397 Y1 KR 200168397Y1 KR 2019970040688 U KR2019970040688 U KR 2019970040688U KR 19970040688 U KR19970040688 U KR 19970040688U KR 200168397 Y1 KR200168397 Y1 KR 200168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top
film
keypa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838U (ko
Inventor
양윤홍
한영수
Original Assignee
양윤홍
유일전자공업주식회사
한영수
피닉스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홍, 유일전자공업주식회사, 한영수, 피닉스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윤홍
Priority to KR2019970040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397Y1/ko
Publication of KR980005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838U/ko
Priority to JP10367568A priority patent/JPH1125075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Abstract

키의 사출소재를 가볍 딱딱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접점과 접촉되는 것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하여 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키탑과, 이 키탑의 저면에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와, 상기한 돌기의 경사면에 일측단이 접촉하며 키탑의 저면과 접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필름과, 상기한 키탑을 포함하고 이 키탑의 저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필름에 도포된 잉크와, 상기한 키탑의 상단면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각인된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필름은 키의 저면에 접착되어 키를 지탱하고 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 삽입형 키패드
본 고안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의 사출소재를 가벼우면서 딱딱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접점과 접촉하는 것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느낄수 있도록 하고, 키의 저면으로 필름을 삽입하여 삽입된 필름이 키를 지탱하고 키의 유동을 방지하여 주는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패드는, 예컨데 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으로서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품이다.
이러한 키패드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된 키탑과, 상기한 키탑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어 PCB 기판의 접점과 접촉시키는 돌기로 구성된다.
이러한 키패드는, 통상적으로 사출된 개별 부품들을 조립한 뒤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홀로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키패드는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리콘 고무는 비싸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많이 들었으며, 실리콘 고무의 특성상 딱딱한 느낌이 나지 않아 키가 접점과 접촉되는 것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느낄 수 없었다.
특히, 소재가 무겁기 때문에 키의 유동을 방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키의 사출소재를 가볍고도 딱딱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접점과 접촉되는 것을 사용자가 정확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키를 지탱시키고 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필름이 삽입된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투명한 합성수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키탑과, 이 키탑의 저면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와, 상기한 돌기의 경사면에 일측단이 접촉하며 키탑의 저면과 접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필름과, 상기한 키탑과 이 키탑의 저면에 연장 형성된 필름에 도포한 잉크와, 상기한 키탑의 상단부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각인된 문자를 제공한다.
상기한 필름은 키의 저면에 접착되어 키를 지탱시키며, 일측단은 경사면을 형성하여 키탑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의 경사면과 접촉하여 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가 사용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예컨데 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키패드(2)는 위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과 대응되는 복수의 키탑(4)과, 이 키탑(4)과 일체로 형성되며 저면 중앙부에 위치한 한 쌍의 돌기(6)를 보유한다.
상기한 돌기(6)는 서로 대향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외측 면이 상기한 키탑(4)의 저면과 연결되는 경사면(8)을 갖는다.
상기한 키탑(4)의 저면을 포함하고 이 저면에서 연장되는 수평방향으로는 상기한 키탑(4)을 지탱시키고, 이 키탑(4)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필름(10)이 접착된다.
상기한 필름(10)의 일측은 키탑(4)에 형성된 경사면(8)과 대응되는 각도를 갖는 경사면(11)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사면(11)은, 상기한 돌기에 형성된 경사면(8)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키의 위치를 고정시켜주며, 또한 키탑(4)의 저면에 위치한 필름(10)이 상기한 키탑(4)을 지탱하게 된다.
상기한 필름(1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 필름(10)면에 잉크(12)를 도포한 후,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필요한 문자(13)를 각인 한다.
이렇게 완성된 키패드(2)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탑(4)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6)가 위치한 아래쪽에는, 이 돌기(6)와 접촉되는 탄성부재(14)가 PCB 기판(16)에 지지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한 탄성부재(14)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돌기(6)의 압력을 받아 접점과 접속되도록 하여준다.
이러한 탄성부재(14)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구비된 금속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PCB 기판(16)은 탄성부재(14)와 면접촉될 수 있는 접점(18)이 형성되고, 상기한 탄성부재(14)와 접점(18)이 접촉되었을 때 빛을 발광하는 LED 램프(20)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상기한 LED 램프(20)가 위치한 주위에는, 발광한 LED 램프(20)의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재(22)가 형성된다.
상기한 반사부재(22)는 본 고안에서는 PCB 기판(16)상에 고정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10)에 돌기를 형성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고, PCB 기판(16)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키패드(2)는, 키탑(4)을 누르게 되면 이 키탑(4)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6)가 돔 형태를 갖는 탄성부재(14)의 탄력을 극복하고 PCB 기판(16)에 돌출 형성된 접점(18)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한 PCB 기판(16)에 돌출 형성된 LED 램프(20)가 발광하며, 발광된 LED 램프(20)가 반사부재(22)를 통하여 반사된 빛이 필름(10)과 키탑(4)을 통과하여 잉크(12)를 도포한 키탑(4)의 상부면에 형성된 문자(13)를 더욱 확실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키탑(4)의 복귀는, 누르고 있던 키탑(4)을 놓게되면 탄성부재(14)의 탄력에 의하여 상기한 키탑(4)을 상승시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키패드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그의 기능적 특성들이 발휘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강도 및 탄성을 갖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는, 키의 사출소재를 가볍고도 딱딱한 느낌을 느낄 수 있는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접점과 접촉되는 것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어 정확한 호출신호를 발생시키고, 키탑의 저면에 접착된 필름의 경사면과 돌기의 경사면이 접촉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투명한 합성수지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키탑과, 이 키탑의 저면에 중앙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갖는 돌기와, 상기한 돌기의 경사면에 일측단이 접촉하며 키탑의 저면에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필름과, 상기한 키탑과 이 키탑의 저면에 연장 형성된 필름에 도포한 잉크와, 상기한 키탑의 상단부에 각인된 문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삽입형 키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필름은 키탑의 저면으로 형성되고, 이 키탑의 저면과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삽입형 키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필름은 일측단이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삽입형 패드.
KR2019970040688U 1997-12-24 1997-12-24 필름 삽입형 키패드 KR200168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88U KR200168397Y1 (ko) 1997-12-24 1997-12-24 필름 삽입형 키패드
JP10367568A JPH11250754A (ja) 1997-12-24 1998-12-24 ボタン集合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688U KR200168397Y1 (ko) 1997-12-24 1997-12-24 필름 삽입형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838U KR980005838U (ko) 1998-03-30
KR200168397Y1 true KR200168397Y1 (ko) 2000-02-01

Family

ID=19518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688U KR200168397Y1 (ko) 1997-12-24 1997-12-24 필름 삽입형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3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658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팬택 유동방지 키버튼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07157B1 (ko) 2006-03-28 2008-02-27 노키아 코포레이션 포터블 전자장치들을 위한 키지지구조를 가진 키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06134968A (ru) 2004-03-15 2008-04-27 Сербио Ко., Лтд. (Kr)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вставка для лодыжки для крепления к обуви и обувь с поддерживающей вставко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658A (ko) * 2004-11-10 2006-05-15 주식회사 팬택 유동방지 키버튼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807157B1 (ko) 2006-03-28 2008-02-27 노키아 코포레이션 포터블 전자장치들을 위한 키지지구조를 가진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838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321B1 (ko) 발광 시트 모듈
KR100384993B1 (ko)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KR100689392B1 (ko) 키 패드와 그를 이용한 키 패드 어셈블리
US5960942A (en) Thin profile keypad with integrated LEDs
US7655878B2 (en) Key sheet and key sheet manufacturing method
KR100689395B1 (ko) 키 패드 어셈블리
KR970012836A (ko) 조광식 스위치
JP2008269864A (ja) 押圧突起を備えたメタルドームシート及び押し釦スイッチ
JPH1115393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アセンブリ
US20050150753A1 (en) Ke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861600B1 (en) Integrated switch and backlight assembly
KR200168397Y1 (ko) 필름 삽입형 키패드
US5743384A (en) Self-leveling key switch
KR100324780B1 (ko) 키스위치
KR20090016398A (ko) 스위치용 가동 접점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스위치 장치
JP2876570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4393124B2 (ja) スイッチ
NO861258L (no) Tastknapp for et tastatur anordnet i en kapsel.
JP4347679B2 (ja) キーシート
TWI599918B (zh) 發光鍵盤
KR100528493B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및 그 제조방법
KR200323756Y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KR200378607Y1 (ko) 메탈 키패드
KR19980024775U (ko) 메탈돔 일체형 키패드 조립구조
JP5619369B2 (ja) シート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