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881Y1 - 액체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액체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881Y1
KR200167881Y1 KR2019990014726U KR19990014726U KR200167881Y1 KR 200167881 Y1 KR200167881 Y1 KR 200167881Y1 KR 2019990014726 U KR2019990014726 U KR 2019990014726U KR 19990014726 U KR19990014726 U KR 19990014726U KR 200167881 Y1 KR200167881 Y1 KR 2001678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cap
recess
liquid
inject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47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옥복
Original Assignee
배옥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옥복 filed Critical 배옥복
Priority to KR20199900147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8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8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8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0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811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 B05B9/0816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comprising a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comprising air supplying means actuated by the operator to pressurise or compress the container the air supplying means being a manually actuated air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07At least a part of the apparatus, e.g. a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means, e.g. wheels, for allowing its displacement relative to the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1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reciprocating pumps, e.g. membrane pump, piston pump, bellow pump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액체를 담은 용기의 입구에 장착하여 분사캡을 눌렀다 뗐다하는 반복동작에 의한 펌핑(pumping)으로 분사를 가능케 한 액체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 시에 입자의 크기 및 분사량이 균일하고 분사각도가 정확하게 유지되게 한 것이다.
종래의 액체 분사장치는 분사캡에서 측방을 향한 노즐의 분사공 뒤편에 위치하는 원형 요입부의 중심에 솟은 돌봉의 선단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로 인해 액체가 유입되면 오목부상에서 발생하는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력이 분사력을 약화시켰다.
본 고안의 액체 분사장치는 분사캡의 돌봉 표면에 동일 면적의 편편한 박판 (薄板)을 덮어 오목부에서 발생했던 표면장력 요인을 해소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호캡(30)을 씌운 분사캡(8)을 눌렀다 뗐다하는 펌핑(pumping)에 의해 용기내의 액체가 흡입호오스(1a), 실린더(1), 피스톤링(4), 피스톤(5) 및 흡상관(7)을 차례로 거쳐서 분사캡(8)의 돌봉(82) 선단에 형성된 오목부(85) 앞쪽에 끼운 노즐(9)의 분사공(95)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분사캡(8)의 돌봉(82) 선단 표면의 오목부(85)는 그대로 두고 오목부(85)의 위에 동일 면적의 두께가 0.1∼0.2㎜의 금속제 또는 비금속제로 된 편편한 박판(80)을 덮어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력을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분사장치{Sprayer Apparatus for Liquid}
본 고안은 각종 액체를 담은 용기의 입구에 장착하여 분사캡을 눌렀다 뗐다하는 반복동작에 의한 펌핑(pumping)으로 분사를 가능케 한 액체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분사 시에 입자의 크기 및 분사량이 균일하고 분사각도가 정확하게 유지되게 한 것이다.
액체 분사장치는 주로 소량의 사용으로 침투나 확산 효과를 내야하는 액상의 화장품, 소취제, 구강청결제, 세안제 등을 담은 용기에 장착된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액체 분사장치는 도 4에서 보듯이, 분사캡(8)에서 측방을 향한 노즐(9)의 분사공(92) 뒤편에 위치하는 원형 요입부(83) 중심에 솟은 돌봉(82)의 선단 표면에 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로 액체가 유입되면 오목부(85)상에서 발생하는 표면장력으로 인한 응집력이 분사력을 약화시켰다.
분사력을 약화시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는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력 때문에 분사각도가 작고 불규칙하며 물방울이 맺히면서 분사입자가 균일하지 못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분사력의 약화 요인이 돌봉(82)의 표면에 형성되는 오목부(85)에 있음을 알고도 해결치 못하는 것은 분사캡(8)이 합성수지재 사출성형품이기 때문이다.
합성수지재의 사출성형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두께가 다른 성형품을 성형할 경우, 냉각에 따른 고화(固化) 과정에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표면이 수축되므로 인해 오목부가 생기는데 이를 싱크 마아크(sink mark)라 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합성수지제품을 사출성형할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단으로써 현재까지는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액체 분사장치에 있어서 오목부상의 표면장력 현상을 제거하여 분사입자의 크기 및 분사량이 균일하고 분사각도가 정확하게 유지되는 분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분사장치는 분사캡의 돌봉 표면에 동일 면적의 편편한 박판(薄板)을 덮어 오목부에서 발생했던 표면장력 요인을 해소하여 분사력을 향상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이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이며, 이같은 구성에 따라 당초의 의도대로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분사장치의 분사캡에서 노즐을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노즐의 종단측면도
도 3은 노즐의 배면도
도 4는 액체 분사장치의 전체를 보인 종단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2 : 볼
3,6 : 스프링 4 : 피스톤링
5 : 피스톤 7 : 흡상관
8 : 분사캡 9 : 노즐
10 : 패킹 80 : 박판
82 : 돌봉 85 : 오목부
도 1 및 도 4에서,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분사장치는 흡입호오스(1a)를 하단에 끼운 실린더(1)내의 저면 입구에 볼(2), 스프링(3), 피스톤링(4), 피스톤(5), 스프링(6) 및 흡상관(7)이 차례로 장전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1) 선단의 플랜지(11)와 흡상관(7)의 플랜지(71) 상면에는 이들이 같이 덮히도록 한 패킹(10)을 위에서 누르게 끼운 뚜껑(20)이 플랜지(11)의 외면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흡상관(7)의 상단에는 분사캡(8)의 하방이 트인 수직공(81)을 끼우고 이 수직공(81)과 측방으로 솟은 돌봉(82) 외곽의 요입부(83)가 연통되도록 횡공(84)으로 이어져 있다.
돌봉(82)은 그 선단 표면에 사출성형 과정에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표면이 수축되므로 인해 생긴 싱크 마아크, 즉 오목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캡(8)의 요입부(83)에는 노즐(9) 뒤편의 돌출테(91)를 끼워 붙인 후 분사공(95)의 앞쪽이 튀어나오게 보호캡(30)을 씌운다.
볼(2)은 실린더(1) 내저면의 입구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스프링(3)에 의 해 탄압되어 있다가 펌핑으로 피스톤(5) 하반부의 흡입실(12)에 진공이 걸리면 열리면서 흡입호오스(1a)를 통하여 액체를 흡입한다.
피스톤링(4)은 위로 솟은 원형테(41)를 그 상방에 위치하는 피스톤(5)의 날개(51) 내측에 끼워서 피스톤(5)과 실린더(1) 내벽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피스톤(5)의 날개(51)는 기밀유지를 위해서 유연성이 요구되므로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연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6)은 분사캡(8)을 누를 경우 흡상관(7)이 하강하면서 플랜지(71) 밑면에 압축상태로 눌리게 되고, 이때 피스톤(5)과 같이 피스톤링(4)이 하강하여 흡입실(12)내의 스프링(3)을 동시에 압축한다.
상기 스프링(6)은 분사캡(8)을 누를 때 하방의 스프링(3)을 동시에 압축해야 하므로 상방의 스프링(6)은 하방의 스프링(3)에 비해 탄력강도가 높아야 한다.
흡상관(7)은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지점에 일체형의 플랜지(71)를 형성하고, 축선방향으로는 밑부분이 막힌 위가 넓고 아래로 갈수록 좁은 테이퍼형 통로(72)와 이 통로(72)의 하단 일측에 구멍(73)이 연통되도록 뚫려 있다.
분사캡(8)은 펌핑할 때 압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심의 하방에는 흡상관(7)의 상단을 끼우는 수직공(81)이 뚫려 있고 측방으로는 돌봉(82) 외곽에 노즐(9)을 끼워 붙이는 상기 수직공(81)과 횡공(84)으로 연통된 요입부(83)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9)은 그 뒤편에 상기 분사캡(8)의 요입부(83)에 끼워 붙이는 돌출테(91)와 이 돌출테(91)의 선단 내측으로 경사면(9a)이 형성되어 있고, 요입공(93)의 내벽에는 입구(94)를 가지는 팔랑개비형 돌부(95)가 적어도 3개 이상 솟아 있으며 돌부(95)의 중심에는 분사공(92)이 뚫려 있다.
상기 분사캡(8)의 요입부(83)상에 노즐(9) 뒤편의 돌출테(91)를 끼워 붙이면 요입공(93)내로 돌봉(82)이 숨어들게 되고, 요입공(93) 내벽의 돌부(95)는 돌봉(82)의 선단에 닿게 되며 돌출테(91)의 선단 경사면(9a)의 끝부분은 횡공(84)과 연통상태가 된다.
이렇게 조립한 모습은 도 4의 윗부분에서 잘 나타내고 있으며, 이 그림에서 보면 요입공(93) 내벽의 돌부(95)와 돌봉(82)의 선단이 서로 닿는 접면선상에 공간이 생겨나 있다.
이 공간이 바로 분사력을 약화시키는 오목부(85)로서 분사캡(8)의 사출성형 과정에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수축현상에 의한 싱크 마아크이다.
상기한 설명은 통상적인 액체 분사장치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같은 구성을 전제로 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특징적인 구성은 분사캡(8)의 돌봉(82) 선단 표면의 오목부(85)는 그대로 두고 그 오목부(85)의 위에 동일 면적의 박판(80)을 덮어서 편편한 면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박판(80)은 두께가 0.1∼0.2㎜의 금속제 또는 비금속제이며, 돌봉(82)의 선단 표면에 덮히게 한 상태에서 일단 액체가 가장자리를 스치게 되면 수막이 형성되어 틈이 없이 밀폐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0은 용기, 50은 패킹을 표시한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작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액상의 화장품, 소취제, 구강청결제, 세안제 등을 담은 용기(40)의 입구 선단에 패킹(50)을 얹힌 후 뚜껑(20)을 돌려서 밀폐시킨다.
이 상태로 보호캡(30)에 씌워진 분사캡(8)을 눌리면 흡상관(7)의 하강에 따라 플랜지(71)가 스프링(6)을 압축상태로 누르게 되고, 이때 스프링(6)에 눌려서 피스톤(5)과 같이 하강하는 피스톤링(4)은 상기 스프링(6)에 비해 탄력강도가 약한 스프링(3)을 압축시킨다.
흡상관(7)과 같이 피스톤(5)과 피스톤링(4)의 하강되다가 피스톤링(4)의 하단은 턱(13)에 걸려서 피스톤(5)과 피스톤링(4)은 정지되고, 흡상관(7)은 계속 하강하여 하단 일측의 구멍(73)이 흡입실(12)내로 노출된다.
이때, 흡입실(12)내에 액체가 흡입되어 있을 경우에는 피스톤(5)에 의해 압축되는 액체는 구멍(73)을 통하여 흡상관(7)의 통로(72)로 유입된 후 상방으로 치솟아 분사캡(8)의 횡공(84) 및 돌봉(82)과 노즐(9)의 경사면(9a)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거쳐 돌봉(82) 선단의 박판(80) 쪽으로 공급된다.
박판(80) 쪽으로 공급되는 액체는 편편한 면을 갖는 박판(80)과 밀착상태인 팔랑개비형 돌부(95) 사이의 입구(94)로 투입과 동시에 팔랑개비형 돌부(95)에 유도되어 회전하면서 분사공(92)을 통해 일정한 분사각도를 유지하면서 균일한 입자로 분사된다.
이와는 반대로 분사캡(8)을 누르고 있던 압력을 해제시키면 스프링(6)(3)의 탄발력에 의해 흡상관(7), 피스톤(5), 피스톤링(4)은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흡입실(12)내에는 진공이 걸리면서 볼(2)이 들려 입구가 열림과 동시에 용기(40)내의 액체가 흡입호오스(1a)를 통하여 흡입실(12)내로 흡입되고, 분사캡(8)을 다시 누르면 상기와 같은 분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분사장치는 분사캡의 돌봉의 선단 표면에 동일 면적의 박판을 덮어서 가장자리를 수막에 의해 밀폐시킴으로써 종래 오목부로 인해 발생하던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현상을 제거하여 분사력이 향상되고 분사입자가 균일하며 분사각도가 정확하게 유지되는 등의 효과를 가지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보호캡(30)을 씌운 분사캡(8)을 눌렀다 뗐다하는 펌핑(pumping)에 의해 용기내의 액체가 흡입호오스(1a), 실린더(1), 피스톤링(4), 피스톤(5) 및 흡상관(7)을 차례로 거쳐서 분사캡(8)의 돌봉(82) 선단에 형성된 오목부(85) 앞쪽에 끼운 노즐(9)의 분사공(92)으로 분사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분사캡(8)의 돌봉(82) 선단 표면의 오목부(85)는 그대로 두고 오목부(85)의 위에 동일 면적의 두께가 0.1∼0.2㎜의 금속제 또는 비금속제로 된 편편한 박판(80)을 덮어 표면장력에 의한 응집력을 제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장치.
KR2019990014726U 1999-07-23 1999-07-23 액체분사장치 KR2001678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726U KR200167881Y1 (ko) 1999-07-23 1999-07-23 액체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4726U KR200167881Y1 (ko) 1999-07-23 1999-07-23 액체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881Y1 true KR200167881Y1 (ko) 2000-02-15

Family

ID=1958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4726U KR200167881Y1 (ko) 1999-07-23 1999-07-23 액체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8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616A (ko) * 2010-12-02 2012-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인젝터
KR101280865B1 (ko) * 2011-03-17 2013-07-03 주식회사 승일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KR101307320B1 (ko) * 2013-01-10 2013-09-10 주식회사 승일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616A (ko) * 2010-12-02 2012-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피아이 인젝터
KR101280865B1 (ko) * 2011-03-17 2013-07-03 주식회사 승일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KR101307320B1 (ko) * 2013-01-10 2013-09-10 주식회사 승일 분사노즐 및 이를 이용한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8414A1 (en) Spray pump
CA2180490C (en) Miniature pump sprayer
US20210178413A1 (en) Spray pump
KR200467636Y1 (ko) 점성 유체 배출 펌프 구조체
US6318595B1 (en) Finger-actuatable spray pump package with user-ready two-piece spray-through cap, pre-assembly cap, and method for making said package
KR200167881Y1 (ko) 액체분사장치
JP2011072943A (ja) 押下ヘッド及び押下ヘッド付き吐出器
US5261573A (en) Manual precompression pump
KR100840590B1 (ko) 화장도구용 노즐 및 이를 구비한 화장도구
EP3476245A1 (en) Compact container having ring button member provided thereon and having discharge plate formed through insert injection molding
CN111819006B (zh) 孔口及包括其的喷雾容器
CN213855207U (zh) 一种喷雾瓶abs材质自动喷头
KR20200086124A (ko) 도포부가 구비되어 있는 노즐을 포함하고 있는 디스펜서
CN219278331U (zh) 一种自封口抑菌的化妆品容器喷头
CN216568825U (zh) 一种按压式双剂包装
KR100500017B1 (ko) 수동식 분사펌프
JP3751450B2 (ja) 液体噴出容器
CN217533848U (zh) 自密封按压式内容物瓶
JP4236748B2 (ja) 液体射出器
KR890007690Y1 (ko) 휴대용 향수분무기
KR102419788B1 (ko) 내용물 정량토출, 누출방지 및 잔량압출이 가능한 자바라식 에어펌프 디스펜서
KR102370545B1 (ko) 에어졸 스프레이용 펌핑밸브 조립체
KR200218004Y1 (ko) 수동식 스프레이 펌프의 리필용 엑츄에이터
KR102111273B1 (ko) 화장품 용기용 디스펜서
KR200302322Y1 (ko) 밀폐성을 높인 펌프형 액체 분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