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677Y1 - 동파방지용 공기밸브 - Google Patents

동파방지용 공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677Y1
KR200167677Y1 KR2019990017065U KR19990017065U KR200167677Y1 KR 200167677 Y1 KR200167677 Y1 KR 200167677Y1 KR 2019990017065 U KR2019990017065 U KR 2019990017065U KR 19990017065 U KR19990017065 U KR 19990017065U KR 200167677 Y1 KR200167677 Y1 KR 200167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air
water
volume increase
ai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신진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진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7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6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8Details
    • F16K5/14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 F16K5/20Special arrangements for separating the sealing faces or for pressing them together for plugs with spherical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유, 수관의 공기를 입, 출시키는 공기밸브가 동절기에 동결에 의한 체적증가로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파방지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각종 관로에 물 공급 및 빼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관로에 만수상태에서 물이 동결을 하게 되면 밸브내의 물이 동결에 따른 체적 증가를 하게 되고 이때 체적증가분을 소화하지 못하는 밸브몸체는 파열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밸브내에 탄성부재를 구성시켜 동결에 의한 체적증가로 발생되는 체적증가분을 흡수시켜 밸브몸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동파방지용 공기밸브{An air valve for protecting from frozen breaking}
본 고안은 지하에 매설되는 각종 유, 수관의 공기를 입, 출시키는 공기밸브가 동절기에 동결에 의한 체적증가로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파방지용 공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된 각종 관로에서 물을 충수할 때에 관로내의 공기를 대공기구멍에 의한 배출로 공기층으로 인한 압을 제거시켜 충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함과, 관로내에서 물을 뺄때에 다량의 공기를 흡입시켜 관로상에 진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관로내에서의 물 공급 및 빼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로에는 공기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밸브는 유동밸브와 플로우트밸브가 구성되어 공기구멍을 개폐하여 공기의 입출이 이루어지도록 되었다.
상기 공기밸브는 상기한 작용효과와 목적에 따라 관로에 구성되고 있으나 관로는 지하 또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기온차에 따른 동결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즉, 동절기 특히 관로에 만수상태에서 물이 동결을 하게 되면 밸브내의 물이 동결에 따른 체적 증가를 하게 되고 이때 체적증가분을 소화하지 못하는 밸브몸체는 파열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동분야에서는 많은 연구와 기술의 진보를 이루어왔으나 기술의 어려움과 함께 보다 명확한 효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공기밸브내에 탄성부재를 구성시켜 동결에 의한 체적증가로 발생되는 체적증가분을 흡수시켜 밸브몸체의 파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3의 (a)는 본고안의 만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b)는 소량 흡배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 동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볼 밸브 20 : 밸브몸체 21 : 덮개부
22 : 여과망 23 : 유동밸브 24 : 플로우트 밸브
30 : 커버 40 : 밸브시트 41 : 스프링
42 : 입, 출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도 3의 (a)는 본고안의 만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b)는 소 흡배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요부 동결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10)와 밸브몸체(20), 덮개부(21) 및 커버(30)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몸체(20)에는 여과망(22)과 유동밸브(23)를 유착한 플로우트밸브(24)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공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동밸브(23)와 밀착되어 개폐을 이루고 덮개부(21)내에 유착되는 입출공(42)을 구성한 밸브시트(40)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밸브시트(40)에는 탄성부재인 2이상의 접시스프링(41)을 교차되게 적층 구성한 것이며 상기 밸브시트(40)에는 밀착면에 '0'링(43)을 다수 구성되어 밀폐작용을 하도록 한다.
미설명부호 9는 소공기밸브이고 8은 체결나사, 7은 스냅링, 6은 안내가이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로서 특히 관로에 물을 충수할 때에 또는 관로에서 물을 뺄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에 물을 충수할 때에는 미도시된 관로에 물을 공급됨으로 관로상에 있는 공기가 공기밸브의 개방된 볼밸브(10)를 거처 밸브몸체(20)내의 플로우트밸브(24)외측을 통해 밸브시트(40) 입출공(42)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관로내의 공기가 배출되어 물공급으로 인한 압을 제거함으로 물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수 있으며 또한 관로내에서 물을 뺄때에는 관로내의 물이 배출되면서 진공상태로 이루어져 물공급을 어렵게 하게 되나 이때에 본 고안에서는 공기밸브를 통해 관로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에도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는 밸브시트(40)의 입출공(42)을 거처 유동밸브(23)와 플로우트밸브(24)외측, 볼밸브(10)를 거처 관로내로 공기가 유입됨으로 관로에서 진공이 발생되지 않아 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관로의 만수상태에서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플로우트밸브(24)가 부상되어 상부의 유동밸브(23)가 밸브시트(40)의 입출공(42)을 차단함으로 관로내의 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b)에서는 관로내의 공기가 공기밸브내에 모이고 수위 저하를 가져오게 되면 플로우트밸브(24)가 기울어져 소공기밸브(9)를 열어 소량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이에 의한 배기로 다시 플로우트밸브(24)가 복귀되고 소공기밸브(9)를 닫으며 또는 이러한 작동을 반복함으로 밸브내의 공기를 연속하여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기밸브로서 작용효과를 가지고 있는 한편, 동절기에 공기밸브내의 물이 기온 저하로 인하여 동결하게 된다,
즉, 공기밸브내의 일정한 면적내에서 물이 동결하게 되면 동결에 따른 체적증가로 인하여 공기밸브의 밸브몸체(20)가 파열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본 고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20)내의 물이 동결됨으로 인한 체적증가로 플로우트밸브(24)와 유동밸브(23)가 압력을 받게 되고 이 압력으로 상기 플로우트밸브(24)와 유동밸브(23)가 상승되면서 상부의 밸브시크(40)를 가압하게 됨으로서 상기 밸브시트(40)에 체결된 2이상의 접시 스프링(41)은 가압되는 압력에 따라 탄축되어 공간을 줄이고 상기 면적으로 밸브시트(40)와 플로우트밸브(24)및 유동밸브(23)가 이동되면서 밸브몸체(20)내의 면적을 증가시켜 동결에 따른 체적 증가분을 흡수함으로 동결에 의한 체적 증가분을 해소하게 되어 체적증가에 의한 밸브몸체(20)의 파열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면과 설명에서는 접시스프링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코일스프링등의 기타의 탄성부재를 이용할수 있슴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공기밸브가 동결에 의해 파열되는 폐단을 간단히 개선하여 수돗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과 함께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생산가로 제작이 용이한 특징을 가진 고안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스테인레스 ssc 13을 사용함에 따른 녹방지와 견고성을 높이는 한편 내식성, 내구성이 향상되고 콤팩트한 디자인 및 관리유지가 용이한 특징과 함께 밸브시트에 스프링을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작동이 정밀하여 안전한 공기밸브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과 제조가 간편하여 코스트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고안이다.

Claims (1)

  1. 볼밸브(10)와 밸브몸체(20), 덮개부(21) 및 커버(30)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몸체(20)에는 여과망(22)과 유동밸브(23)를 유착한 플로우트밸브(24)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공기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동밸브(23)와 밀착되어 개폐을 이루고 덮개부(21)내에 유착되는 입출공(42)을 구성한 밸브시트(40)를 구성함과 함께 상기 밸브시트(40)에는 탄성부재인 스프링(41)을 구성시켜 신축에 의한 체적 증가분을 흡수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동파 방지용 공기밸브
KR2019990017065U 1999-08-18 1999-08-18 동파방지용 공기밸브 KR200167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065U KR200167677Y1 (ko) 1999-08-18 1999-08-18 동파방지용 공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065U KR200167677Y1 (ko) 1999-08-18 1999-08-18 동파방지용 공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677Y1 true KR200167677Y1 (ko) 2000-02-15

Family

ID=19585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065U KR200167677Y1 (ko) 1999-08-18 1999-08-18 동파방지용 공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6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21B1 (ko) * 2008-04-04 2008-12-08 주식회사 삼진정밀 동파 방지용 급속 공기 밸브
KR100872520B1 (ko) * 2008-04-04 2008-12-08 주식회사 삼진정밀 급속 공기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521B1 (ko) * 2008-04-04 2008-12-08 주식회사 삼진정밀 동파 방지용 급속 공기 밸브
KR100872520B1 (ko) * 2008-04-04 2008-12-08 주식회사 삼진정밀 급속 공기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8397B1 (en) Side port floor drain
US4700732A (en) Faucet drain apparatus
KR200167677Y1 (ko) 동파방지용 공기밸브
US6318403B1 (en) Combination manifold and check valve for a water heater
CN112854373B (zh) 一种室外消火栓自动排余水机构
JP2000170939A (ja) 空気抜き弁 および 空気抜き弁を設けた配管構造
KR200462905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CN219345593U (zh) 一种浮力驱动的低压燃气防水逆止阀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KR200220225Y1 (ko) 유체관용 일체형 급속 공기밸브
KR200335081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00020351U (ko) 스팀트랩내의 응축수 배출이 용이한 드레인 트랩
KR20050004314A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JPH027984Y2 (ko)
KR200327072Y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DK202200052Y3 (da) Drænsystem til udendørs vandanlæg
KR20090002829U (ko) 역류방지 밸브를 갖는 수도계량기
JP2021067318A (ja) 継手部材
KR200339326Y1 (ko) 부동 급수주의 흡기구조
RU232455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поверхн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200318451Y1 (ko) 내부수압과 중력 및 부력을 이용한 플로트 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RU2194845C2 (ru) Клапан - отсекатель газовый
RU2022099C1 (ru) Осуш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