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7303Y1 - 신발용 미드솔 - Google Patents

신발용 미드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7303Y1
KR200167303Y1 KR2019990016988U KR19990016988U KR200167303Y1 KR 200167303 Y1 KR200167303 Y1 KR 200167303Y1 KR 2019990016988 U KR2019990016988 U KR 2019990016988U KR 19990016988 U KR19990016988 U KR 19990016988U KR 200167303 Y1 KR200167303 Y1 KR 2001673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air
air chamber
independ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우
Original Assignee
김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우 filed Critical 김진우
Priority to KR2019990016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73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7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73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용 미드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 효과를 득하면서 동시에 완충효과 증대, 보다 경량화된 미드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각종의 재질(발포수지, PU, E.V.A, 파이론 등)로 구성되는 신발용 미드솔(1)에 있어서, 미드솔(1) 내부에 소정 규격으로 독립된 에어챔버(2,3)를 다수개 분할 구성하거나, 상기 미드솔(1) 내부의 독립된 에어챔버(2,3) 중 필요부분에 위치하는 에어챔버를 에어통로(4)로 연결하되, 상기 에어통로(4)에 의해 연결되는 에어챔버(2,3)의 전,후단에 일방향 공기밸브(7)를 가설하고 후측에 압축부(5)를 형성하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미드솔(1)은 내부에 독립된 다수개의 에어챔버(2,3)를 구성하여 에어챔버(2,3) 각각이 독립된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보행시 완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에어챔버(2,3)의 형성으로 제품의 경량화에도 일조할 수 있고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 등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도 동시에 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미드솔{A midsole for shoes}
본 고안은 신발용 미드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원가절감 및 생산성향상 효과를 득하면서 동시에 완충성 증대, 보다 경량화된 미드솔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드솔은 주지된 바와 같이 발포수지등의 재질을 사용하여 재질자체가 갖는 완충효과만을 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미드솔의 경우 완충효과등을 위하여 재질을 변경하거나 하나의 에어챔버등을 형성하여 완충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서 제품의 경량화 및 원가절감, 완충효과 증대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존의 미드솔보다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면서도 제품은 경량화되고 완충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는 미드솔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절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절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 : 미드솔 2,3 : 에어챔버
4 : 에어통로 5 : 압축부
6 : 구멍 7 : 공기밸브
10 : 몰드 11 : 돌부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미드솔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내부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등으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미드솔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에어챔버는 상기 미드솔1 내부에서 소정 규격으로 독립된 에어챔버2,3를 다수개 형성한 구성이다.
즉, 본 고안은 각종의 재질(예를 들면 발포수지, PU, E.V.A, 파이론 등)로 구성되며 미드솔1은 서로 대칭 구조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몰드10에 의해서 성형된다. 상기 미드솔1을 구성하는 몰드10는 대략 미드솔1의 외형과 동일한 함몰부11로 형성되며 이에는 다수개의 돌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같은 상기 몰드10 사이에 미드솔로 구성될 수 있는 각종의 재질을 위치시키고 양측 몰드10를 가압하게 되면 돌부12가 위치하는 부위가 서로 압착되면서 접착되어 벽체로 형성되고 함몰부11에는 에어챔버2,3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미드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은 미드솔1을 구성함에 있어서, 필요한 부분(주로 발 뒷부분에서 발바닥 전방)만을 선택하여 에어챔버2,3가 연결되도록 에어통로4를 구성하고 상기 연속되는 에어챔버2,3의 전,후단에 일정크기의 구멍6을 형성하고 이에 일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밸브7를 장치한 구성이다. 이때 에어챔버2,3의 후단에는 압축부5를 형성하여 상기 공기밸브7의 작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 제2실시예의 연속되는 에어챔버2,3의 에어통로4 구성은 미드솔을 형성하는 몰드10의 돌부12 중 선택된 일렬을 타측보다 조금 짧게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함으로써 쉽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미드솔1은 미드솔1의 내부에 다수개의 독립형 에어챔버2,3가 형성되어 있어 에어챔버2,3 각각이 보행시마다 완충작용을 하게 되어 단일의 에어챔버로 이루어진 여타 미드솔에 비하여 월등한 완충작용을 행할 수 있으며, 미드솔1 내부가 다수개의 에어챔버2,3로 구성되어 있어서 제품의 경량화에도 상당한 일조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과 같은 미드솔1을 형성함으로써 독립된 에어챔버2,3 중 필요부분만을 선택하여 에어챔버2,3가 연속 구성될 수 있도록 에어통로4를 형성하고 이의 양측에 구멍6을 형성하여 공기밸브7를 장치함으로써 미드솔1의 쿠션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기밸브7를 통하여 내부공기를 신발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통풍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서의 에어챔버2,3는 일 실시예로 나타낸 것이며 에어챔버2,3의 형상은 몰드에 형성되는 돌부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서 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미드솔1 내부에 독립된 다수개의 에어챔버2,3를 구성하여 에어챔버2,3 각각이 독립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득할 수 있다.
1. 보행시 완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2. 에어챔버2,3의 형성으로 제품이 경량화되어 원가절감을 할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에어챔버2,3 중 필요부분을 연속되게 에어통로4를 형성하여 내부로부터의 공기배출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통풍성을 가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여러 면에서 효과를 득할 수 있게 되는 본 고안은 상기한 바 이외에도 여러 부수적인 효과도 동시에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통상의 신발용 미드솔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 내부에는 소정 규격으로 독립된 에어챔버2,3를 다수개 분할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드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 내부의 독립된 에어챔버2,3 중 필요부분에 위치하는 에어챔버를 에어통로4로 연결하되,
    상기 에어통로4에 의해 연결되는 에어챔버2,3의 전,후단에 일방향 공기밸브7를 가설하고 후측에 압축부5를 형성하여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미드솔.
KR2019990016988U 1999-08-17 1999-08-17 신발용 미드솔 KR200167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88U KR200167303Y1 (ko) 1999-08-17 1999-08-17 신발용 미드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988U KR200167303Y1 (ko) 1999-08-17 1999-08-17 신발용 미드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7303Y1 true KR200167303Y1 (ko) 2000-02-15

Family

ID=1958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988U KR200167303Y1 (ko) 1999-08-17 1999-08-17 신발용 미드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73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838A1 (ko) * 2013-02-21 2014-08-28 Ju Young-Dae 의류 신발용 충격 흡수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9838A1 (ko) * 2013-02-21 2014-08-28 Ju Young-Dae 의류 신발용 충격 흡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198B2 (en) Footwear with an air cushion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456658B2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JP4353959B2 (ja) 履き物の靴底
US7401418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midsole with support pilla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856612B2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10849387B2 (en)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having plate moderated fluid-filled bladders and/or foam type impact force attenuation members
USD498041S1 (en) Outsole for a shoe
JP2024054281A (ja) リブ付きアウトソールおよびノッチ入りミッドソールを有する履物物品
US8468720B2 (en) Midsole elem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070051013A1 (en) Shoe ventilation system
USD487838S1 (en) Outsole
US5933982A (en) Midsole construction with a resilient shock-absorbing block
KR200167303Y1 (ko) 신발용 미드솔
KR100530705B1 (ko) 지압부 형성을 위한 신발 제조 방법, 이를 위한 신골, 및이에 의한 신발
USD498040S1 (en) Outsole for a shoe
KR101743857B1 (ko) 2개의 사전형성물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 그리고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몰드
EP1882422A1 (en) Insole for footwear
KR20000033536A (ko) 신발밑창 사출성형방법 및 금형
KR100560371B1 (ko) 다양한 칼라, 비중 및 기능성 첨부가 가능한 신발 솔의제조방법 및 금형
JP3910061B2 (ja) 射出成形靴
KR19990062037A (ko) 운동화 밑창
KR200168171Y1 (ko) 에어쿠션 기능을 가지는 미드솔
JP3118958U (ja) ヒール部品及びそのヒール部品を用いた靴
KR200146192Y1 (ko)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KR100428868B1 (ko) 구두 밑창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