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771Y1 - 착유기의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착유기의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771Y1
KR200166771Y1 KR2019990013745U KR19990013745U KR200166771Y1 KR 200166771 Y1 KR200166771 Y1 KR 200166771Y1 KR 2019990013745 U KR2019990013745 U KR 2019990013745U KR 19990013745 U KR19990013745 U KR 19990013745U KR 200166771 Y1 KR200166771 Y1 KR 200166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ort member
cylinder
upper por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몽필
Original Assignee
김몽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9990005618U external-priority patent/KR19990022691U/ko
Application filed by 김몽필 filed Critical 김몽필
Priority to KR2019990013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7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7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에 유입구(111)가 구비된 작은 원통(112)의 바닥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제1배출공(113)이 통공되고, 외주면 둘레에 오링(115)을 끼운 고정블록(116)이 상부에 구비된 공급부재(11)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록(116)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회전원통(121)의 바닥면 중앙에 제2배출공(122)이 다수 통공되고, 그 외곽의 원주상에 차단돌기(123)를 구비한 여과부재(12)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원통(12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얇은 철판을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선택적으로 삽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손잡이(131)를 형성한 여과통(13)이 구비된 정제부(10)와; 상기 회전원통(121)보다 큰 직경의 원판 일측에 제3배출공(212)이 통공된 지지부재(21)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1)의 외주연에 원통형 케이스(22)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부(20)와; 상기 지지부재(21)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정제부(10)의 원통(112)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재(21)에 안착된 원통형 케이스(22)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를 구성하여 착유기에서 추출된 기름을 원심력에 의해 외향으로 비산시켜 비중이 큰 이물질을 여과통의 내벽에 유착시켜 정제된 기름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름 고유 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의 정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기기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정제 작업이 완료된 후 각 부품에 유착된 이물질을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착유기의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유기의 정제장치{apparatus of purification in an oilpress}
본 고안은 착유된 기름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착유기의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유기는 참깨를 비롯한 각종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기름을 식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추출하는 기기인 것으로, 이러한 착유기에서 착유된 기름은 배출경로에 구비된 정제장치를 통해 기름에 포함된 찌꺼기를 제거하여 깨끗한 기름을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정제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된 기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1a)와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함체형상의 몸체(1)가 구성되고, 상기 몸체(1)의 커버(1a) 상부 소정위치에 착유된 기름을 몸체(1)내로 안내하는 유입구(2)가 구성되며, 상기 유입구(2) 하부에 설치되어 유입된 기름에서 각종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미세공이 통공된 여과망(3)이 구성되고, 상기 여과망(3) 하부 몸체(1)에 구비되어 대기압 이하로 흡입하는 진공펌프(4)가 구성되며, 상기 진공펌프(4)에 의해 유입되어 여과망(3)에서 정제된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착유기의 정제장치는 몸체(1)의 하부에 구비된 진공펌프(4)가 구동되면 착유기를 통해 추출된 기름은 몸체(1)와 연통되는 유입구(2)를 통해 몸체(1) 내로 공급된다. 이렇게 유입구(2)를 통해 공급된 기름은 몸체(1)의 내부공간에 수평으로 넓게 설치된 여과망(3)을 통과하여 몸체(1)에 연통된 배출구(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기름에 포함된 기름은 상기 여과망(3)에 걸려 여과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착유기의 정제장치는 착유된 기름이 여과망 전체에 균형있게 분포될 경우에만 진공흡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유입되는 기름이 여과망에 부분적으로 분포될 경우에는 진공펌프로부터 작용하는 흡인력은 기름이 없는 곳으로 소진된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기름은 상대적으로 진공흡인력을 적게 받게 됨으로서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름을 수용하는 외체의 내부에 진공 압력을 직접 작용시켜 진공흡인력으로 착유된 기름을 강제로 흡입할 때 외체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강제 배출됨으로서, 기름 고유의 향이 손실되고, 이에 따라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과망 전체에 걸쳐 진공펌프의 진공흡인력이 작용함으로서 기름의 여과속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여과망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여과망을 자주 청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러한 여과망의 청소시 이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기름이 손실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및 조립공정이 난이할 뿐만 아니라 각 부품의 분해가 용이하지 못하여 기름을 정제한 후 기기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름 고유 향의 손실없이 기름의 정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착유기의 정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착유기의 정제장치는 하향으로 장착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착유기에서 공급된 기름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히한 후 기름만 배출시키도록 정제부가 구성되고, 상기 정제부로부터 이물질이 여과된 기름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수용부가 구성되며, 상기 정제부가 원할하게 고속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수용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제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정제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제부 11: 공급부재
12: 여과부재 13: 여과통
20: 수용부 21: 지지부재
22: 케이스 30: 고정부
36: 커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착유기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정제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착유기의 정제장치는, 하향으로 장착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착유기에서 공급된 기름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한 후 기름만 배출시키도록 정제부(10)가 구성되고, 상기 정제부(10)로부터 이물질이 여과된 기름을 수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수용부(20)가 구성되며, 상기 정제부(10)가 원할하게 고속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수용부(2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3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제부(10)는, 상부에 유입구(111)가 개방된 작은 원통(112)의 바닥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제1배출공(113)이 통공되고, 원통(112)의 상부로부터 소정 길이 아래로 이격된 위치에 외향으로 연장하여 그 상면에 단턱(114)을 형성하고, 단턱(114)의 하부 외주면 둘레에 오링(115)을 끼운 고정블록(116)이 구비된 공급부재(1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재(11)의 고정블록(116)과 결합될 수 있는 직경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121)의 바닥면 중앙에 하나 이상의 제2배출공(122)이 하향으로 통공되고, 그 외곽의 원주상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그 외주면이 경사를 이룬 차단돌기(123)가 구비된 여과부재(12)가 구성된다. 이 여과부재(12)는 그 저면의 중심이 모터(M)의 회전축(M-1) 단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원통(121)의 개방된 입구는 공급부재(11)의 고정블록(116)에 삽입된다. 이때 회전원통(121)은 오링(115)에 의해 실링 상태를 유지하고, 단턱(114)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원통(12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얇은 철판을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선택적으로 삽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손잡이(131)를 형성한 여과통(13)이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20)는, 회전원통(121)보다 큰 직경의 원판 외주연에 하향으로 돌출된 걸림턱(211)을 구비하고 그 일측에 제3배출공(212)을 구비한 지지부재(21)가 구비되어 회전원통(121)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 하부로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며, 이 지지부재(21)의 중앙 하부에 모터(M)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1) 상면의 걸림턱(211) 내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통형 케이스(22)가 구비되어 지지부재(21)에 안착되어 여과부재(12)의 외곽 하부에 정제된 기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221)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부(30)는, 지지부재(21)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시켜 저면에 모터(M)를 장착할 수 있도록 받침판(32)의 상부에 양측이 대칭을 이루는 받침대(33)가 구성되고, 상기 정제부(10)의 원통(112) 상부에 베어링(34)을 축설하도록 중앙에 베어링 설치홀(361)을 형성하고 저면에 수용부(20)의 원통형 케이스(22) 상단을 걸어 고정시키도록 고정턱(362)을 구비하며 외곽에 받침판(32)과 볼트(35)로 체결하도록 체결편(363)이 구비된 커버(36)가 구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제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지부재(21)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M)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회전력이 모터 회전축(M-1)에 연결된 여과부재(12)의 회전원통(121)과, 이 회전원통(121)의 상부에 결합된 공급부재(11)로 동시에 전달된다. 이렇게 모터(M)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여과부재(12)와 공급부재(11)는 공급부재(11)의 상부에 축설된 베어링(34)에 지지되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고속회전 상태에서 착유기에서 추출된 기름이 정제부(10)의 상부에 구비된 유입구(111)로 유입되면, 이 기름은 공급부재(11)의 원통(112) 내벽을 따라 하부로 이동한 후 고속회전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제1배출공(113)을 통해 외향으로 비산되고, 비산된 기름은 공급부재(11)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원통(121)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회전원통(121)과 동시에 회전하는 여과통(13)의 내벽에 부딪힘과 동시에 기름에 함유된 이물질은 여과통(13)의 내벽과 회전원통(121) 바닥의 모서리에 유착되고 순수한 기름만 회전원통(121)의 바닥 중심으로 모여 제2배출공(122)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기름의 유입이 차단되어 기기를 정지시키기 위해 모터(M)가 정지하면, 바닥에 고여있던 이물질은 차단돌기(123)의 경사진 외벽에 걸려 제2배출공(122)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차단돌기(123)의 외곽에 유착된다.
이와 같이 정제부(10)의 여과통(13) 내벽과 회전원통(121) 바닥의 모서리에 이물질이 유착되어 여과된 후 제2배출공(122)으로 배출되어 원통형 케이스(22)에 의해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된 기름은 제3배출공(212)을 통하여 별도의 수거용기(미도시)로 수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착유기에서 추출된 기름을 원심력에 의해 비산시켜 비중이 큰 이물질을 여과하여 정제된 기름만을 제공받은 후 기기에 유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커버(36)와 케이스(22)를 순차적으로 해체한 후 상호 결합된 공급부재(11)와 여과부재(12)를 분리하고 여과통(13)을 회전원통(121)과 분리하여 세제 등을 이용하여 기름 찌꺼기를 깨끗이 세척한 후 상기와 역순으로 부품을 조립하여 다음 정제 작업에 대비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착유기의 정제장치는 착유기에서 추출된 기름을 원심력에 의해 외향으로 비산시켜 비중이 큰 이물질을 여과통의 내벽에 유착시켜 정제된 기름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름 고유 향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의 정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기기의 조립 및 분해 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정제 작업이 완료된 후 각 부품에 유착된 이물질을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착유기의 정제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유입구(111)가 구비된 작은 원통(112)의 바닥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제1배출공(113)이 통공되고, 외주면 둘레에 오링(115)을 끼운 고정블록(116)이 상부에 구비된 공급부재(11)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블록(116)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회전원통(121)의 바닥면 중앙에 제2배출공(122)이 다수 통공되고, 그 외곽의 원주상에 차단돌기(123)를 구비한 여과부재(12)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원통(121)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얇은 철판을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선택적으로 삽탈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손잡이(131)를 형성한 여과통(13)이 구비된 정제부(10)와;
    상기 회전원통(121)보다 큰 직경의 원판 일측에 제3배출공(212)이 통공된 지지부재(21)가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21)의 외주연에 원통형 케이스(22)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수용부(20)와;
    상기 지지부재(21)를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정제부(10)의 원통(112)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지지부재(21)에 안착된 원통형 케이스(22)의 상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기의 정제장치.
KR2019990013745U 1999-04-07 1999-07-13 착유기의정제장치 KR200166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745U KR200166771Y1 (ko) 1999-04-07 1999-07-13 착유기의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618U KR19990022691U (ko) 1999-04-07 1999-04-07 착유기의정제장치
KR2019990005618 1999-04-07
KR2019990013745U KR200166771Y1 (ko) 1999-04-07 1999-07-13 착유기의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771Y1 true KR200166771Y1 (ko) 2000-02-15

Family

ID=2663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745U KR200166771Y1 (ko) 1999-04-07 1999-07-13 착유기의정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7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2B1 (ko) 2005-11-02 2006-12-21 몽 필 김 곡물 분쇄기의 분쇄물 포집장치
CN114905789A (zh) * 2022-04-01 2022-08-16 伊犁雅其娜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食用油生产用压榨设备及其生产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22B1 (ko) 2005-11-02 2006-12-21 몽 필 김 곡물 분쇄기의 분쇄물 포집장치
CN114905789A (zh) * 2022-04-01 2022-08-16 伊犁雅其娜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食用油生产用压榨设备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708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433414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8569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20020012383A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US5770058A (en) Centrifugal separator
US5534162A (en) Method for disposal of biological waste
JPH081043A (ja) 箇水分離装置及び箇水分離方法
KR200166771Y1 (ko) 착유기의정제장치
KR19990022691U (ko) 착유기의정제장치
JP2001062347A (ja) 排水処理装置
JP2004148213A (ja) 塗料スラッジの遠心分離方法及び装置
JP3418785B2 (ja) 生海苔洗浄機及び生海苔洗浄方法
CN113692977A (zh) 猫砂盆及猫砂盆的净味控制方法
KR101918729B1 (ko) 습식 진공청소기
EP1520610B1 (en) An improved foam removal device
KR20030094874A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KR100420169B1 (ko) 진공청소기의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585690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KR100459131B1 (ko) 싸이클론 집진 장치
NL1017743C2 (nl) Stofzuiger van het waterfiltertype.
JPH09267014A (ja) 空気清浄装置
JPH09225215A (ja) 汚物清掃機
JP2534445Y2 (ja) 遠心分離機
JP3391702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40005486A (ko) 슬러지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