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001Y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001Y1
KR200166001Y1 KR2019970007923U KR19970007923U KR200166001Y1 KR 200166001 Y1 KR200166001 Y1 KR 200166001Y1 KR 2019970007923 U KR2019970007923 U KR 2019970007923U KR 19970007923 U KR19970007923 U KR 19970007923U KR 200166001 Y1 KR200166001 Y1 KR 200166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le
water purification
uni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3419U (ko
Inventor
김기덕
Original Assignee
김기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덕 filed Critical 김기덕
Priority to KR2019970007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001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수로 음용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여과부(200)와 정수부(100)를 구비하며 상기한 정수부(100)는 상기한 여과부(200)에서 입수되는 물을 받아들이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한 베이스부재(110)에서 정수조(130)로 물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외통(120)과, 상기한 정수부(100)의 중심에는 통공(141a)을 구비한 중심관(141)과, 상기한 중심관(141)과 연통되어 출수되는 출수부(160)와, 상기한 중심관(141)의 외주부에 다수층의 정수재(132)를 통공(133a)을 구비한 격층부재(133)와 여과지(134)를 사이에 두고 적층하고, 상판(131)에 통공(131a)을 구비하여 된 정수조(130)와, 상기한 정수부(100) 중심관(141)의 통공(141a)에 코팅 처리된 영구자석(143)과 세라믹볼(145)층을 교호로 다수회 재치하여 형성되는 활성자화부(140)를 부여하며, 상기한 중심관(141)의 양단에는 통공(141a)의 내경보다 훨씬 작은 외경을 구비한 단턱(147a)을 가지며 중심과 상기한 작은 외경 주면에 통공(147b)을 구비하여 서로 통하도록 하고 상기한 작은 외경(147a)측이 영구자석(143)을 받혀 주어 영구자석(143)이 중심관의 통공(141a)을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 받침부재(147)가 삽치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
본 고안은 식수로 음용하는 물을 정화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팅처리된 영구자석과 세라믹소재를 정수기의 중심통공에 재치시켜 인체에 유익한 음용수를 얻도록 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수도물은 수도물중에 함유되어 있는 염소 등의 소독 냄새와 노후된 송수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부유침전물과 유해물질 등이 함유되어 식수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서 수도물을 끓여 먹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 미네랄 등이 소멸되어 생명을 잃은 죽은 물이 되어 인체에 부적합한 물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수도물을 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정수기가 보급되고 있다,
즉 역삼투방식이나 특수 여과망 등에 의해 물을 물리적으로 여과하거나 또는 약품 등에 의한 화학적 정화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으나 극단적인 여과 효율로 인하여 물 속에 존재하는 인체에 유익한 성분까지도 제거하므로 물의 성질 변화에 따라 장기간 복용시 인체에 부작용도 예상된다.
또한 정수기의 주요 부분은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므로 귀중한 외화를 낭비함은 물론이고 고가의 비용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서는 수도물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정수부를 구비하되 상기한 여과부와 정수부를 통과하는 물의 경로상에 자석과 세라믹소재로 구성된 활성자화부를 구성하여 이를 통과시키므로서 물의 성질변화를 유도하여 인체에 유익한 음용수를 얻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정수부의 일부 생략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수기 100 : 정수부
110 : 베이스부재 120 : 외통
130 : 정수조 132 : 정수재
133 : 격층부재 140 : 활성자화부
141 : 중심관 143 : 영구자석
145 : 세라믹볼 147 : 받침부재
200 : 여과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는 여과부와 정수부를 구비한 통상의 정수기에 있어서, 정수부의 중심에는 통공을 구비한 중심관과 상기한 중심관의 외주부에는 통공을 구비한 격층부재와 여과지를 사이에 다수층의 정수재를 적층하고 정수부 중심관의 통공에는 부식이 방지되도록 외면이 코팅처리된 영구자석과 세라믹볼층을 교호로 다수회 재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영구자석에 의해 중심관의 통공을 막지 않도록 상기 통공 상.하 양단에 받침부재로 받쳐져 재치되도록 하되, 상기한 받침부재는 중심관의 상 하 양단에 대칭으로 끼워 설치되며 통공의 내경보다 훨씬 작은 외경을 구비한 단턱을 갖도록하여 자석이나 세라믹볼에 의해 통로가 막히는 문제점이 없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종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1)는 물이 입수되어 여과되는 여과부(200)와 상기한 여과부(200)에서 유입된 물을 정수 및 활성자화하는 정수부(100)로 대별 구성된다.
도 3은 정수부(100)의 일부생략 확대도이다.
상기한 정수부(100)는 상기한 여과부(200)에서 입수되는 물을 받아들이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한 베이스부재(110)에서 후술하는 정수조(130)로 물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외통(120)과, 정수부(100)의 중심에는 통공(141a)을 구비한 중심(141)관과, 상기한 중심관(141)과 연통되어 출수되는 출수부(160)와, 상기한 중심관(141)의 외주부에는 정수조(130)를 구비한다.
상기한 정수조(130)는 정수조 상판(131)에 통공을 형성하며, 맥반석,이온수지 및 활성탄 등의 정수부재(132)를 통공(133a)을 구비한 격층부재(133)와 여과지(132) 사이에 다수층 적층하고, 하단부의 중앙통공과 연통되는 부분에는 여과재를 구비하여 형성한다.
상기한 정수부(100) 중심관(141)의 통공(141a)에는 코팅(143a)처리된 영구자석(143)과 세라믹볼(145)층을 교호로 다수회 재치하여 형성되는 활성자화부(140)를 이룬다.
상기한 활성자화부(140)는 중심관의 하단부 측벽에 다수의 통공(141b)을 형성하여 물이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한 중심관(141) 통공(141a)내부공간에 코팅처리된 영구자석(143)과 세라믹볼(145)을 교호로 다수층 재치하되 물이 유입되고 배출되는 상하 양단에는 상기 코팅 처리된 영구자석(143)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에 상기한 중심관(141)의 양단에는 통공(141a)의 내경보다 훨씬 작은 외경을 구비한 단턱(147a)을 가지며 중심과 상기한 작은 외경 주면에 통공(147b)을 구비하여 서로 통하도록 하고 상기한 작은 외경(147a)측이 영구자석(143)을 받혀 주어 영구자석(143)이 중심관의 통공(141a)을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 받침부재(147)가 삽치되도록 한다. 도 4는 이를 나타내 보인 중심관 통공(141a) 상단부의 확대도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상기한 격층부재(133)에 형성되는 통공(133a)대신 격층부재(133)의 외주면과 정수부(100) 외통(12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133b)을 구비한 격층부재(133B)와, 격층부재(133) 내주면과 중심관(141) 외주면 사이에 공간(133c)을 구비하여된 격층부재(133C)를 구비하되, 상기한 두종류의 격층부재(133B,133C)가 정수재(132) 사이에 교호로 다수회 배열되도록 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출수부(160)가 정수부(100)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여과부(200)에서 유입된 물이 정수조(130)를 상향으로 통과한 후 중심관의 통공(141a)을 하향으로 통과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50)은 연결관이고 (170)은 수밀 유지를 위한 팩킹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부(200)를 통하여 1차 여과된 물은 베이스부재(110)를 통과하여 정수(100)부 외통(120)의 안내를 받아 정수조(130)로 유입된다. 그리하여 정수조(130)에 적층되어 있는 맥반석, 이온수지, 활성탄 및 세라믹부재들을 통과하며 이물질이 흡착, 분해 제거되고 미생물이나 생체활동에 손상되는 유해한 요소들을 제거 개선시키며 다량의 미네랄을 자연수 이상으로 함유한 정수가 된다. 이렇게 정수된 물이 다시 중심관(141)의 활성자화부(140)에 유입되면서 영구자석(143) 및 세라믹(145)과 만나게 된다.
영구자석(143)은 물에 직접 노출되면 급격히 산화되어 녹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고 물을 산성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간접접촉을 해야하므로 코팅 처리하는 것이며 접촉 면적을 가능한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수조(130)를 통과한 물이 코팅 처리된 영구자석(143)과 접촉하면서 자성이 부가되어 물속에 용해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에 물의 경수화를 방지하고 물의 수소이온과 산소이온이 활성화 되면서 물의 특성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또한 세라믹(145)은 이온화 작용이 빠르고 왕성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촉매의 역할을 한다. 이때에 영구자석(143)이 중심관의 통공(141a)을 막지 않도록 상기한 받침부재(147)를 통공의 양단에 삽치하여 물의 흐름을 보장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격층부재(133)의 외경과 내경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교호로 배열 적층하여 물의 흐름이 지그재그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한 체적에서 물의 정수거리를 연장시켜 정수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물속에 자성을 부가되도록 하여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고 물리적,화학적 기능성에 의하여 항균작용, 선도유지, 냄새제거, 생물성장촉진작용등 이온결합에 의한 유익한 작용을 하는 활성수화한 자화생수를 얻도록하는 매우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여과부(200)와 정수부(100)를 구비한 통상의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한 정수부(100)는 상기한 여과부(200)에서 입수되는 물을 받아들이는 베이스부재(110)와,
    상기한 베이스부재(110)에서 정수조(130)로 물이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외통(120)과,
    상기한 정수부(100)의 중심에는 통공(141a)을 구비한 중심관(141)과,
    상기한 중심관(141)과 연통되어 출수되는 출수부(160)와,
    상기한 중심관(141)의 외주부에 다수층의 정수재(132)를 통공(133a)을 구비한 격층부재(133)와 여과지(134)를 사이에 적층하고, 상판(131)에 통공(131a)을 구비하여 된 정수조(130)와,
    상기한 정수부(100) 중심관(141)의 통공(141a)에 코팅 처리된 영구자석(143)과 세라믹볼(145)층을 교호로 다수회 재치하여 형성되는 활성자화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심관(141)의 양단에는 통공(141a)의 내경보다 훨씬 작은 외경을 구비한 단턱(147a)을 가지며 중심과 상기한 작은 외경 주면에 통공(147b)을 구비하여 서로 통하도록 하고 상기한 작은 외경(147a)측이 영구자석(143)을 받혀 주어 영구자석(143)이 중심관의 통공(141a)을 막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된 받침부재(147)가 삽입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격층부재(133)에 형성되는 통공(133a)대신 격층부재(133)의 외주면과 정화부 외통(120)의 내주면 사이에 공간(133b)을 구비한 격층부재(133B)와, 격층부재 내주면과 중심관(141) 외주면 사이에 공간(133c)을 구비하여된 격층부재(133C)를 구비하되, 상기한 두종류의 격층부재(133B,133C)가 정수재(132) 사이에 교호로 다수회 배열 적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정수기는 출수부(160)가 정수부(100)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2019970007923U 1997-04-16 1997-04-16 정수기 KR200166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923U KR200166001Y1 (ko) 1997-04-16 1997-04-16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923U KR200166001Y1 (ko) 1997-04-16 1997-04-16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419U KR19980063419U (ko) 1998-11-16
KR200166001Y1 true KR200166001Y1 (ko) 2000-01-15

Family

ID=19499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923U KR200166001Y1 (ko) 1997-04-16 1997-04-16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396Y1 (ko) * 2009-06-30 2010-04-07 원현준 자연여과식 정수기용 카트리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396Y1 (ko) * 2009-06-30 2010-04-07 원현준 자연여과식 정수기용 카트리지
WO2011002180A2 (ko) * 2009-06-30 2011-01-06 Won Hyun Jun 자연여과식 정수기용 카트리지
WO2011002180A3 (ko) * 2009-06-30 2011-03-31 Won Hyun Jun 자연여과식 정수기용 카트리지
RU2492908C1 (ru) * 2009-06-30 2013-09-20 Хюн Джун ВОН Картридж для водоочистителя с естественной фильтрацией вод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419U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6994B1 (en) Drinking water filter used with tap water and other water sources
US8506807B2 (en) Spiral wound type filter cartridge
KR100521628B1 (ko) 전기탈이온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JP2009515675A (ja) 磁化濾過装置
ATE268738T1 (de) Unter der theke befindliche wasserbehandlungsvorrichtung
KR101969522B1 (ko) 산업폐수의 중금속 처리 시스템
KR200166001Y1 (ko) 정수기
CN210367354U (zh) 一种水体多层级复合净化装置
KR200409944Y1 (ko) 정수시스템의 자화연수기
JP4579660B2 (ja) 水処理装置
KR20100051947A (ko) 정수용 필터 하우징
KR200205204Y1 (ko) 항균 은세라믹 필터가 장착된 다단계 필터 일체식 구조의정수기
KR19980011562U (ko) 활성자화수 필터
KR20170130703A (ko) 정수용 복합필터
KR20090089776A (ko) 양방향 유로관 및 그를 이용한 블록형 정수 장치
US20200115261A1 (en) Electrocoagulation cell design
KR20090013013U (ko) 하프 타입 정수장치의 역삼투압 필터구조
KR100596681B1 (ko) 이온수기용 필터
KR20010103252A (ko) 항균 은세라믹 필터가 장착된 다단계 필터 일체식 구조의정수기
JPH07232160A (ja) 浄水器
KR200208122Y1 (ko) 숯을 이용한 오,폐수 정화장치
KR200317263Y1 (ko)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
KR101921495B1 (ko) 정수기용 세라믹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카트리지
KR20050004986A (ko) 전기 흡착방식을 이용한 정수장치
CN209555003U (zh) 水处理反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