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5110Y1 -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110Y1
KR200165110Y1 KR2019970014112U KR19970014112U KR200165110Y1 KR 200165110 Y1 KR200165110 Y1 KR 200165110Y1 KR 2019970014112 U KR2019970014112 U KR 2019970014112U KR 19970014112 U KR19970014112 U KR 19970014112U KR 200165110 Y1 KR200165110 Y1 KR 2001651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uider
rotating part
groove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759U (ko
Inventor
강내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4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110Y1/ko
Priority to US09/094,727 priority patent/US6030127A/en
Publication of KR199900007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7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1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15Guiding elements, e.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7Connection or assembly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4/00Bearings
    • Y10S384/90Cooling or heating
    • Y10S384/903Retaining 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98Non-circular rod section is joint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공회전하는 부품을 회전에 지장없이 가이드하면서도 조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회전부품의 가이더 장치로서, 한 쌍의 걸림홈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홈 사이에 공회전 간격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공회전 간격부에서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품과; 중앙에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샤프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한쌍의 텐션리브를 가지는 가이더를 포함하여, 회전부품이 샤프트의 정위치에서 회전되도록 하는 가이드하는 가이더를 용이하게 조립/분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장치
본 고안은 회전부품의 가이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를 중심으로 공회전하는 부품을 회전에 지장 없이 가이드 하면서도 조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개선된 샤프트에서 공회전하는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나 기기에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부품이 공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예는 많으며, 이때 회전부품은 샤프트에서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으면서도 원활한 공회전이 도모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특히, 전자분야에서는 팩시밀리와 같은 OA기기 전반에 걸처 페이퍼를 이송하는 장치에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부품이 공회전되도록 하는 장치가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OA기기에서 샤프트를 중심으로 공회전하는 회전부품은 아이들 로울러(IDLE R OLLER)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아이들 로울러는 1개의 샤프트에 다수의 아이들 로울러가 공회전될 수 있도록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도1a와 도1b는 회전부품을 샤프트에서 공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도록 하는 제1선행기술을 보인 것이다.
종래에 개시된 제1선행기술은 샤프트(1)를 중심으로 공회전하는 회전부품(2)이 좌우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전부품(2)이 위치하는 샤프트(1)의 좌, 우측에 원홈(3)을 형성하고, 원홈(3)에 이링(E-RING)(4)이 조립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링(4)은 샤프트(1)가 끼워지는 개구부(4a)가 있지만, 이 개구부(4a)는 샤프트(1)에 형성된 원홈(3) 내측에 있는 원홈부 샤프트 직경보다 휠씬 작은 크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원홈(3)에 이링(4)을 조립할 때 개구부 양측단부(4b)가 벌어지도록 강제적으로 밀어서 끼워야 한다.
그러므로 단순히 몇 개 정도 조립하는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이링(4) 조립이 실시될 수는 있지만, 대량 조립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링(4) 조립에 있어 손이 아프기 때문에 별도의 공구나 또는 이링 조립 전용 지그를 사용하여 조립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특히, OA기기에서 사용되는 샤프트(1)와 회전부품(2)은 그들의 직경이 샤프트의 경우 약 5-6mm 정도이고, 회전부품은 약 8-10mm 정도이므로 비교적 작은 크기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에 조립되는 이링(4)은 더욱 작은 크기를 가진 것이므로 공구나 지그를 사용하여 이링을 조립한다고 하여도 조립에 있어 상당한 불편이 초래되고 조립작업의 번거로움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생산성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성 개선을 위한 방법이 개시되었으며, 도2a와 도2b는 그러한 제2선행기술을 보여 준다. 이 선행기술은 샤프트(10)에 원홈(11)을 형성하게 하는데 1개의 회전부품(20)에 필요로 되는 원홈(11)을 1개소 형성하고, 회전부품(20)의 일측으로 스냅피트(SNAP FIT)(21)를 형성하였다.
스냅피트(21)는 OA기기에서는 회전부품(20) 자체가 보통 몰드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회전부품(20)의 사출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되고 있다.
그러므로 스냅피트(21)는 약간 휘어질 수 있는 탄성력이 있으며,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일단 휘어짐을 가지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회전부품(20)이 샤프트(10)에 조립되는 상태가 되면 스냅피트(21)는 샤프트(10)에 의해 밀려서 약간 휘어지는 상태로서 조립되게 된다. 그런 다음, 회전부품(20)이 이동되면서 원홈(11) 부위까지 도달되면 스냅피트(21)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복귀력에 의해 원홈(11)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회전부품(20)은 스냅피트(21)가 원홈(11)에 걸려 있기 때문에 제위치에서 이동되지 않으면서도 샤프트(10)를 중심으로 공회전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스냅피트(21)도 같이 공회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2선행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초래되고 있다. 그것은 하나의 샤프트(10)에 스냅피트(21)를 가진 하나의 회전부품(20)을 설치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3에 보인바와 같이 하나의 샤프트(10)에 여러개의 회전부품(20)이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조립성의 문제가 초래된다.
즉, 다수의 회전부품(20)을 샤프트(10)에 조립할때는 샤프트(10)의 일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끼운 다음 제자리 위치로 이동시켜서 공회전되도록 조립한다. 이때 중간지점에 설치되는 회전부품(20)의 경우 샤프트(10)에 가공되어 있는 원홈(11)을 통과하여야 하는데 회전부품(20)이 가지고 있는 스냅피트(21)가 원홈을 통과할 때마다 원홈(11)에 걸리게 되어 회전부품(20)의 조립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회전부품(20)이 가지고 있는 스냅피트(21)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회전부품(20)을 샤프트(10) 중간지점에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시키면, 이동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다른 원홈(11)에 일단 삽입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불편하더라도 스냅피트(21)를 다시 벌려서 원홈(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에 이동시켜 본래 원하는 위치의 샤프트 원홈(11)에 스냅피트(21)가 끼어지도록 조립시켜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야기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부품(20)에 있는 스냅피트(21)는 그 크기가 비교적 작으므로 그것을 원홈(11)으로부터 이탈시키도록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부품(20)으로부터 스냅피트(21)가 절단되어 부품 파손이 초래되는 경우도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에 있어 매우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회전부품(20)의 분해시에 스냅피트(21)를 샤프트(10)의 원홈(11)으로부터 이탈시켜 분해되도록 하는데는 상당히 난해하거나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게 되므로, 재조립이나 애프터서비스를 위한 회전부품(20)의 분해시에 작업성이 나쁘고 스냅피트(21)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샤프트를 중심으로 공회전하는 회전부품을 설치되도록 하는데 있어 상기 회전부품이 공회전 하는데 지장없이 가이드 하면서도 조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회전부품의 가이더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a는 제1선행기술의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1b는 제1선행기술의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를 보인 일부 분리 사시도,
도2a는 제2선행기술의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2b는 제2선행기술의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3은 제2선행기술에 따른 가이더장치의 사용례를 보인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를 보인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
도5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의 정단면도,
도5b는 도5a의 A-A'선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가 설치되는 샤프트홈부의 다른 실시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가 설치되는 초기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7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 설치의 완료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에 의해 회전류 부품이 샤프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의 사용례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샤프트 101 : 공회전간격부
110, 110' : 걸림홈 200 : 회전부품
210 : 축공 300 : 가이더
301 : 본체 302 : 텐션공간부
303 : 내측공간부 310, 310' : 텐션리브
320 : 샤프트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부품의 가이더 장치는, 한 쌍의 걸림홈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홈 사이에 공회전 간격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공회전 간격부에서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품과; 중앙에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샤프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한 쌍의 텐션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텐션리브의 외측에 상기 텐션리브가 휘어질 수 있는 텐션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샤프트의 걸림홈 바닥이 수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텐션리브의 외측에는 상기 텐션리브가 휘어질 수 있는 텐션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더의 텐션리브가 있는 반대쪽 위치의 샤프트공과 본체 사이에는 내측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더의 폭(w)은 상기 샤프트의 걸림홈의 폭(S)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텐션리브의 폭(L)은 상기 걸림홈의 폭(S)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를 보인 일부 절개 분리 사시도이고, 도5a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의 정단면이며, 도5b는 도5a의 A-A'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가 설치되는 샤프트홈부의 다른 실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7a와 도7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에 다른 가이더에 의해 회전류 부품이 샤프트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부품용 가이더 장치는 기계나 기기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샤프트(100), 샤프트(100)에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품(200), 회전부품(200)을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더(300)로 구성된다.
샤프트(100)에는 회전부품(200)이 공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공회전 간격부(101)가 마련되고, 이 공회전 간격부(101)의 양측에는 걸림홈(100)이 각각 형성된다. 이 걸림홈(110)은 샤프트(100)의 원주에서 약 1/3에 해당하는 부분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110)은 샤프트(100)에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이 다수의 걸림홈(100)에 다수의 회전부품(200)이 설치되고, 다수의 걸림홈(110)은 일방향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샤프트(100)는 보통 금속물로 제조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걸림홈(110)은 도4 및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 가공하여 평면상태의 걸림홈(110)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6에 보인바와 같이 원주와 동심원을 이루는 곡률형의 걸림홈(1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샤프트(100)에서 설치되는 회전부품(200)은 몰드물로 제조되는 것이 보롱이며, 중앙부에는 샤프트(100)가 끼워지도록 관통되는 축공(210)이 형성된다.
샤프트(100)를 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가이드 하는 가이더(300)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가로폭(w)으로 형성되고, 샤프트(100)에 조립시킬 때 방향성을 없애기 위하여, 가이더(300)의 가로폭(w)에는 중심으로 샤프트(100)에 형성된 걸림홈(110)의 홈폭(s)보다는 약간 작은 크기의 리브 폭(L)을 가지는 한 쌍 또는 그 이상의 텐션리브(310)(310')가 형성된다.
텐션리브(310)(310')는 가이더(300)의 본체(301) 내부에서 가로폭(w)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고, 샤프트(100)가 관통되는 샤프트공(320)에서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텐션리브(310)(310')의 내면(310a)은 가이더(300)가 샤프트(100) 원주면상으로 이동될 때 자연스럽게 슬립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매끄럽게 형성된다.
또한, 텐션리브(310)(310')가 있는 가이더(300)의 본체(301) 내측에는 상기 텐션리브(310)(310')가 펴지고 오무라드는 텐션작용을 할 수 있도록 텐션공간부(302)가 형성된다.
가이더(300)의 텐션공간부(302)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본체(301)의 내측에는 내측공간부(303)가 형성된다. 이 내측공간부(303)는 재료의 절감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관하다.
가이더(300)의 샤프트공(320) 일측부에 형성되는 텐션리브(310)(310')는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각각 텐션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가이더(300)를 샤프트(100)에 조립할 때, 도7a에 도시된바와 같이 가이더(300)의 텐션리브(310)(310')가 샤프트(100)의 걸림홈(110)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방향으로 위치토록 하고 샤프트(100)에 가이더(300)를 끼워 결합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가이더(300)를 밀어서 샤프트(100)상으로 이동되도록 하면, 이동되는 도중에 걸림홈(110)이 있더라도 텐션리브(310)(310')가 약간 벌어진 상태로 샤프트(100)의 원주면을 따라 슬립되어 이동됨으로, 샤프트(100)의 걸림홈(110)에 걸리지 않고 수월하게 통과된다.
따라서, 가이더(300)를 원하는 결합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에는 도7b에 도시된바와 같이 가이더(300) 자체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가이더(300)가 회전되면 그것이 가지고 있는 텐션리브(310)(310')는 샤프트(100)의 걸림홈(110)에 위치되는 상태가 되면서 자체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드는 텐션작용에 의해 걸림홈(110)에 밀착된다.
그에 따라, 가이더(300)는 샤프트(100)의 걸림홈(110)에 걸린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더(300)는 임의의 외력을 가이더(300)에 가하여 강제적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그 자체적으로는 샤프트(100)에서 회전되지 않게 조립되는 상태가 된다.
즉, 가이더(300)의 텐션리브(310)(310')는 샤프트(100)에 가이더(300)의 제조시때부터 가지고 있게 되는 텐션력으로 걸림홈(110)에 걸려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그 자체나 또는 가이더(300)와 접촉되면서 회전되게 되는 회전부품(200)의 회전력이 전달되어도 가이더(300)는 회전되지 않게 결합됨과 동시에 걸림홈(110) 내부에 텐션리브(310)(310')가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가이더(300)는 샤프트(100)에서 제자리를 고수할 뿐 양측의 어느쪽으로도 이동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샤프트(100)에서 공회전 간격부(101) 양측에 있는 걸림홈(110)중에 어느 일측의 걸림홈(110)에 텐션리브(310)(310')가 결합되도록 가이더(300)를 조립한 다음에는 회전부품(200)을 샤프트(100)에 끼워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어 조립된다. 이때 회전부품(200)은 단순히 축공(210)만을 구비하므로 샤프트(100)에서 통과되는 지점에 있을 수 있게 되는 걸림홈(110)에는 전혀 걸림없이 통과되기 때문에 회전부품(200)을 조립하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이 조립할수 있다.
회전부품(200)을 먼저 조립된 가이더(300)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상기 회전부품(200)의 반대쪽을 가이드하는 가이더(300)를 조립하는데, 이때에도 텐션리브(310)(310')를 걸림홈(110)이 있는 반대쪽을 향하게 하고 샤프트(100)에 끼워서 이동시키고 난후에 결합위치까지 가이더(300)가 도달되면 그 자체를 회전시켜 텐션리브(310)(310')가 걸림홈(110)에 걸리도록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회전부품(200)이 샤프트(100)상에서 한 쌍의 가이더(300)에 의해 공회전될 수 있도록 가이드되게 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반대로, 분해에 있어서는 걸림홈(110)으로부터 텐션리브(310)(310')가 이탈되도록 가이더(300)를 반회전시켜서 도7a의 도시와 같이, 텐션리브(310)(310')가 샤프트(100)의 원주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물론, 이때 가이더(300)는 몰드물로 사출 성형되도록 제조된 것이므로 몰드물의 특성에 따라 텐션리브(310)(310')는 외측으로 벌어질 수 있는 탄성력을 지니고 있으므로 가이더(300) 자체를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면 텐션리브(310)(310')가 샤프트(100) 원주상으로 회전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그런 다음, 가이더를 샤프트(100)의 일끝단부로 이동시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며, 아울러서 회전부품(200) 및 또 하나의 반대쪽의 가이더(300)를 분리해낼수 있게 된다.
도9는 본 고안에 의해서 하나의 샤프트(100)에 다수의 회전부품(200)이 공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회전부품(200)을 하나의 샤프트(100)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경우에 편리하다.
즉, 샤프트(100)에 가이더(300)를 조립할 때 통과되는 걸림홈(110)에 가이더(300)가 걸리지 않게 하여 밀어서 끼울 수 있고 자기 결합위치에서만 가이더(300)를 반회전시켜 고정되도록 조립시킬 수 있기 때문이며, 다른 가이더(300)들도 위와같이 조립함으로써 수월한 조립을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회전부품(200) 및 가이더(300)의 분리에 있어서도 위에서 이미 언급된바와 같이 수월하게 분리가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은 회전부품(200)이 샤프트(100)상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려는공회전부품을 가이더(300)에 의해 단속하면서도 일정한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고 별도의 공구나 지그없이 가이더(30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또한, 가이더(300)는 조립에 있어 방향성을 갖지 않도록 구성되므로 좌, 우측 어느 방향으로도 샤프트(100)로의 조립이 가능하므로 더욱 조립성이 좋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 회전부품이 샤프트상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이려는 회전부품을 가이더에 의해 회전부품을 일정한 위치에서 단속하면서 공회전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면서도 수월한 조립과 분리를 도모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샤프트의 어느 위치에서든 공회전부품을 편리하게 조립/분리가 가능하게 하고, 별도의 공구나 지그없이도 조립 및 분리 가능하게 하므로 조립성 향상에 따른 생산성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정정) 한 쌍의 걸림홈이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걸림홈 사이에 공회전 간격부가 형성되는 샤프트와; 상기 공회전 간격부에서 공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품과; 중앙에 상기 샤프트에 끼워지는 샤프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한 쌍의 텐션리브이 형성되며, 상기 텐션리브의 외측에 상기 텐션리브가 휘어질수 있는 텐션공간부가 형성된 가이더를 포함하여, 상기 텐션리브가 형성된 가이더를 상기 샤프트의 걸림홈과 반대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한 후에, 상기 샤프트에 상기 가이더를 끼우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의 가이더 장치.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걸림홈 바닥이 수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의 폭(w)은 상기 샤프트의 걸림홈의 폭(S)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텐션리브의 폭(L)은 상기 걸림홈의 폭(S)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정정) 상기 가이더의 텐션리브가 있는 반대쪽 위치의 샤프트공과 본체 사이에는 내측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가 몰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부품의 가이더장치.
KR2019970014112U 1997-06-13 1997-06-13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 장치 KR200165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112U KR200165110Y1 (ko) 1997-06-13 1997-06-13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 장치
US09/094,727 US6030127A (en) 1997-06-13 1998-06-15 Guider assembly for rotary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112U KR200165110Y1 (ko) 1997-06-13 1997-06-13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759U KR19990000759U (ko) 1999-01-15
KR200165110Y1 true KR200165110Y1 (ko) 2000-01-15

Family

ID=1950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112U KR200165110Y1 (ko) 1997-06-13 1997-06-13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030127A (ko)
KR (1) KR20016511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7614A1 (de) * 2000-11-17 2002-05-22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Axialspielausgleich
US6435299B1 (en) 2001-02-28 2002-08-20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Propeller shaft deflector
TWI248757B (en) * 2004-07-05 2006-02-01 Avision Inc Automatic document feeder having a replaceable friction roller assembly
US7594301B2 (en) * 2006-09-22 2009-09-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djustable deck lid hinge
US20090016846A1 (en) * 2007-07-09 2009-01-15 Dragonstate Technology Co., Ltd. Anchor structure for electronic card connectors
DE102013220393A1 (de) * 2013-10-10 2015-04-16 Zf Friedrichshafen Ag Sicherungsmittel zur Sicherung eines Axialanschlagselement auf einer Wel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6130A (en) * 1937-12-02 1939-07-18 Carlyle Johnson Machine Co Removable locking device
US2487803A (en) * 1947-08-21 1949-11-15 Waldes Kohinoor Inc Spring retaining ring
US2558704A (en) * 1950-03-08 1951-06-26 Waldes Kohinoor Inc Retainers for shafts, pins and the like
US2968503A (en) * 1958-10-29 1961-01-17 United Aircraft Corp Snap ring assembly
US3380766A (en) * 1965-08-25 1968-04-30 George C. Meibuhr Screw thread insert
US3595123A (en) * 1969-08-25 1971-07-27 Waldes Kohinoor Inc Radial assembly-tire spring retaining rings
US3709530A (en) * 1971-06-25 1973-01-09 W Redding Auxiliary retention for a c-washer
US4352586A (en) * 1980-12-29 1982-10-05 Ford Motor Company Linkage system
US4603597A (en) * 1985-01-30 1986-08-05 Xerox Corporation Drive system
US4952093A (en) * 1989-06-16 1990-08-28 Yokiyoshi Murakami Fastening device of a pipe shaft and of a hollow square shaft, and their fastenings for use in a business machine and other industrial machines
US5357847A (en) * 1991-04-17 1994-10-25 Hytork Actuators Limited Pressure vessels having end closures and retainers
FR2687736B1 (fr) * 1992-02-20 1994-04-15 Valeo Equipements Elect Moteur Dispositif pour le rappel d'un lanceur de demarr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US5462369A (en) * 1994-11-09 1995-10-31 Span Tech Corporation Bearing lock system
GB2307536A (en) * 1995-11-23 1997-05-28 Nastech Europ Ltd Mounting bearing on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30127A (en) 2000-02-29
KR19990000759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627B2 (en) Guiding structure for moving member
KR200165110Y1 (ko) 회전부품의 가이더(guider) 장치
EP1760345B1 (en) Tapered roller bearing assembling device
JP2002122237A (ja) 保護ベローズ
JP3901415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H06212542A (ja) 平形編機のための編地巻上げローラ
KR960013191A (ko) 스피닝 리일용 낚시줄 안내 장치
US4083264A (en) Rotatable knob assembly
KR102082720B1 (ko) 래치 조립체
KR910016291A (ko) 슬라이드 파스너 결합 엘레멘트용의 모노필라멘트를 스탬프 하기 위한 장치
KR19980032178U (ko) 슬리터용 프릭션 샤프트
JPH0117691Y2 (ko)
JP4109392B2 (ja) ブラインドの回転機構
JPH0517055A (ja) 巻芯支持装置
JP2008095910A (ja) 自動調心型玉軸受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144539A (ja) ローラ用ラジアルベアリングユニットおよびこれが装着されたローラ
KR200381876Y1 (ko) 선운동용 스크류너트장치
JPS6120684Y2 (ko)
US4566815A (en) Structure for mounting roller on shaft
CA2496031A1 (en) Washing brush
KR0122125Y1 (ko) 구동부품 조립장치
JP2002128262A (ja) コンベヤ用ローラ
JPS5918503Y2 (ja) 摘子の取付構造
KR940005755Y1 (ko) 피복사제조기의 지관지지구
KR940005544Y1 (ko) 엘레베이터용 행거 로울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